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 시험정보
  • 학원강의
  • 온라인강의

    강의업로드

  • 교재안내
  • 합격현황
  • 학습게시판
  • 나의강의실
학습게시판

학습게시판

HOME>학습게시판>학습게시판

2021년 12월
[오늘의 출첵미션]
  • 국내 시방서 운영체계
  • 표준시방서

시설물의 안전 및 공사시행의 적정성과 품질확보 등을 위하여 시설별로 정한 표준적인 시공기준으로서 발주청 또는 설계 등 용역업자가 공사시방서를 작성하는 경우에 활용하기 위한 시공기준을 말한다.(건설기술관리법 시행규칙 제14조의 2 제1항)

  • 전문시방서

시설물별 표준시방서를 기본으로 모든 공종을 대상으로 하여 특정한 공사의 시공 또는 공사시방서의 작성에 활용하기 위한 종합적인 시공기준을 말한다.(건설기술관리법 시행규칙 제14조의 2 제2항)

  • 공사시방서

공사별로 건설공사 수행을 위한 기준으로서 계약문서의 일부가 되며, 설계도면에 표시하기 곤란하거나 불편한 내용과 당해 공사의 수행을 위한 재료, 공법, 품질시험 및 검사 등 품질관리, 안전관리계획 등에 관한 사항을 기술하고, 당해 공사의 특수성, 지역여건, 공사방법 등을 고려하여 공사별, 공종별로 정하여 시행하는 시공기준을 말한다.(건설기술관리법 시행규칙 제14조의 2 제3항 제4호에 근거함)

  • 내용상의 분류
  • 일반시방서(General specification)

입찰 요구조건과 계약조건으로 구분되어 비기술적인 일반 사항을 규정하는 시방서이다.

  • 기술시방서(Technical specification)

설계도면으로 표시할 수 없는 공사 전반에 걸친 기술적인 사항을 규정하는 시방서로서, 각 공종별로 재료의 성능, 성격 및 시험 등 재료에 관한 사항과 시공방법, 시공상태 및 허용오차 등 시공에 관한 사항, 해당 공종과 관련되는 다른 공종과의 관계 및 공사전반에 관한 주의사항 등이 수록된다.

  • 사용목적상의 분류
  • 표준시방서(Standard specification)
  • 편의상 별도의 공사시방서를 작성하지 않고 모든 공사에서 공통적으로 적용이 되는 사항을 규정한 시방서로서 일종의 가이드 시방서이다.
  • 특히 국내의 경우 정부공사 등에 적용되는 각종 표준시방서가 이에 해당된다.
  • 특기시방서 (Particular specification)

공사의 특징에 따라서 표준시방서의 적용범위, 표준시방서에 없는 사항과 표준시방서에서 특기 시방으로 정하도록 되어 있는 사항 등을 규정한 시방서로서 국내에서는 공사시방서의 일부로 포함된다.

  • 공사시방서 (Project specification)

해당공사의 설계도서 작성시 작성되어 해당공사 수행시 시공기준이 되는 것으로서 계약이 체결된 후에는 계약시방서가 된다.

이러한 공사시방서는 가이드 시방서를 이용하면 보다 확실하고 용이하게 작성할 수 있다.

  • 가이드 시방서(Guide specification)

공사시방서 작성시에 지침이 되는 예시시방서로서 공사에 해당되지 않는 사항은 삭제하고 필요한 사항은 새로 추가할 수 있도록 괄호 넣기 또는 선다형으로 구성된 시방서이다.

이러한 가이드 시방서로는 미국의 경우, 미국건축사협회(American Institute of Architects, AIA)의 건설과학연구소(Construction Science Research Foundation, CSRF)의 MASTERSPEC 2, SPECTEXT 등이 있다.

