한솔아카데미 로고

  • 시험정보
  • 학원강의
  • 온라인강의

    강의업로드

  • 교재안내
  • 합격현황
  • 학습게시판
  • 나의강의실
학습게시판

학습게시판

HOME>학습게시판>학습게시판

2021년 05월
[오늘의 출첵미션]
  • Curtain wall의 Stack joint는 한 개층 단위로 설치되는 unit system에서 unit과 unit이 수평으로 연결되는 부분으로 이 곳에 open joint의 등압공간이 형성된다.

Ⅱ. stack joint

  • 일반적으로 30층 내외의 건물은 상하 각 20mm 정도의 stack joint를 고려하고 있으며, 시공사례로 초고층 건물인 KLCC타워는 8mm의 수직재 수축을 고려한 28mm로 설계하였다.
  • 각 층의 커튼월 설치에 필요한 최대 수직재 수축 수치만큼 층당 8mm의 여유를 두어 패널을 설치하였다. RC구조는 장기 수직재 수축을 stack joint 설계에서 고려해야 함, 철골구조는 장기 수축은 미미하나 높은 활하중(live load)에 의한 처짐(deflection)을 특히 고려해야 한다.

 

  • stack joint 설계에서 고려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 외기 온도에 최대 일교차에 의한 패널 신축의 최대 예상수치(thermal movement)를 확보한다.
  • 풍압에 의한 건물 자체의 흔들림(sway) 수치를 확보한다.
  • 활하물에 의한 슬래브 및 보의 최대 처짐을 고려한다.
  • RC 기둥의 층별 장기 수축치(shortening)를 보정한다.
  • 패널의 제작 시공오차(tolerance)를 확인한ㄷ.

 

커튼 월의 설계는 우수한 시공성을 감안하여야 한다. 시공성이 결여된 설계는 공기지연, 품질하자 등이 발생하여 사후에 어려움이 발생한다.

오늘의 출첵멤버 : 23

더보기
  • 41등

    박성훈

    [동영상A조] Curtain wall의 Stack Joint는 한 개 층 단위로 설치되는 Unit system에서 unit과 unit이 수평으로 연결되는 부분으로 이 곳에 open joint의 등압공간이 형성된다. 2. Stack joint : 일반적으로 30층 내외의 건물은 상하 각 20mm 정도의 stack joint를 고려하고 있으며, 시공사례로 초고층 건물인 KLCC타워는 8mm의 수직재 수축을 고려한 28mm 로 설계하였다. 각 층의 커튼월 설치에 필요한 최대 수직재 수축 수치만큼 층당 8mm의 여유를 두어 패널을 설치하였다. RC구조는 장기 수직재수축을 stack joint 설계에서 고려해야 함. 철골구조는 장기수축은 미미하나 높은 활하중(live load)에 의한 처짐(deflection)을 특히 고려해야 한다. stack joint 설계에서 고려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외기온도에 최대 일교차에 의한 패널신축의 최대 예상수치(thermal movement)를 확보한다. 풍압에 의한 건물 자체의 흔들림(sway)수치를 확보한다. 활하중에 의한 슬래브 및 보의 최대 처짐을 고려한다. rC 기둥의 층별 장기 수축치(shortening)을 보정한다. 패널의 제작 시공오차(tolerance)를 확인한다. 커튼월의 설계는 우수한 시공성을 감안하여야 한다. 시공성이 결여된 설계는 공기지연, 품질하자 등이 발생하여 사후에 어려움이 발생한다.
    11.15 11:31
  • 40등

    방경주

    [Stack joint] 1)한개층 단위로 설치되는 unit system에서 unit와 unit가 수평으로 연결되는 부분으로 이 속에 open joint의 등압공산이 형성된다. 2)일반적으로 30층 내외의 건물은 상하 각 20mm정도의 satck joint를 고려하고 있으며, 시공사례로 초고층 건물인 KLCC타위는 8mm의 수직재 수축을 고려한 28mm로 설계하였다. 3)각층의 커튼월 설치에 필요한 최대 수직재 수축 수치만큼 층당 8mm의 여유를 두어 패널을 설치하였다. 4) R.C구조는 장기 수직재 수축을 stack joint설계에서 고려해야 함, 철골구조는 장기 수축은 미미하나 높은 활하중(live load)에 의한 처짐(deflection)을 특히 고려해야 한다. [stack joint설계에서 고려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1)외기온도에 최대 일교차에 의한 패널 신축의 최대 예상수치(thermal movement)를 확보한다 2)풍압에 의한 건물 자체의 흔들림(sway)수치를 확보한다. 3)활하중에 의한 슬래브 및 보의 최대처짐을 고려한다. 4)R.C기둥의 층별 장기 수축치(shrtning)를 보정한다. 5)패널의 제작 시공오차(tolerance)를 확인한다. 6)커튼월 설계는 우수한 시공성을 감안하여야 한다, 시공성이 결여된 설계는 공기지연, 품질하자 등이 발생하여 사후에 어려움이 발생한다.
    05.17 20:02
  • 39등

    이삭

    Curtain wall의 Stack joint는 한 개층 단위로 설치되는 unit system에서 unit과 unit이 수평으로 연결되는 부분으로 이 곳에 open joint의 등압공간이 형성된다. Ⅱ. stack joint 일반적으로 30층 내외의 건물은 상하 각 20mm 정도의 stack joint를 고려하고 있으며, 시공사례로 초고층 건물인 KLCC타워는 8mm의 수직재 수축을 고려한 28mm로 설계하였다. 각 층의 커튼월 설치에 필요한 최대 수직재 수축 수치만큼 층당 8mm의 여유를 두어 패널을 설치하였다. RC구조는 장기 수직재 수축을 stack joint 설계에서 고려해야 함, 철골구조는 장기 수축은 미미하나 높은 활하중(live load)에 의한 처짐(deflection)을 특히 고려해야 한다. stack joint 설계에서 고려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외기 온도에 최대 일교차에 의한 패널 신축의 최대 예상수치(thermal movement)를 확보한다. 풍압에 의한 건물 자체의 흔들림(sway) 수치를 확보한다. 활하물에 의한 슬래브 및 보의 최대 처짐을 고려한다. RC 기둥의 층별 장기 수축치(shortening)를 보정한다. 패널의 제작 시공오차(tolerance)를 확인한다. 커튼 월의 설계는 우수한 시공성을 감안하여야 한다. 시공성이 결여된 설계는 공기지연, 품질하자 등이 발생하여 사후에 어려움이 발생한다.
    05.08 14:41
  • 38등

    최종기

    Curtain wall의 Stack joint는 한 개층 단위로 설치되는 unit system에서 unit과 unit이 수평으로 연결되는 부분으로 이 곳에 open joint의 등압공간이형성된다. 2. Stack joint 일반적으로 30층 내외의 건물은 상하 각 20mm 정도의 stack joint를 고려하고 있으며, 시공사례로 초고층 건물인 KLCC,타워는 8mm의 수직재 수축을 고려한 28mm로 설계하였다. 각 층의 커튼월 설치에 필요한 최대 수직재 수축 수치만큼 층당 8mm의 여유를 두어 패널을 설치하였다, RC구조는 장기 수직재 수축을 stack joint 설계에서 고려해야함, 철골구조는 장기 추축은 미미하나 높은 활하중(live load)에 의한 처짐(deflection)을 특히 고려해야 한다. stack joint 설계에서 고려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외기 온도에 최대 일교차에 의한 패널 신축의 최대 예상수치(thermal movement)를 확보한다. 풍압에 의한 건물 자체의 흔들림(sway) 수치를 확보한다. 활하중에 의한 슬리브 및 보의 최대 처짐을 고려한다. RC 기둥의 층별 장기 수축치(shortening)을 보정한다. 패널의 제작 시공오차(tolerance)를 확인한다. 커튼 월의 설계는 우수한 시공성을 감안하여야한다. 시공성이 결여된 설계는 공기지연, 품질하자 등이 발생하여 사후에 어려움이 발생한다.
    05.07 07:30
  • 37등

    강도형

    <열공불패10조> Curtain wall의 stack joint는 한개층 단위로 설치되는 unit system에서 unit과 unit이 수평으로 연결되는 부분으로 이곳에 open joint의 등압공간이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30층 내외의 건물은 상하 각 20mm정도의 stack joint를 고려하고 있으며, 시공사례로 초고층건물인 KLCC타워는 8mm의 수직재 수축을 고려한 28mm로 설계하였다. 각층의 커튼월 설치에 필요한 최대 수직재 수축 수치만큼 층당 8mm의 여유를 두어 패널을 설치하였다. RC구조는 장기수직재 수축을 stack joint설계에서 고려해야한다. 철골구조는 장기수축은 미미하나 높은 활하중에 의한 처짐을 특히 고려해야한다. Stack joint 설계에서 고려한 사항은 다음과 같다. 1.외기온도에 최대 일교차에 의한 패널 신축의 최대 예상수치를 확보한다. 2.풍압에 의한 건물자체의 흔들림 수치를 확보한다. 3.활하물에 의한 슬래브 및 보의 최대처짐을 고려한다. 4.RC기둥의 층별 장기수축치를 보정한다. 5.패널의 제작 시공 오차를 확인한다. 커튼월의 설계는 우수한 시공성을 감안해야한다. 시공성이 결여된 설계는 공기지연, 품질하자 등이 발생하여 사후에 어려움이 발생한다.
    05.07 00:03
  • 36등

    박지훈

    [불4조]Curtain wall의 Stack joint는 한 개층 단위로 설치되는 unit system에서 unit과 unit이 수평으로 연결되는 부분으로 이 곳에 open joint의 등압공간이 형성된다. Ⅱ. stack joint 일반적으로 30층 내외의 건물은 상하 각 20mm 정도의 stack joint를 고려하고 있으며, 시공사례로 초고층 건물인 KLCC타워는 8mm의 수직재 수축을 고려한 28mm로 설계하였다. 각 층의 커튼월 설치에 필요한 최대 수직재 수축 수치만큼 층당 8mm의 여유를 두어 패널을 설치하였다. RC구조는 장기 수직재 수축을 stack joint 설계에서 고려해야 함, 철골구조는 장기 수축은 미미하나 높은 활하중(live load)에 의한 처짐(deflection)을 특히 고려해야 한다. stack joint 설계에서 고려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외기 온도에 최대 일교차에 의한 패널 신축의 최대 예상수치(thermal movement)를 확보한다. 풍압에 의한 건물 자체의 흔들림(sway) 수치를 확보한다. 활하물에 의한 슬래브 및 보의 최대 처짐을 고려한다. RC 기둥의 층별 장기 수축치(shortening)를 보정한다. 패널의 제작 시공오차(tolerance)를 확인한ㄷ. 커튼 월의 설계는 우수한 시공성을 감안하여야 한다. 시공성이 결여된 설계는 공기지연, 품질하자 등이 발생하여 사후에 어려움이 발생한다.
    05.06 21:32
  • 35등

    류상현

    커튼월의 스택조인트는 한 개층 단위로 설치되는 유닛시스템에서 유닛과 유닛이 수평으로 연결되는 부분으로 이곳에 오픈 조인트의 등압공간이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30층 내외의 건물은 상하 각 20mm정도의 스택조인트를 고려하고 있으며, 시공사례로 초고층 건물인 klcc타워는 8mm의 수직재 수축을 고려한 28mm로 설계하였다. 각 층의 커튼월 설치에 필요한 최대 수직재 수축 수치만큼 층당 8mm의 여유를 두어 패널을 설치하였다. rc구조는 장기 수직재 수축을 스택 조인트 설계에서 고려해야함. 철골구조는 장기 수축은 미미하나 높은 활하중에 의한 처짐을 특히 고려해야 한다. 스택 조인트 설계에서 고려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외기 온도에 최대 일교차에 의한 패널 신축의 최대 예상수치를 확보한다. 풍압에 의한 건물 자체의 흔들림 수치를 확보한다. 활하중의 의한 슬래브 및 보의 처짐을 고려한다. rc기둥의 층별 장기 수축치를 보정한다. 패널의 제작 시공오차를 확인한다. 커튼월의 설계는 우수한 시공성을 감안하여야한다. 시공성이 결여된 설계는 공기지연, 품질하자 등이 발생하여 사후에 어려움이 발생한다.
    05.06 20:29
  • 34등

    송용철

    <열공불패10조>Curtain wall의 Stack joint는 한 개층 단위로 설치되는 unit system에서 unit과 unit이 수평으로 연결되는 부분으로 이 곳에 open joint의 등압공간이 형성된다. Ⅱ. stack joint 일반적으로 30층 내외의 건물은 상하 각 20mm 정도의 stack joint를 고려하고 있으며, 시공사례로 초고층 건물인 KLCC타워는 8mm의 수직재 수축을 고려한 28mm로 설계하였다. 각 층의 커튼월 설치에 필요한 최대 수직재 수축 수치만큼 층당 8mm의 여유를 두어 패널을 설치하였다. RC구조는 장기 수직재 수축을 stack joint 설계에서 고려해야 함, 철골구조는 장기 수축은 미미하나 높은 활하중(live load)에 의한 처짐(deflection)을 특히 고려해야 한다. stack joint 설계에서 고려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외기 온도에 최대 일교차에 의한 패널 신축의 최대 예상수치(thermal movement)를 확보한다. 풍압에 의한 건물 자체의 흔들림(sway) 수치를 확보한다. 활하물에 의한 슬래브 및 보의 최대 처짐을 고려한다. RC 기둥의 층별 장기 수축치(shortening)를 보정한다. 패널의 제작 시공오차(tolerance)를 확인한ㄷ. 커튼 월의 설계는 우수한 시공성을 감안하여야 한다. 시공성이 결여된 설계는 공기지연, 품질하자 등이 발생하여 사후에 어려움이 발생한다.
    05.06 17:51
  • 33등

    김정호

    [올패스9조] Curtain wall의 Stack joint는 한 개층 단위로 설치되는 unit system에서 unit과 unit이 수평으로 연결되는 부분으로 이 곳에 open joint의 등압공간이 형성된다. Ⅱ. stack joint 일반적으로 30층 내외의 건물은 상하 각 20mm 정도의 stack joint를 고려하고 있으며, 시공사례로 초고층 건물인 KLCC타워는 8mm의 수직재 수축을 고려한 28mm로 설계하였다. 각 층의 커튼월 설치에 필요한 최대 수직재 수축 수치만큼 층당 8mm의 여유를 두어 패널을 설치하였다. RC구조는 장기 수직재 수축을 stack joint 설계에서 고려해야 함, 철골구조는 장기 수축은 미미하나 높은 활하중(live load)에 의한 처짐(deflection)을 특히 고려해야 한다. stack joint 설계에서 고려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외기 온도에 최대 일교차에 의한 패널 신축의 최대 예상수치(thermal movement)를 확보한다. 풍압에 의한 건물 자체의 흔들림(sway) 수치를 확보한다. 활하물에 의한 슬래브 및 보의 최대 처짐을 고려한다. RC 기둥의 층별 장기 수축치(shortening)를 보정한다. 패널의 제작 시공오차(tolerance)를 확인한다. 커튼 월의 설계는 우수한 시공성을 감안하여야 한다. 시공성이 결여된 설계는 공기지연, 품질하자 등이 발생하여 사후에 어려움이 발생한다.
    05.06 14:24
  • 32등