오늘의 출첵멤버 : 13

더보기
  • 26등

    하정은

    [Great C조]국내 시방서 운영체계 표준시방서 시설물의 안전 및 공사시행의 적정성과 품질확보 등을 위하여 시설별로 정한 표준적인 시공기준으로서 발주청 또는 설계 등 용역업자가 공사시방서를 작성하는 경우에 활용하기 위한 시공기준을 말한다.(건설기술관리법 시행규칙 제14조의 2 제1항) 전문시방서 시설물별 표준시방서를 기본으로 모든 공종을 대상으로 하여 특정한 공사의 시공 또는 공사시방서의 작성에 활용하기 위한 종합적인 시공기준을 말한다.(건설기술관리법 시행규칙 제14조의 2 제2항) 공사시방서 공사별로 건설공사 수행을 위한 기준으로서 계약문서의 일부가 되며, 설계도면에 표시하기 곤란하거나 불편한 내용과 당해 공사의 수행을 위한 재료, 공법, 품질시험 및 검사 등 품질관리, 안전관리계획 등에 관한 사항을 기술하고, 당해 공사의 특수성, 지역여건, 공사방법 등을 고려하여 공사별, 공종별로 정하여 시행하는 시공기준을 말한다.(건설기술관리법 시행규칙 제14조의 2 제3항 제4호에 근거함) 내용상의 분류 일반시방서(General specification) 입찰 요구조건과 계약조건으로 구분되어 비기술적인 일반 사항을 규정하는 시방서이다. 기술시방서(Technical specification) 설계도면으로 표시할 수 없는 공사 전반에 걸친 기술적인 사항을 규정하는 시방서로서, 각 공종별로 재료의 성능, 성격 및 시험 등 재료에 관한 사항과 시공방법, 시공상태 및 허용오차 등 시공에 관한 사항, 해당 공종과 관련되는 다른 공종과의 관계 및 공사전반에 관한 주의사항 등이 수록된다. 사용목적상의 분류 표준시방서(Standard specification) 편의상 별도의 공사시방서를 작성하지 않고 모든 공사에서 공통적으로 적용이 되는 사항을 규정한 시방서로서 일종의 가이드 시방서이다. 특히 국내의 경우 정부공사 등에 적용되는 각종 표준시방서가 이에 해당된다. 특기시방서 (Particular specification) 공사의 특징에 따라서 표준시방서의 적용범위, 표준시방서에 없는 사항과 표준시방서에서 특기 시방으로 정하도록 되어 있는 사항 등을 규정한 시방서로서 국내에서는 공사시방서의 일부로 포함된다. 공사시방서 (Project specification) 해당공사의 설계도서 작성시 작성되어 해당공사 수행시 시공기준이 되는 것으로서 계약이 체결된 후에는 계약시방서가 된다. 이러한 공사시방서는 가이드 시방서를 이용하면 보다 확실하고 용이하게 작성할 수 있다. 가이드 시방서(Guide specification) 공사시방서 작성시에 지침이 되는 예시시방서로서 공사에 해당되지 않는 사항은 삭제하고 필요한 사항은 새로 추가할 수 있도록 괄호 넣기 또는 선다형으로 구성된 시방서이다. 이러한 가이드 시방서로는 미국의 경우, 미국건축사협회(American Institute of Architects, AIA)의 건설과학연구소(Construction Science Research Foundation, CSRF)의 MASTERSPEC 2, SPECTEXT 등이 있다.
    12.22 05:02
  • 25등