    강 대 현

    Curtain wall의 Stack joint는 한 개층 단위로 설치되는 unit system에서 unit과 unit이 수평으로 연결되는 부분으로 이 곳에 open joint의 등압공간이 형성된다. stack joint:일반적으로 30층 내외의 건물은 상하 각 20mm 정도의 stack joint를 고려하고 있으며,시공사례로 초고층 건물인 KLcc타워는 8mm의 수직재 수축을 고려한 28mm로 설계하였다. 각 층의 커튼월 설치에 필요한 최대 수직재 수축 수치만큼 층당 8mm의 여유를 두어 패널을 설치하였다. RC구조는 장기 수직재 수축을 stack joint설계에서 고려해야 함.철골구조는 장기 수축은 미미하나 높은 활하중(live load)에 의한 처짐(deflection)을 특히 고려해야 한다. Stack joint설계에서 고려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외기 온도에 최대 일교차에 의한 패널 신축의 최대 예상치수(thermal movement)를 확보한다. 풍압에 의한 건물 자체의 흔들림(Sway) 수치를 확보한다. 활하물에 의한 슬래브 및 보의 처짐을 고려한다. RC 기둥의 층별 장기 수축치(Shortening)를 보정한다. 패널의 제작 시공오차(tolerance)를 확인한다. 커튼 월의 설계는 우수한 시공성을 감안하여야 한다.시공성이 결여된 설계는 공기지연,품질하자 등이 발생하여 사후에 어려움이 발생한다.
    05.06 13:42
  • 31등

    강 대 현

    Curtain wall의 Stack joint는 한 개층 단위로 설치되는 unit system에서 unit과 unit이 수평으로 연결되는 부분으로 이 곳에 open joint의 등압공간이 형성된다. stack joint:일반적으로 30층 내외의 건물은 상하 각 20mm 정도의 stack joint를 고려하고 있으며,시공사례로 초고층 건물인 KLcc타워는 8mm의 수직재 수축을 고려한 28mm로 설계하였다. 각 층의 커튼월 설치에 필요한 최대 수직재 수축 수치만큼 층당 8mm의 여유를 두어 패널을 설치하였다. RC구조는 장기 수직재 수축을 stack joint설계에서 고려해야 함.철골구조는 장기 수축은 미미하나 높은 활하중(live load)에 의한 처짐(deflection)을 특히 고려해야 한다. Stack joint설계에서 고려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외기 온도에 최대 일교차에 의한 패널 신축의 최대 예상치수(thermal movement)를 확보한다. 풍압에 의한 건물 자체의 흔들림(Sway) 수치를 확보한다. 활하물에 의한 슬래브 및 보의 처짐을 고려한다. RC 기둥의 층별 장기 수축치(Shortening)를 보정한다. 패널의 제작 시공오차(tolerance)를 확인한다. 커튼 월의 설계는 우수한 시공성을 감안하여야 한다.시공성이 결여된 설계는 공기지연,품질하자 등이 발생하여 사후에 어려움이 발생한다.
    05.06 13:42
  • 30등

    김재웅

    Curtain wall의 Stack Joint는 한 개층 단위로 설치되는 unit system에서 unit과 unit이 수평으로 연결되는 부분으로 이 곳에 open joint 의 등압공간이 형성된다. II. stack joint 일반적으로 30층 내외의 건물은 상하 각 20mm 정도의 stack joint를 고려하고 있으며, 시공사례로 초고층 건물인 KLCC타워는 8mm의 수직재 수축을 고려한 28mm로 설계하였다. 각 층의 커튼월 설치에 필요한 최대 수직재 수축 수치만큼 층당 8mm의 여유를 두어 패널을 설치하였다. RC구조는 장기 수직재 수축을 stack joint 설계에서 고려해야 함, 철골구조는 장기 수축을 미미하나 높은 활하중(live load)에 의한 처짐(deflection)을 특히 고려해야 한다. stack joint 설계에서 고려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외기 온도에 최대 일교차에 의한 패널 신축의 최대 예상수치(thermal movement)를 확보한다. 풍압에 의한 건물 자체의 흔들림(sway) 수치를 확보한다. 활하중에 의한 슬래브 및 보의 최대 처짐을 고려한다. RC 기둥의 층별 장기 수축치(shortening)를 보정한다. 패널의 제작 시공오차(tolerance)를 확인한다. 커튼 월의 설계는 우수한 시공성을 감안하여야 한다. 시공성이 결여된 설계는 공기지연, 품질하자 등이 발생하여 사후에 어려움이 발생한다.
    05.06 13:34
  • 29등

    김진영

    [오늘의 출첵미션] Curtain wall의 Stack joint는 한 개층 단위로 설치되는 unit system에서 unit과 unit이 수평으로 연결되는 부분으로 이 곳에 open joint의 등압공간이 형성된다. Ⅱ. stack joint 일반적으로 30층 내외의 건물은 상하 각 20mm 정도의 stack joint를 고려하고 있으며, 시공사례로 초고층 건물인 KLCC타워는 8mm의 수직재 수축을 고려한 28mm로 설계하였다. 각 층의 커튼월 설치에 필요한 최대 수직재 수축 수치만큼 층당 8mm의 여유를 두어 패널을 설치하였다. RC구조는 장기 수직재 수축을 stack joint 설계에서 고려해야 함, 철골구조는 장기 수축은 미미하나 높은 활하중(live load)에 의한 처짐(deflection)을 특히 고려해야 한다. stack joint 설계에서 고려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외기 온도에 최대 일교차에 의한 패널 신축의 최대 예상수치(thermal movement)를 확보한다. 풍압에 의한 건물 자체의 흔들림(sway) 수치를 확보한다. 활하물에 의한 슬래브 및 보의 최대 처짐을 고려한다. RC 기둥의 층별 장기 수축치(shortening)를 보정한다. 패널의 제작 시공오차(tolerance)를 확인한ㄷ. 커튼 월의 설계는 우수한 시공성을 감안하여야 한다. 시공성이 결여된 설계는 공기지연, 품질하자 등이 발생하여 사후에 어려움이 발생한다.
    05.06 13:32
  • 28등

    송용철

    <열공불패10조>Curtain wall의 Stack joint는 한 개층 단위로 설치되는 unit system에서 unit과 unit이 수평으로 연결되는 부분으로 이 곳에 open joint의 등압공간이 형성된다. Ⅱ. stack joint 일반적으로 30층 내외의 건물은 상하 각 20mm 정도의 stack joint를 고려하고 있으며, 시공사례로 초고층 건물인 KLCC타워는 8mm의 수직재 수축을 고려한 28mm로 설계하였다. 각 층의 커튼월 설치에 필요한 최대 수직재 수축 수치만큼 층당 8mm의 여유를 두어 패널을 설치하였다. RC구조는 장기 수직재 수축을 stack joint 설계에서 고려해야 함, 철골구조는 장기 수축은 미미하나 높은 활하중(live load)에 의한 처짐(deflection)을 특히 고려해야 한다. stack joint 설계에서 고려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외기 온도에 최대 일교차에 의한 패널 신축의 최대 예상수치(thermal movement)를 확보한다. 풍압에 의한 건물 자체의 흔들림(sway) 수치를 확보한다. 활하물에 의한 슬래브 및 보의 최대 처짐을 고려한다. RC 기둥의 층별 장기 수축치(shortening)를 보정한다. 패널의 제작 시공오차(tolerance)를 확인한ㄷ. 커튼 월의 설계는 우수한 시공성을 감안하여야 한다. 시공성이 결여된 설계는 공기지연, 품질하자 등이 발생하여 사후에 어려움이 발생한다.
    05.06 12:55
  • 27등