    김대원

    [toptier온라인B조]국내 시방서 운영체계 1.표준시방서 : 시설물의 안전 및 공사시행의 적정성과 품질확보등을 위하여 시설별로 정한 표준적인 시공기준으로서 발주청 또는 설계 등 용역업자가 공사시방서를 작성하는 경우에 활용하기 위한 시공기준을 말한다.(건설기술관리법 시행규칙 제14조의2 제1항) 2. 전문시방서 : 시설물별 표준시방서를 기본으로 모든 공종을 대상으로하여 특정한 공사의 시공 또는 공사시방서의 작성에 활용하기 위한 종합적인 시공기준을 말한다. (건설기술관리법 시행규칙 제14조의2 제2항) 3. 공사시방서 : 공사별로 건설공사 수행을 위한 기준으로서 계약문서의 일부가 되며, 설계도면에 표시하기 곤란하거나 불편한 내용과 당해 공사의 수행을 위한 재료, 공법, 품질시험 및 검사 등 품질관리, 안전관리계획 등에 관한 사항을 기술하고, 당해 공사의 특수성, 지역여건, 공사방법등을 고려하여 공사별, 공종별로 정하여 시행하는 시공기준을 말한다. (건설기술관리법 시행규칙 제14조의2 제3항, 제4항에 근거함) 내용상의 분류 1. 일반시방서(general specification) : 입찰요구조건과 계약조건으로 구분되어 비기술적인 일반사항을 규정하는 시방서이다. 2. 기술시방서(technical specification) : 설계도면으로 표시할 수 없는 공사전반에 걸친 기술적인 사항을 규정하는 시방서로서, 각 공종별로 재료의 성능, 성격 및 시험 등 재료에 관한 사항과 시공방법, 시공상태 및 허용오차 등 시공에 관한 사항, 해당공종과 관련되는 다른 공종과의 관계 및 공사 전반에 관한 주의사항 등이 수록된다. 사용목적상의 분류 1. 표준시방서(standard specification) :편의상 별도의 공사시방서를 작성하 않고 모든공사에서 공통적으로 적용이 되는 사항을 규정한 시방서로서 일종의 가이드 시방서이다. 특히 국내의 경우 정부공사 등에 적용되는 각종 표준시방서가 이에 해당된다. 2. 특기시방서(particular specification) : 공사의 특징에 따라서 표준시방서의 적용범위, 표준시방서에 없는 사항과표준시방서에서 특기시방서로 정하도록 되어있는 사항등을 규정한 시방서로서 국내에서는 공사시방서의 일부로 포함된다. 3. 공사시방서(project specification) : 해당공사의 설계도서 작성시 작성되어 해당공사 수행시 시공기준이 되는 것으로서 계약이 체결된 후에는 계약시방서가 된다. 이러한 공사시방서는 가이드 시방서를 이용하면 보다 확실하고 용이하게 작성할 수 있다. 4. 가이드시방서(guide specification) : 공사시방서 작성시에 지침이 되는 예시 시방서로서 공사에 해당되지 않는 사항은 삭제하고 필요한 사항은 새로 추가할 수 있도록 괄호넣기 또는 선다형으로 구성된 시방서이다. 이러한 가이드 시방서로는 미국의경우 미국 건축사협회(American Institute of Architects, AIA)의 건설과학연구소(Construction Science Research Foundation, CSRF)의 MASTERSPEC 2, SPECTEXT등이 있다.
    12.22 00:45
  • 24등

    최훈

    [Toptier온라인B] 국내 시방서 운영체계 표준시방서 시설물의 안전 및 공사시행의 적정성과 품질확보 등을 위하여 시설별로 정한 표준적인 시공기준으로서 발주청 또는 설계 등 용역업자가 공사시방서를 작성하는 경우에 활용하기 위한 시공기준을 말한다.(건설기술관리법 시행규칙 제14조의 2 제1항) 전문시방서 시설물별 표준시방서를 기본으로 모든 공종을 대상으로 하여 특정한 공사의 시공 또는 공사시방서의 작성에 활용하기 위한 종합적인 시공기준을 말한다.(건설기술관리법 시행규칙 제14조의 2 제2항) 공사시방서 공사별로 건설공사 수행을 위한 기준으로서 계약문서의 일부가 되며, 설계도면에 표시하기 곤란하거나 불편한 내용과 당해 공사의 수행을 위한 재료, 공법, 품질시험 및 검사 등 품질관리, 안전관리계획 등에 관한 사항을 기술하고, 당해 공사의 특수성, 지역여건, 공사방법 등을 고려하여 공사별, 공종별로 정하여 시행하는 시공기준을 말한다.(건설기술관리법 시행규칙 제14조의 2 제3항 제4호에 근거함) 내용상의 분류 일반시방서(General specification) 입찰 요구조건과 계약조건으로 구분되어 비기술적인 일반 사항을 규정하는 시방서이다. 기술시방서(Technical specification) 설계도면으로 표시할 수 없는 공사 전반에 걸친 기술적인 사항을 규정하는 시방서로서, 각 공종별로 재료의 성능, 성격 및 시험 등 재료에 관한 사항과 시공방법, 시공상태 및 허용오차 등 시공에 관한 사항, 해당 공종과 관련되는 다른 공종과의 관계 및 공사전반에 관한 주의사항 등이 수록된다. 사용목적상의 분류 표준시방서(Standard specification) 편의상 별도의 공사시방서를 작성하지 않고 모든 공사에서 공통적으로 적용이 되는 사항을 규정한 시방서로서 일종의 가이드 시방서이다. 특히 국내의 경우 정부공사 등에 적용되는 각종 표준시방서가 이에 해당된다. 특기시방서 (Particular specification) 공사의 특징에 따라서 표준시방서의 적용범위, 표준시방서에 없는 사항과 표준시방서에서 특기 시방으로 정하도록 되어 있는 사항 등을 규정한 시방서로서 국내에서는 공사시방서의 일부로 포함된다. 공사시방서 (Project specification) 해당공사의 설계도서 작성시 작성되어 해당공사 수행시 시공기준이 되는 것으로서 계약이 체결된 후에는 계약시방서가 된다. 이러한 공사시방서는 가이드 시방서를 이용하면 보다 확실하고 용이하게 작성할 수 있다. 가이드 시방서(Guide specification) 공사시방서 작성시에 지침이 되는 예시시방서로서 공사에 해당되지 않는 사항은 삭제하고 필요한 사항은 새로 추가할 수 있도록 괄호 넣기 또는 선다형으로 구성된 시방서이다. 이러한 가이드 시방서로는 미국의 경우, 미국건축사협회(American Institute of Architects, AIA)의 건설과학연구소(Construction Science Research Foundation, CSRF)의 MASTERSPEC 2, SPECTEXT 등이 있다.
    12.22 00:43
  • 23등