    이수길

    Curtain Wall의 Stack joint는 한 개층 단위로 설치되는 unit system에서 unit과 unit이 수평으로 연결되는 부분으로 이 곳에 open joint의 등압공간이 형성된다. Stack Joint 일반적으로 30층 내외의 건물은 상하 각 20mm 정도의 stack joint를 고려하고 있으며 시공사례로 초고층 건물인 KLCC타워는 8mm의 수직재 수축을 고려한 28mm로 설계하였다. 각 층의 커튼월 설치에 필요한 최대 수직재 수축 수치만큼 층당 8mm의 여유를 두어 패널을 설치하였다. RC구조는 장기 수직재 수축을 stack joint 설계에서 고려해야 함, 철골구조는 장기 수축은 미미하나 높의 활하중(live load)에 의한 처짐(deflection)을 특히 고려해야 한다. stack joint 설계에서 고려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외기 온도에 최대 일교차에 의한 패널 신축의 최대 예상수치(thermal movement)를 확보한다. 풍압에 의한 건물 자체의 흔들림(sway) 수치를 확보한다. 활하물에 의한 슬래브 및 보의 최대 처짐을 고려한다. RC 기둥의 층별 장기 수축치(shortening)를 보정한다. 패널의 제작 시공오차(tolerance)를 확인한다. 커튼월의 설계는 우수한 시공성을 감안하여야 한다. 시공성이 결여된 설계는 공기지연, 품질하자 등이 발생하여 사훙에 어려움이 발생한다.
    05.06 12:11
  • 26등

    이효석

    Curtain Wall의 Stack joint는 한 개층 단위로 설치되는 unit system에서 unit과 unit이 수평으로 연결되는 부분으로 이 곳에 open joint의 등압공간이 형성된다. Stack joingt : 일반적으로 30층 내외의 건물은 상하 각 20mm 정도의 stack joint를 고려하고 있으며, 시공사례로 초고층 건물인 KLCC타워는 8mm의 수직재 수축을 고려한 28mm로 설계하였다. 각 층의 커튼월 설치에 필요한 최대 수직재 수축 수치만큼 층당 8mm의 여유를 두어 패널을 설치하였다. RC구조는 장기 수직재 수축을 stack joint 설계에서 고려해야 함, 철골구조는 장기 수축은 미미하나 높은 활하중(live load)에 의한 처짐(deflection)을 특히 고려해야 한다. Stack joint 설계에서 고려한 사항은 다음과 같다. - 외기 온도에 최대 일교차에 의한 패널 신축의 최대 예상수치를 확보한다. - 풍압에 의한 건물 자체 흔들림 수칙를 확보한다. - 활화물에 의한 슬래브 및 보의 최대 처짐을 고려한다. - RC 기둥의 층별 장기 수축치를 보정한다. - 패널의 제작 시공오차를 확인한다. 커튼월의 설계는 우수한 시공성을 감안하여야 한다. 시공성이 결여된 설계는 공기지연, 품질하자 등이 발생하여 사후에 어려움이 발생한다.
    05.06 12:04
  • 25등

    이혁재

    Curtain wall의 Stack joint는 한 개층 단위로 설치되는 unit system에서 unit와 unit이 수평으로 연결되는 부분으로 이 곳에 open joint의 등압공간이 형성된다. stack joint 일반적으로 30층 내외의 건물은 상하 각 20mm 정도의 stack joint를 고려하고 있으며, 시공사례로 초고층 건물인 KLCC타워는 8mm의 수직재 수축을 고려한 28mm로 설계하였다. 각층의 커튼월 설치에 필요한 최대 수직재 수축 수치만큼 층당 8mm의 여유를 두어 패널을 설치하였다. RC구조는 장기 수직재 수축을 stack joint 설계에서 고려해야 함, 철골구조는 장기 수측은 미미하나 높은 활하중(live load)에 의한 처짐(deffection)을 특히 고려해야 한다. stack joint 설계에서 고려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외기 온도에 최대 일교차에 의한 패녈 신축의 최대 예상수치(thermal movement)를 확보한다. 풍압에 의한 건물 자체의 흔들림(sway) 수치를 확보한다. 활하물에 의한 슬래브 및 보의 최대 처짐을 고려한다. RC 기둥의 층별 장기 수축차(shortening)을 보정한다. 패널의 제작 시공오차(tolerence)를 확인한다. 커튼월의 설계는 우수한 시공성을 감안하여야 한다. 시공성이 결여된 설계는 공기지연, 품질하자등이 발생하여 사후에 어려움이 발생한다.
    05.06 11:26
  • 24등

    황현석

    Curtain wall의 Stack joint는 한 개층 단위로 설치되는 unit system에서 unit과 unit이 수평으로 연결되는 부분으로 이 곳에 open joint의 등압공간이 형성된다. Ⅱ. stack joint 일반적으로 30층 내외의 건물은 상하 각 20mm 정도의 stack joint를 고려하고 있으며, 시공사례로 초고층 건물인 KLCC타워는 8mm의 수직재 수축을 고려한 28mm로 설계하였다. 각 층의 커튼월 설치에 필요한 최대 수직재 수축 수치만큼 층당 8mm의 여유를 두어 패널을 설치하였다. RC구조는 장기 수직재 수축을 stack joint 설계에서 고려해야 함, 철골구조는 장기 수축은 미미하나 높은 활하중(live load)에 의한 처짐(deflection)을 특히 고려해야 한다. stack joint 설계에서 고려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외기 온도에 최대 일교차에 의한 패널 신축의 최대 예상수치(thermal movement)를 확보한다. 풍압에 의한 건물 자체의 흔들림(sway) 수치를 확보한다. 활하물에 의한 슬래브 및 보의 최대 처짐을 고려한다. RC 기둥의 층별 장기 수축치(shortening)를 보정한다. 패널의 제작 시공오차(tolerance)를 확인한ㄷ. 커튼 월의 설계는 우수한 시공성을 감안하여야 한다. 시공성이 결여된 설계는 공기지연, 품질하자 등이 발생하여 사후에 어려움이 발생한다.
    05.06 10:24
  • 23등

    한재원

    [고고토B] Curtain Wall Stack joint는 한 개층 단위로 설치되는 unit system에서 unit과 unit가 수평으로 연결되는 부분으로 이 곳에 open joint의 등압공간이 형성된다. Ⅱ. stack joint 일반적으로 30층 내외의 건물은 상하 각 20mm 정도의 stack joint를 고려하고 있으며, 시공사례로 초고층 건물인 KLCC타워는 8mm의 수직재 수축을 고려한 28mm로 설계하였다. 각 층의 커튼월 설치에 필요한 최대 수직재 수축 수치만큼 층당 8mm의 여유를 두어 패널을 설치하였다. RC구조는 장기 수직재 수축을 stack joint설계에서 고려해야 함. 철골구조는 장기 수축은 미미하나 높은 활하중(live load)에 의한 처짐(deflection)을 특히 고려해야 한다. stack joint 설계에서 고려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외기 온도에 최대 일교차에 의한 패널 신축의 최대 예상수치(thermal movement)를 확보한다. 풍압에 의한 건물 자체의 흔들림(sway) 수치를 확보한다. 활하물에 의한 슬래브 및 보의 최대 처짐을 고려한다. RC기둥의 층별 장기 수축치(shortenning)를 보정한다. 패널의 제작 시공오차(tolerance)를 확인한다. 커튼월의 설계는 우수한 시공성을 감안하여야 한다. 시공성이 결여된 설계는 공기지연, 품질저하 등이 발생하여 사후에 어려움이 발생한다.
    05.06 09:44
  • 22등

    김철수

    [퍼스트A]Curtain wall의 Stack joint는 한 개층 단위로 설치되는 unit system에서 unit과 unit이 수평으로 연결되는 부분으로 이곳에 openjoint의 등압공간이 형성된다.2stack joint 일반적으로 30층 내외의 건물은 상하 각20mm 정도의 stack joint를 고려하고 있으며, 시공사례로 초고층 건물인 klcc타워는 8mm의 수직재 수축을 고려한 28mm로 설계하였다. 각 층의 커튼월 설치에 필요한 최대 수직재 수축 수치만큼 층당 8mm의 여유를 두어 패널을 설치하였다. RC구조는 장기 수직재 수축을 Stack joint 설계에서 고려해야함, 철골구조는 장기 수축은 미미하나 높은 활하중에 의한 처짐을 특히 고려해야 한다. stack joint 설계에서 고려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외기 온도에 최대 일교차에 의한 패널 신축의 최대 예상수치를 확보한다. 풍압에 의한 건물 자체의 흔들림 수치를 확보한다. 활하중에 의한 슬래브및 보의 최대 처짐을 고려한다. rc기둥의 층별 장기 수축치(shortening)를 보정한다. 패널의 제작 시공오차를 확인한다. 커튼월의 설계는 우수한 시공성을 감안하여야 한다. 시공성이 결여된 설계는 공기지연, 품질하자 등이 발생하여 사후에 어려움이 발생한다.
    05.06 09:34
  • 21등

    김병규

    Curtain wall의 Stack joint는 한 개층 단위로 설치되는 unit system에서 unit과 unit이 수평으로 연결되는 부분으로 이 곳에 open joint의 등압공간이 형성된다. Ⅱ. stack joint 일반적으로 30층 내외의 건물은 상하 각 20mm 정도의 stack joint를 고려하고 있으며, 시공사례로 초고층 건물인 KLCC타워는 8mm의 수직재 수축을 고려한 28mm로 설계하였다. 각 층의 커튼월 설치에 필요한 최대 수직재 수축 수치만큼 층당 8mm의 여유를 두어 패널을 설치하였다. RC구조는 장기 수직재 수축을 stack joint 설계에서 고려해야 함, 철골구조는 장기 수축은 미미하나 높은 활하중(live load)에 의한 처짐(deflection)을 특히 고려해야 한다. stack joint 설계에서 고려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외기 온도에 최대 일교차에 의한 패널 신축의 최대 예상수치(thermal movement)를 확보한다. 풍압에 의한 건물 자체의 흔들림(sway) 수치를 확보한다. 활하물에 의한 슬래브 및 보의 최대 처짐을 고려한다. RC 기둥의 층별 장기 수축치(shortening)를 보정한다. 패널의 제작 시공오차(tolerance)를 확인한ㄷ. 커튼 월의 설계는 우수한 시공성을 감안하여야 한다. 시공성이 결여된 설계는 공기지연, 품질하자 등이 발생하여 사후에 어려움이 발생한다.
    05.06 09:29
  • 20등

    김호준

    [퍼스트A조] Curtain Wall의 Stack Joint는 한 개층 단위로 설치되는 unit system에서 unit과 unit이 수평으로 연결되는 부분으로 이 곳에 open joint의 등압공간이 형성된다. stack joint는 일반적으로 30층 내외의 건물은 상하 각 20mm 정도의 stack joint를 고려하고 있으며, 시공사례로 초고층 건물인 KLCC타워는 8mm의 수직재 수축을 고려한 28mm로 설계하였다. 각 층의 커튼월 설치에 필요한 최대 수직재 수축 수치만큼 층당 8mm의 여유를 두어 패널을 설치하였다. RC구조는 장기 수직재 수축을 stack joint설계에서 고려해야 함, 철골구조는 장기 수축은 미미하나 높은 활하중(live load)에 의한 처짐(deflection)을 특히 고려해야 한다. stack joint 설계에서 고려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외기 온도에 최대 일교차에 의한 패널 신축의 최대 예상수치(thermal movement)를 확보한다. 풍압에 의한 건물 자체의 흔들림(sway) 수치를 확보한다. 활하중에 의한 슬래브 및 보의 최대 처짐을 고려한다. RC 기둥의 층별 장기 수축치(shortening)를 보정한다. 패널의 제작 시공오차(tolerance)를 확인한다. 커튼월의 설계는 우수한 시공성을 감안하여야 한다. 시공성이 결여된 설계는 공기지연, 품질하자 등이 발생하여 사후에 어려움이 발생한다.
    05.06 09:09
  • 19등

    이동현

    [퍼스트A조] 1. curtain wall의 stack joint는 한개층 단위로 설치되는 unit system에서 unit과 unit이 수평으로 연결되는 부분으로 이 곳에 open koint의 등압공간이 형성된다. 2. Stack joint 일반적으로 30층 내외의 건물은 상하 각 20mm정도의 Stack joint를 고려하고 있으며, 시공사례로 초고층 건물인 KLCC 타워는 8mm의 수직재 수축을 고려한 28mm로 설계하였다. 각 층의 커튼월 설치에 필요한 최대 수직재 수축 수치만큼 층당 8mm의 여유를 두어 패널을 설치하였다. RC 구조는 장기 수직재 수축을 Stack joint 설계에서 고려해야 함. 철골구조는 장기 수축은 미미하나 높은 활하중(live load)에 의한 처짐(deflection)을 특히 고려해야 한다. Stack joint 설계에서 고려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외기 온도에 최대 일교차에 의한 패널 신축의 최대 예상수치(thermal movement)를 확보한다. 풍압에 의한 건물 자체의 흔들림(sway) 수치를 확보한다. 활하중에 의한 슬래브 및 보의 최대 처짐을 고려한다. RC기둥의 층별 장기 수축치(shortening)를 보정한다. 패널의 제작 시공오차(tolerance)를 확인한다. 커튼월의 설계는 우수한 시공성을 감안하여야 한다. 시공성이 결여된 설계는 공기지연, 품질하자 등이 발생하여 사후에 어려움이 발생한다.
    05.06 08:22
  • 18등

    김성연

    [퍼스트A] Curtain wall의 Stack joint는 한 개층 단위로 설치되는 unit system에서 unit과 unit이 수평으로 연결되는 부분으로 이 곳에 Open joint의 등압공간이 형성된다. Stack joint는 일반적으로 30층 내외의 건물은 상하 각 20mm정도의 stack joint를 고려하고 있으며, 시공사례로 초고층 건물인 KLCC타워는 8mm의 수직재 수축을 고려한 28mm로 설계하였다. 각 층의 커튼월 설칭에 필요한 최대 수직재 수축 수치만큼 층당 8mm의 여유를 두어 패널을 설치하였다. RC구조는 장기 수직재 수축을 stack joint 설계에서 고려해야 함, 철골구조는 장기 수축은 미미하나 높은 활하중(live load)에 의한 처짐(deflection)을 특히 고려해야 한다. stack joint 설계에서 고려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1)외기 온도에 최대 일교차에 의한 패널 신축의 최대 예상수치(thermal movement)를 확보한다. 2) 풍압에 의한 건물 자체의 흔들림(sway)수치를 확보한다. 3) 활하물에 의한 슬래브 및 보의 최대 처짐을 고려한다. 4) RC기둥의 층별 장기 수축치(shortening)을 보정한다. 5)패널의 제작 시공오차(tolerance)를 확인하다. 커튼월의 설계는 우수한 시공성을 감안하여야 한다. 시공성이 결여된 설계는 공기지연, 품질하자 등이 발생하여 사후에 어려움이 발생한다.
    05.06 08:01
  • 17등

    배규용

    Curtain wall의 Stack joint는 한 개층 간위로 설치되는 unit system에서 unit과 unit이 수령으로 연결되는 부분으로 이 곳에 open joint의 등압공간이 형성된다. 2.stack joint 일반적으로 30층 내외의 건물은 상하 각 20mm 정도의 stack joint를 고려하고 있으며, 시공사례로 초고층 건물인 KLCC타워는 8mm의 수직재 수축을 고려한 28mm로 설계하였다. 가 층의 커튼월 설치에 필요한 최대 수직재 수축 수치만큼 층당 8mm의 여유를 두어 패널을 설치하였다. RC구조는 장기 수직재 수축을 stack joint 설계에서 고려해야 함, 철골구조는 장기 수축은 미미하나 높은 활하중(live load)에 의한처짐(deflection)을 특히 고려해야 한다. stack joint 설계에서 고려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외기 온도에 최대 일교차에 의한 패널 신축의 최대 예상수치(thermal movement)를 확보한다. 풍압에 의한 건물 자체의 흔들림(sway) 수치를 확보한다. 활하중에 의한 슬래브 및 보의 최대 처짐을 고려한다. Rc 기둥의 층별 장기 수축치(shortening)를 보정한다. 패널의 제작 시공오차(tolerance)를 확인한다. 커튼월의 설계는 우수한 시공성을 감안하여야 한다. 시공성이 결여괸 설계는 공기지연, 품질하자등이 발생하여 사후에 어려움이 발생한다.
    05.06 07:52
  • 16등