    백종엽

    우리는 하나
    12.22 00:28
  • 22등

    노승대

    엄청 기네요~~~
    12.22 00:11
  • 21등

    정문철

    [InPass온라인A] 국내 시방서 운영체계 표준시방서 시설물의 안전 및 공사시행의 적정성과 품질확보 등을 위하여 시설별로 정한 표준적인 시공기준으로서 발주청 또는 설계 등 용역업자가 공사시방서를 작성하는 경우에 활용하기 위한 시공기준을 말한다.(건설기술관리법 시행규칙 제14조의 2 제1항) 전문시방서 시설물별 표준시방서를 기본으로 모든 공종을 대상으로 하여 특정한 공사의 시공 또는 공사시방서의 작성에 활용하기 위한 종합적인 시공기준을 말한다.(건설기술관리법 시행규칙 제14조의 2 제2항) 공사시방서 공사별로 건설공사 수행을 위한 기준으로서 계약문서의 일부가 되며, 설계도면에 표시하기 곤란하거나 불편한 내용과 당해 공사의 수행을 위한 재료, 공법, 품질시험 및 검사 등 품질관리, 안전관리계획 등에 관한 사항을 기술하고, 당해 공사의 특수성, 지역여건, 공사방법 등을 고려하여 공사별, 공종별로 정하여 시행하는 시공기준을 말한다.(건설기술관리법 시행규칙 제14조의 2 제3항 제4호에 근거함) 내용상의 분류 일반시방서(General specification) 입찰 요구조건과 계약조건으로 구분되어 비기술적인 일반 사항을 규정하는 시방서이다. 기술시방서(Technical specification) 설계도면으로 표시할 수 없는 공사 전반에 걸친 기술적인 사항을 규정하는 시방서로서, 각 공종별로 재료의 성능, 성격 및 시험 등 재료에 관한 사항과 시공방법, 시공상태 및 허용오차 등 시공에 관한 사항, 해당 공종과 관련되는 다른 공종과의 관계 및 공사전반에 관한 주의사항 등이 수록된다. 사용목적상의 분류 표준시방서(Standard specification) 편의상 별도의 공사시방서를 작성하지 않고 모든 공사에서 공통적으로 적용이 되는 사항을 규정한 시방서로서 일종의 가이드 시방서이다. 특히 국내의 경우 정부공사 등에 적용되는 각종 표준시방서가 이에 해당된다. 특기시방서 (Particular specification) 공사의 특징에 따라서 표준시방서의 적용범위, 표준시방서에 없는 사항과 표준시방서에서 특기 시방으로 정하도록 되어 있는 사항 등을 규정한 시방서로서 국내에서는 공사시방서의 일부로 포함된다. 공사시방서 (Project specification) 해당공사의 설계도서 작성시 작성되어 해당공사 수행시 시공기준이 되는 것으로서 계약이 체결된 후에는 계약시방서가 된다. 이러한 공사시방서는 가이드 시방서를 이용하면 보다 확실하고 용이하게 작성할 수 있다. 가이드 시방서(Guide specification) 공사시방서 작성시에 지침이 되는 예시시방서로서 공사에 해당되지 않는 사항은 삭제하고 필요한 사항은 새로 추가할 수 있도록 괄호 넣기 또는 선다형으로 구성된 시방서이다. 이러한 가이드 시방서로는 미국의 경우, 미국건축사협회(American Institute of Architects, AIA)의 건설과학연구소(Construction Science Research Foundation, CSRF)의 MASTERSPEC 2, SPECTEXT 등이 있다.
    12.22 00:11
  • 20등