    정상현

    Curtain wall의 Stack joint는 한 개층 단위로 설치되는 unit system에서 unit과 unit이 수평으로 연결되는 부분으로 이 곳에 open joint의 등압공간이 형성된다. Ⅱ. stack joint 일반적으로 30층 내외의 건물은 상하 각 20mm 정도의 stack joint를 고려하고 있으며, 시공사례로 초고층 건물인 KLCC타워는 8mm의 수직재 수축을 고려한 28mm로 설계하였다. 각 층의 커튼월 설치에 필요한 최대 수직재 수축 수치만큼 층당 8mm의 여유를 두어 패널을 설치하였다. RC구조는 장기 수직재 수축을 stack joint 설계에서 고려해야 함, 철골구조는 장기 수축은 미미하나 높은 활하중(live load)에 의한 처짐(deflection)을 특히 고려해야 한다. stack joint 설계에서 고려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외기 온도에 최대 일교차에 의한 패널 신축의 최대 예상수치(thermal movement)를 확보한다. 풍압에 의한 건물 자체의 흔들림(sway) 수치를 확보한다. 활하물에 의한 슬래브 및 보의 최대 처짐을 고려한다. RC 기둥의 층별 장기 수축치(shortening)를 보정한다. 패널의 제작 시공오차(tolerance)를 확인한ㄷ. 커튼 월의 설계는 우수한 시공성을 감안하여야 한다. 시공성이 결여된 설계는 공기지연, 품질하자 등이 발생하여 사후에 어려움이 발생한다.
    05.06 07:41
  • 15등

    표현수

    1) Curtanin wall의 Stack joint는 한 개층 단위로 설치되는 unit system에서 unit와 unit가 수평으로 연결되는 부분으로 이 곳에 open joint의 등압공간이 형성된다. 2) stack joint: 일반적으로 30층 내외의 건물은 상하 각 20mm 정도의 stack joint를 고려하고 있으며, 시공사례로 초고층 건물인 KLCC타워는 8mm의 수직재 수축을 고려한 28mm로 설계하였다. 각 층의 커튼월 설치에 필요한 최대 수직재 수축 수치만큼 층당 8mm의 여유를 두어 패널을 설치하였다. RC구조는 장기 수직재 수축을 stack joint설계에서 고려해야 함. 철골구조는 장기 수축은 미미하나 높은 활하중(live load)에 의한 처짐(deflection)을 특히 고려해야 한다. stack joint 설계에서 고려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외기 온도에 최대 일교차에 의한 패널 신축의 최대 예상치수(thermal movement)를 확보한다. 풍압에 의한 건물 자체의 흔들림(sway) 수치를 확보한다. 활화중에 의한 슬래브 및 보의 최대처짐을 고려한다. RC 기둥의 층별 슬래브 및 보의 최대 처짐을 보정한다. 패널의 제작 시공오사(tolerance)를 확인한다. 커튼 월의 설계는 우수한 시공성을 감안하여야 한다. 시공성이 결여된 설계는 공기지연, 품질하자 등이 발생하여 사후에 어려움이 발생한다.
    05.06 07:18
  • 14등

    김대식

    <감사합니다필합격> Curtain wall의 Stack joint는 한 개층 단위로 설치되는 unit system에서 unit과 unit이 수평으로 연결되는 부분으로 이 곳에 open joint의 등압공간이 형성된다. Ⅱ. stack joint 일반적으로 30층 내외의 건물은 상하 각 20mm 정도의 stack joint를 고려하고 있으며, 시공사례로 초고층 건물인 KLCC타워는 8mm의 수직재 수축을 고려한 28mm로 설계하였다. 각 층의 커튼월 설치에 필요한 최대 수직재 수축 수치만큼 층당 8mm의 여유를 두어 패널을 설치하였다. RC구조는 장기 수직재 수축을 stack joint 설계에서 고려해야 함, 철골구조는 장기 수축은 미미하나 높은 활하중(live load)에 의한 처짐(deflection)을 특히 고려해야 한다. stack joint 설계에서 고려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외기 온도에 최대 일교차에 의한 패널 신축의 최대 예상수치(thermal movement)를 확보한다. 풍압에 의한 건물 자체의 흔들림(sway) 수치를 확보한다. 활하물에 의한 슬래브 및 보의 최대 처짐을 고려한다. RC 기둥의 층별 장기 수축치(shortening)를 보정한다. 패널의 제작 시공오차(tolerance)를 확인한다. 커튼 월의 설계는 우수한 시공성을 감안하여야 한다. 시공성이 결여된 설계는 공기지연, 품질하자 등이 발생하여 사후에 어려움이 발생한다.
    05.06 07:09
  • 13등

    이경섭

    Curtain wall의 stack joint는 한 개층 단위로 설치되는 unit system에서 unit과 unit이 수평으로 연결되는 부분으로 이 곳에 open joint의 등압공간이 형성된다. Ⅱ. stack joint 일반적으로 30층 내외의 건물은 상하 각 20mm정도의 stack joint를 고려하고 있으며, 시공사례로 초고층 건물인 KLCC타워는 8mm의 수직재 수축을 고려한 28mm로 설계하였다. 각 층의 커튼월 설치에 필요한 최대 수직재 수축 수치만큼 층당 8mm의 여유를 두어 패널을 설치하였다. RC구조는 장기 수직재 수축을 stack joint설계에 서 고려해야 함, 철골두조는 장기 수축은 미미하나 높은 활하중(live load)에 의한 처짐(deflection)을 특히 고려해야 한다. stack joint설계에서 고려할 사항은 다음고 같다. 외기 온도에 최대 일교차에 의한 패널 신축의 최대 예상수치(thermal movement)를 확보한다. 풍압에 의한 건물 자체의 흔들림(sway)수치를 확보한다. 활하물에 의한 슬래브 및 보의 최대 처짐을 고려한다. RC기둥의 층별 장기 수축치(shortening)를 보정한다.패널의 제작 시공오차(tolerance)를 확인한다. 커튼 월의 설계는 우수한 시공성을 감안하여야 한다. 시공성이 결여된 설계는 공기지연, 품질하자 등이 발생하여 사후에 어려움이 발생한다.
    05.06 07:02
  • 12등

    김진영

    [올패스9조]Curtain wall의 stack joint는 한 개층 단위로 설치되는 unit system에서 unit과 unit이 수평으로 연결되는 부분으로 이 곳에 open joint의 등압공간이 형성된다. Ⅱ.stack joint 일반적으로 30층 내외의 건물은 상하 각 20mm정도의 stack joint를 고려하고 있으며, 시공사례로 초고층 건물인 KLCC타워는 8mm의 수직재 수축을 고려한 28mm로 설계하였다. 각 층의 커튼월 설치에 필요한 최대 수직재 수축 수치만큼 층당 8mm의 여유를 두어 패널을 설치하였다. RC구조는 장기 수직재 수축을 stack joint설계에서 고려해야 함. 철골구조는 장기 수축은 미미하나 높은 활하중(Live load)에 의한 처짐(deflection)을 특히 고려해야 한다. stack joint 설계에서 고려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외기 온도에 최대 일교차에 의한 패널 신축의 최대 예상수치(thermal movement)를 확보한다. 풍압에 의한 건물 자체의 흔들림(sway)수치를 확보한다. 활하물에 의한 슬래브 및 보의 최대 처짐을 고려한다. 활하물에 의한 슬래브 및 보의 최대 처짐을 고려한다. RC 기둥의 층별 장기 수축치(shortening)를 보정한다. 패널의 제작 시공오차(tolerance)를 확인한다. 커튼월의 설계는 우수한 시공성을 감안하여야 한다. 시공성이 결여된 설계는 공기지연, 품질하자 등이 발생하여 사후에 어려움이 발생한다.
    05.06 06:51
  • 11등