    노승대

    원패스 1조. 필인 국내 시방서 운영체계 표준시방서 시설물의 안전 및 공사시행의 적정성과 품질확보 등을 위하여 시설별로 정한 표준적인 시공기준으로서 발주청 또는 설계 등 용역업자가 공사시방서를 작성하는 경우에 활용하기 위한 시공기준을 말한다.(건설기술관리법 시행규칙 제14조의 2 제1항) 전문시방서 시설물별 표준시방서를 기본으로 모든 공종을 대상으로 하여 특정한 공사의 시공 또는 공사시방서의 작성에 활용하기 위한 종합적인 시공기준을 말한다.(건설기술관리법 시행규칙 제14조의 2 제2항) 공사시방서 공사별로 건설공사 수행을 위한 기준으로서 계약문서의 일부가 되며, 설계도면에 표시하기 곤란하거나 불편한 내용과 당해 공사의 수행을 위한 재료, 공법, 품질시험 및 검사 등 품질관리, 안전관리계획 등에 관한 사항을 기술하고, 당해 공사의 특수성, 지역여건, 공사방법 등을 고려하여 공사별, 공종별로 정하여 시행하는 시공기준을 말한다.(건설기술관리법 시행규칙 제14조의 2 제3항 제4호에 근거함) 내용상의 분류 일반시방서(General specification) 입찰 요구조건과 계약조건으로 구분되어 비기술적인 일반 사항을 규정하는 시방서이다. 기술시방서(Technical specification) 설계도면으로 표시할 수 없는 공사 전반에 걸친 기술적인 사항을 규정하는 시방서로서, 각 공종별로 재료의 성능, 성격 및 시험 등 재료에 관한 사항과 시공방법, 시공상태 및 허용오차 등 시공에 관한 사항, 해당 공종과 관련되는 다른 공종과의 관계 및 공사전반에 관한 주의사항 등이 수록된다. 사용목적상의 분류 표준시방서(Standard specification) 편의상 별도의 공사시방서를 작성하지 않고 모든 공사에서 공통적으로 적용이 되는 사항을 규정한 시방서로서 일종의 가이드 시방서이다. 특히 국내의 경우 정부공사 등에 적용되는 각종 표준시방서가 이에 해당된다. 특기시방서 (Particular specification) 공사의 특징에 따라서 표준시방서의 적용범위, 표준시방서에 없는 사항과 표준시방서에서 특기 시방으로 정하도록 되어 있는 사항 등을 규정한 시방서로서 국내에서는 공사시방서의 일부로 포함된다. 공사시방서 (Project specification) 해당공사의 설계도서 작성시 작성되어 해당공사 수행시 시공기준이 되는 것으로서 계약이 체결된 후에는 계약시방서가 된다. 이러한 공사시방서는 가이드 시방서를 이용하면 보다 확실하고 용이하게 작성할 수 있다. 가이드 시방서(Guide specification) 공사시방서 작성시에 지침이 되는 예시시방서로서 공사에 해당되지 않는 사항은 삭제하고 필요한 사항은 새로 추가할 수 있도록 괄호 넣기 또는 선다형으로 구성된 시방서이다. 이러한 가이드 시방서로는 미국의 경우, 미국건축사협회(American Institute of Architects, AIA)의 건설과학연구소(Construction Science Research Foundation, CSRF)의 MASTERSPEC 2, SPECTEXT 등이 있다.
    12.22 00:11
  • 19등

    정호영

    국내 시방서 운영체계 표준시방서 시설물의 안전 및 공사시행의 적정성과 품질확보 등을 위하여 시설별로 정한 표준적인 시공기준으로서 발주청 또는 설계 등 용역업자가 공사시방서를 작성하는 경우에 활용하기 위한 시공기준을 말한다.(건설기술관리법 시행규칙 제14조의 2 제1항) 전문시방서 시설물별 표준시방서를 기본으로 모든 공종을 대상으로 하여 특정한 공사의 시공 또는 공사시방서의 작성에 활용하기 위한 종합적인 시공기준을 말한다.(건설기술관리법 시행규칙 제14조의 2 제2항) 공사시방서 공사별로 건설공사 수행을 위한 기준으로서 계약문서의 일부가 되며, 설계도면에 표시하기 곤란하거나 불편한 내용과 당해 공사의 수행을 위한 재료, 공법, 품질시험 및 검사 등 품질관리, 안전관리계획 등에 관한 사항을 기술하고, 당해 공사의 특수성, 지역여건, 공사방법 등을 고려하여 공사별, 공종별로 정하여 시행하는 시공기준을 말한다.(건설기술관리법 시행규칙 제14조의 2 제3항 제4호에 근거함) 내용상의 분류 일반시방서(General specification) 입찰 요구조건과 계약조건으로 구분되어 비기술적인 일반 사항을 규정하는 시방서이다. 기술시방서(Technical specification) 설계도면으로 표시할 수 없는 공사 전반에 걸친 기술적인 사항을 규정하는 시방서로서, 각 공종별로 재료의 성능, 성격 및 시험 등 재료에 관한 사항과 시공방법, 시공상태 및 허용오차 등 시공에 관한 사항, 해당 공종과 관련되는 다른 공종과의 관계 및 공사전반에 관한 주의사항 등이 수록된다. 사용목적상의 분류 표준시방서(Standard specification) 편의상 별도의 공사시방서를 작성하지 않고 모든 공사에서 공통적으로 적용이 되는 사항을 규정한 시방서로서 일종의 가이드 시방서이다. 특히 국내의 경우 정부공사 등에 적용되는 각종 표준시방서가 이에 해당된다. 특기시방서 (Particular specification) 공사의 특징에 따라서 표준시방서의 적용범위, 표준시방서에 없는 사항과 표준시방서에서 특기 시방으로 정하도록 되어 있는 사항 등을 규정한 시방서로서 국내에서는 공사시방서의 일부로 포함된다. 공사시방서 (Project specification) 해당공사의 설계도서 작성시 작성되어 해당공사 수행시 시공기준이 되는 것으로서 계약이 체결된 후에는 계약시방서가 된다. 이러한 공사시방서는 가이드 시방서를 이용하면 보다 확실하고 용이하게 작성할 수 있다. 가이드 시방서(Guide specification) 공사시방서 작성시에 지침이 되는 예시시방서로서 공사에 해당되지 않는 사항은 삭제하고 필요한 사항은 새로 추가할 수 있도록 괄호 넣기 또는 선다형으로 구성된 시방서이다. 이러한 가이드 시방서로는 미국의 경우, 미국건축사협회(American Institute of Architects, AIA)의 건설과학연구소(Construction Science Research Foundation, CSRF)의 MASTERSPEC 2, SPECTEXT 등이 있다.
    12.22 00:09
  • 18등

    류호준

    [Toptier온라인B]국내 시방서 운영체계 표준시방서 시설물의 안전 및 공사시행의 적정성과 품질확보 등을 위하여 시설별로 정한 표준적인 시공기준으로서 발주청 또는 설계 등 용역업자가 공사시방서를 작성하는 경우에 활용하기 위한 시공기준을 말한다.(건설기술관리법 시행규칙 제14조의 2 제1항) 전문시방서 시설물별 표준시방서를 기본으로 모든 공종을 대상으로 하여 특정한 공사의 시공 또는 공사시방서의 작성에 활용하기 위한 종합적인 시공기준을 말한다.(건설기술관리법 시행규칙 제14조의 2 제2항) 공사시방서 공사별로 건설공사 수행을 위한 기준으로서 계약문서의 일부가 되며, 설계도면에 표시하기 곤란하거나 불편한 내용과 당해 공사의 수행을 위한 재료, 공법, 품질시험 및 검사 등 품질관리, 안전관리계획 등에 관한 사항을 기술하고, 당해 공사의 특수성, 지역여건, 공사방법 등을 고려하여 공사별, 공종별로 정하여 시행하는 시공기준을 말한다.(건설기술관리법 시행규칙 제14조의 2 제3항 제4호에 근거함) 내용상의 분류 일반시방서(General specification) 입찰 요구조건과 계약조건으로 구분되어 비기술적인 일반 사항을 규정하는 시방서이다. 기술시방서(Technical specification) 설계도면으로 표시할 수 없는 공사 전반에 걸친 기술적인 사항을 규정하는 시방서로서, 각 공종별로 재료의 성능, 성격 및 시험 등 재료에 관한 사항과 시공방법, 시공상태 및 허용오차 등 시공에 관한 사항, 해당 공종과 관련되는 다른 공종과의 관계 및 공사전반에 관한 주의사항 등이 수록된다. 사용목적상의 분류 표준시방서(Standard specification) 편의상 별도의 공사시방서를 작성하지 않고 모든 공사에서 공통적으로 적용이 되는 사항을 규정한 시방서로서 일종의 가이드 시방서이다. 특히 국내의 경우 정부공사 등에 적용되는 각종 표준시방서가 이에 해당된다. 특기시방서 (Particular specification) 공사의 특징에 따라서 표준시방서의 적용범위, 표준시방서에 없는 사항과 표준시방서에서 특기 시방으로 정하도록 되어 있는 사항 등을 규정한 시방서로서 국내에서는 공사시방서의 일부로 포함된다. 공사시방서 (Project specification) 해당공사의 설계도서 작성시 작성되어 해당공사 수행시 시공기준이 되는 것으로서 계약이 체결된 후에는 계약시방서가 된다. 이러한 공사시방서는 가이드 시방서를 이용하면 보다 확실하고 용이하게 작성할 수 있다. 가이드 시방서(Guide specification) 공사시방서 작성시에 지침이 되는 예시시방서로서 공사에 해당되지 않는 사항은 삭제하고 필요한 사항은 새로 추가할 수 있도록 괄호 넣기 또는 선다형으로 구성된 시방서이다. 이러한 가이드 시방서로는 미국의 경우, 미국건축사협회(American Institute of Architects, AIA)의 건설과학연구소(Construction Science Research Foundation, CSRF)의 MASTERSPEC 2, SPECTEXT 등이 있다.
    12.22 00:06
  • 17등