    정지원

    Curtain wall의 Stack joint는 한 개층 단위로 설치되는 unit system에서 unit과 unit이 수평으로 연결되는 부분으로 이 곳에 open joint의 등압공간이 형성된다. Ⅱ. stack joint 일반적으로 30층 내외의 건물은 상하 각 20mm 정도의 stack joint를 고려하고 있으며, 시공사례로 초고층 건물인 KLCC타워는 8mm의 수직재 수축을 고려한 28mm로 설계하였다. 각 층의 커튼월 설치에 필요한 최대 수직재 수축 수치만큼 층당 8mm의 여유를 두어 패널을 설치하였다. RC구조는 장기 수직재 수축을 stack joint 설계에서 고려해야 함, 철골구조는 장기 수축은 미미하나 높은 활하중(live load)에 의한 처짐(deflection)을 특히 고려해야 한다. stack joint 설계에서 고려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외기 온도에 최대 일교차에 의한 패널 신축의 최대 예상수치(thermal movement)를 확보한다. 풍압에 의한 건물 자체의 흔들림(sway) 수치를 확보한다. 활하물에 의한 슬래브 및 보의 최대 처짐을 고려한다. RC 기둥의 층별 장기 수축치(shortening)를 보정한다. 패널의 제작 시공오차(tolerance)를 확인한ㄷ. 커튼 월의 설계는 우수한 시공성을 감안하여야 한다. 시공성이 결여된 설계는 공기지연, 품질하자 등이 발생하여 사후에 어려움이 발생한다
    05.06 06:29
  • 10등

    김기운

    [아키토B]Curtain wall의 Stack joint는 한 개층 단위로 설치되는 unit system에서 unit과 unit이 수평으로 연결되는 부분으로 이 곳에 open joint의 등압공간이 형성된다. 2.stack joint 일반적으로 30층 내외의 건물은 상하 각 20mm정도의 stack joint를 고려하고 있으며, 시공사례로 초고층 건물인 KLCC타워는 8mm의 수직재 수축을 고려한 28mm로 설계하였다. 각 층의 커튼월 설치에 필요한 최대 수직재 수축 수치 만큼 층단 8mm의 여유를 두어 패널을 설치하였다. RC구조는 장기 수직재 수축을 stack joint 설계에서 고려해야 함, 철골구조는 장기 수축은 미미하나 높은 활하중(live load)에 의한 처짐(deflection)을 특히 고려해야 한다. stack joint 설계에서 고려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외기온도에 최대 일교차에 의한 패널 신축의 최대 예상수치(thermal movement)를 확보한다. 풍압에 의한 건물 자체의 흔들림(sway)수치를 확보한다. 활하중에 의한 슬래브 및 보의 최대처짐을 고려한다. RC 기둥의 층별 장기 수축치(shortening)를 보정한다. 패널의 제착 시공오차(tolerance)를 확인한다. 커튼 월의 설계는 우수한 시공성을 감안하여야 한다. 시공성이 결여된 설계는 공기지연, 품질하자 등이 발생하여 사후에 어려움이 발생한다.
    05.06 04:17
  • 9등

    오충훈

    Curtain wall의 Stack joint는 한 개층 단위로 설치되는 unit system에서 unit과 unit이 수평으로 연결되는 부분으로 이 곳에 open joint의 등압공간이 형성된다. Ⅱ. stack joint 일반적으로 30층 내외의 건물은 상하 각 20mm 정도의 stack joint를 고려하고 있으며, 시공사례로 초고층 건물인 KLCC타워는 8mm의 수직재 수축을 고려한 28mm로 설계하였다. 각 층의 커튼월 설치에 필요한 최대 수직재 수축 수치만큼 층당 8mm의 여유를 두어 패널을 설치하였다. RC구조는 장기 수직재 수축을 stack joint 설계에서 고려해야 함, 철골구조는 장기 수축은 미미하나 높은 활하중(live load)에 의한 처짐(deflection)을 특히 고려해야 한다. stack joint 설계에서 고려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외기 온도에 최대 일교차에 의한 패널 신축의 최대 예상수치(thermal movement)를 확보한다. 풍압에 의한 건물 자체의 흔들림(sway) 수치를 확보한다. 활하물에 의한 슬래브 및 보의 최대 처짐을 고려한다. RC 기둥의 층별 장기 수축치(shortening)를 보정한다. 패널의 제작 시공오차(tolerance)를 확인한ㄷ. 커튼 월의 설계는 우수한 시공성을 감안하여야 한다. 시공성이 결여된 설계는 공기지연, 품질하자 등이 발생하여 사후에 어려움이 발생한다.
    05.06 00:55
  • 8등

    김용범

    하이패스 7조 당근합격/Curtain wall의 Stack joint는 한 개층 단위로 설치되는 unit system에서 unit과 unit이 수평으로 연결되는 부분으로 이 곳에 open joint의 등압공간이 형성된다. Ⅱ. stack joint 일반적으로 30층 내외의 건물은 상하 각 20mm 정도의 stack joint를 고려하고 있으며, 시공사례로 초고층 건물인 KLCC타워는 8mm의 수직재 수축을 고려한 28mm로 설계하였다. 각 층의 커튼월 설치에 필요한 최대 수직재 수축 수치만큼 층당 8mm의 여유를 두어 패널을 설치하였다. RC구조는 장기 수직재 수축을 stack joint 설계에서 고려해야 함, 철골구조는 장기 수축은 미미하나 높은 활하중(live load)에 의한 처짐(deflection)을 특히 고려해야 한다. stack joint 설계에서 고려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외기 온도에 최대 일교차에 의한 패널 신축의 최대 예상수치(thermal movement)를 확보한다. 풍압에 의한 건물 자체의 흔들림(sway) 수치를 확보한다. 활하물에 의한 슬래브 및 보의 최대 처짐을 고려한다. RC 기둥의 층별 장기 수축치(shortening)를 보정한다. 패널의 제작 시공오차(tolerance)를 확인한ㄷ. 커튼 월의 설계는 우수한 시공성을 감안하여야 한다. 시공성이 결여된 설계는 공기지연, 품질하자 등이 발생하여 사후에 어려움이 발생한다.
    05.06 00:32
  • 7등

    김현승

    [하이패스7조]curtain wall의 stack joint는 한 개층 단위로 설치되는 unit system에서 unit과 unit이 수평으로 연결되는 부분으로 이 곳에 open joint의 등압공간이 형성된다. Ⅱ.stack joint 일반적으로 30층 내외의 건물은 상하 각 20mm정도의 stack joint를 고려하고 있으며, 시공사례로 초고층 건물인 KLCC타워는 8MM의 수직재 수축을 고려한 28MM로 설계하였다. 각 층의 커튼월 설치에 필요한 최대 수직재 수축 수치만큼 층당 8MM의 여유를 두어 패널을 설치하였다.RC구조는 장기 수직재 수축을 Stack joint설계에서 고려해야 함,철골구조는 장기 수축은 미미하나 높은 활하중(live load)에 의한 처짐(deflection)을 특히 고려해야 한다. stack joint설계에서 고려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외기 온도에 최대 일교차에 의한 패널 신축의 최대 예상수치(thermal movement)를 확보한다. 풍압에 의한 건물 자체의 흔들림(sway)수치를 확보한다. 활하물에 의한 슬래브 및 보의 최대 처짐을 고려한다. rc기둥의 층별 장기 수축치(shortening)를 보정한다.패널의 제작 시공오차(tolerance)를 확인한다. 커튼 월의 설계는 우수한 시공성을 감안하여야 한다. 시공성이 결여된 설계는 공기지연,품질하자 등이 발생하여 사후에 어려움이 발생한다.
    05.06 00:11
  • 6등

    김대우

    <원패스1조 >Curtain wall의 Stack joint는 한 개층 단위로 설치되는 unit system에서 unit과 unit이 수평으로 연결되는 부분으로 이 곳에 open joint의 등압공간이 형성된다. Ⅱ. stack joint 일반적으로 30층 내외의 건물은 상하 각 20mm 정도의 stack joint를 고려하고 있으며, 시공사례로 초고층 건물인 KLCC타워는 8mm의 수직재 수축을 고려한 28mm로 설계하였다. 각 층의 커튼월 설치에 필요한 최대 수직재 수축 수치만큼 층당 8mm의 여유를 두어 패널을 설치하였다. RC구조는 장기 수직재 수축을 stack joint 설계에서 고려해야 함, 철골구조는 장기 수축은 미미하나 높은 활하중(live load)에 의한 처짐(deflection)을 특히 고려해야 한다. stack joint 설계에서 고려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외기 온도에 최대 일교차에 의한 패널 신축의 최대 예상수치(thermal movement)를 확보한다. 풍압에 의한 건물 자체의 흔들림(sway) 수치를 확보한다. 활하물에 의한 슬래브 및 보의 최대 처짐을 고려한다. RC 기둥의 층별 장기 수축치(shortening)를 보정한다. 패널의 제작 시공오차(tolerance)를 확인한다. 커튼 월의 설계는 우수한 시공성을 감안하여야 한다. 시공성이 결여된 설계는 공기지연, 품질하자 등이 발생하여 사후에 어려움이 발생한다.
    05.06 00:08
  • 5등

    곽성화

    (불4조)Curtain wall의 Stack joint는 한 개층 단위로 설치되는 unit system에서 unit과 unit이 수평으로 연결되는 부분으로 이 곳에 open joint의 등압공간이 형성된다. Ⅱ. stack joint 일반적으로 30층 내외의 건물은 상하 각 20mm 정도의 stack joint를 고려하고 있으며, 시공사례로 초고층 건물인 KLCC타워는 8mm의 수직재 수축을 고려한 28mm로 설계하였다.각 층의 커튼월 설치에 필요한 최대 수직재 수축 수치만큼 층당 8mm의 여유를 두어 패널을 설치하였다. RC구조는 장기 수직재 수축을 stack joint 설계에서 고려해야 함, 철골구조는 장기 수축은 미미하나 높은 활하중(live load)에 의한 처짐(deflection)을 특히 고려해야 한다.   stack joint 설계에서 고려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외기 온도에 최대 일교차에 의한 패널 신축의 최대 예상수치(thermal movement)를 확보한다.풍압에 의한 건물 자체의 흔들림(sway) 수치를 확보한다.활하물에 의한 슬래브 및 보의 최대 처짐을 고려한다.RC 기둥의 층별 장기 수축치(shortening)를 보정한다.패널의 제작 시공오차(tolerance)를 확인한다.     커튼 월의 설계는 우수한 시공성을 감안하여야 한다. 시공성이 결여된 설계는 공기지연, 품질하자 등이 발생하여 사후에 어려움이 발생한다
    05.06 00:01
  • 4등

    홍순근

    최강8조 Curtain wall의 Stack joint는 한 개층 단위로 설치되는 unit system에서 unit과 unit이 수평으로 연결되는 부분으로 이 곳에 open joint의 등압공간이 형성된다. Ⅱ. stack joint 일반적으로 30층 내외의 건물은 상하 각 20mm 정도의 stack joint를 고려하고 있으며, 시공사례로 초고층 건물인 KLCC타워는 8mm의 수직재 수축을 고려한 28mm로 설계하였다. 각 층의 커튼월 설치에 필요한 최대 수직재 수축 수치만큼 층당 8mm의 여유를 두어 패널을 설치하였다. RC구조는 장기 수직재 수축을 stack joint 설계에서 고려해야 함, 철골구조는 장기 수축은 미미하나 높은 활하중(live load)에 의한 처짐(deflection)을 특히 고려해야 한다. stack joint 설계에서 고려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외기 온도에 최대 일교차에 의한 패널 신축의 최대 예상수치(thermal movement)를 확보한다. 풍압에 의한 건물 자체의 흔들림(sway) 수치를 확보한다. 활하물에 의한 슬래브 및 보의 최대 처짐을 고려한다. RC 기둥의 층별 장기 수축치(shortening)를 보정한다. 패널의 제작 시공오차(tolerance)를 확인한ㄷ. 커튼 월의 설계는 우수한 시공성을 감안하여야 한다. 시공성이 결여된 설계는 공기지연, 품질하자 등이 발생하여 사후에 어려움이 발생한다.
    05.06 00:01
  • 3등

    한원준

    <열공불패 10조>Curtain wall의 Stack joint는 한 개층 단위로 설치되는 unit system에서 unit과 unit이 수평으로 연결되는 부분으로 이 곳에 open joint의 등압공간이 형성된다. Ⅱ. stack joint 일반적으로 30층 내외의 건물은 상하 각 20mm 정도의 stack joint를 고려하고 있으며, 시공사례로 초고층 건물인 KLCC타워는 8mm의 수직재 수축을 고려한 28mm로 설계하였다. 각 층의 커튼월 설치에 필요한 최대 수직재 수축 수치만큼 층당 8mm의 여유를 두어 패널을 설치하였다. RC구조는 장기 수직재 수축을 stack joint 설계에서 고려해야 함, 철골구조는 장기 수축은 미미하나 높은 활하중(live load)에 의한 처짐(deflection)을 특히 고려해야 한다. stack joint 설계에서 고려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외기 온도에 최대 일교차에 의한 패널 신축의 최대 예상수치(thermal movement)를 확보한다. 풍압에 의한 건물 자체의 흔들림(sway) 수치를 확보한다. 활하물에 의한 슬래브 및 보의 최대 처짐을 고려한다. RC 기둥의 층별 장기 수축치(shortening)를 보정한다. 패널의 제작 시공오차(tolerance)를 확인한ㄷ. 커튼 월의 설계는 우수한 시공성을 감안하여야 한다. 시공성이 결여된 설계는 공기지연, 품질하자 등이 발생하여 사후에 어려움이 발생한다.
    05.06 00:00
  • 2등

    송용철

    <열공불패10조>Curtain wall의 Stack joint는 한 개층 단위로 설치되는 unit system에서 unit과 unit이 수평으로 연결되는 부분으로 이 곳에 open joint의 등압공간이 형성된다. Ⅱ. stack joint 일반적으로 30층 내외의 건물은 상하 각 20mm 정도의 stack joint를 고려하고 있으며, 시공사례로 초고층 건물인 KLCC타워는 8mm의 수직재 수축을 고려한 28mm로 설계하였다. 각 층의 커튼월 설치에 필요한 최대 수직재 수축 수치만큼 층당 8mm의 여유를 두어 패널을 설치하였다. RC구조는 장기 수직재 수축을 stack joint 설계에서 고려해야 함, 철골구조는 장기 수축은 미미하나 높은 활하중(live load)에 의한 처짐(deflection)을 특히 고려해야 한다. stack joint 설계에서 고려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외기 온도에 최대 일교차에 의한 패널 신축의 최대 예상수치(thermal movement)를 확보한다. 풍압에 의한 건물 자체의 흔들림(sway) 수치를 확보한다. 활하물에 의한 슬래브 및 보의 최대 처짐을 고려한다. RC 기둥의 층별 장기 수축치(shortening)를 보정한다. 패널의 제작 시공오차(tolerance)를 확인한ㄷ. 커튼 월의 설계는 우수한 시공성을 감안하여야 한다. 시공성이 결여된 설계는 공기지연, 품질하자 등이 발생하여 사후에 어려움이 발생한다.
    05.06 00:00
  •  
  • 1
  • 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