    성수빈

    [InPass온라인A] 국내 시방서 운영체계 표준시방서 시설물의 안전 및 공사시행의 적정성과 품질확보 등을 위하여 시설별로 정한 표준적인 시공기준으로서 발주청 또는 설계 등 용역업자가 공사시방서를 작성하는 경우에 활용하기 위한 시공기준을 말한다.(건설기술관리법 시행규칙 제14조의 2 제1항) 전문시방서 시설물별 표준시방서를 기본으로 모든 공종을 대상으로 하여 특정한 공사의 시공 또는 공사시방서의 작성에 활용하기 위한 종합적인 시공기준을 말한다.(건설기술관리법 시행규칙 제14조의 2 제2항) 공사시방서 공사별로 건설공사 수행을 위한 기준으로서 계약문서의 일부가 되며, 설계도면에 표시하기 곤란하거나 불편한 내용과 당해 공사의 수행을 위한 재료, 공법, 품질시험 및 검사 등 품질관리, 안전관리계획 등에 관한 사항을 기술하고, 당해 공사의 특수성, 지역여건, 공사방법 등을 고려하여 공사별, 공종별로 정하여 시행하는 시공기준을 말한다.(건설기술관리법 시행규칙 제14조의 2 제3항 제4호에 근거함) 내용상의 분류 일반시방서(General specification) 입찰 요구조건과 계약조건으로 구분되어 비기술적인 일반 사항을 규정하는 시방서이다. 기술시방서(Technical specification) 설계도면으로 표시할 수 없는 공사 전반에 걸친 기술적인 사항을 규정하는 시방서로서, 각 공종별로 재료의 성능, 성격 및 시험 등 재료에 관한 사항과 시공방법, 시공상태 및 허용오차 등 시공에 관한 사항, 해당 공종과 관련되는 다른 공종과의 관계 및 공사전반에 관한 주의사항 등이 수록된다. 사용목적상의 분류 표준시방서(Standard specification) 편의상 별도의 공사시방서를 작성하지 않고 모든 공사에서 공통적으로 적용이 되는 사항을 규정한 시방서로서 일종의 가이드 시방서이다. 특히 국내의 경우 정부공사 등에 적용되는 각종 표준시방서가 이에 해당된다. 특기시방서 (Particular specification) 공사의 특징에 따라서 표준시방서의 적용범위, 표준시방서에 없는 사항과 표준시방서에서 특기 시방으로 정하도록 되어 있는 사항 등을 규정한 시방서로서 국내에서는 공사시방서의 일부로 포함된다. 공사시방서 (Project specification) 해당공사의 설계도서 작성시 작성되어 해당공사 수행시 시공기준이 되는 것으로서 계약이 체결된 후에는 계약시방서가 된다. 이러한 공사시방서는 가이드 시방서를 이용하면 보다 확실하고 용이하게 작성할 수 있다. 가이드 시방서(Guide specification) 공사시방서 작성시에 지침이 되는 예시시방서로서 공사에 해당되지 않는 사항은 삭제하고 필요한 사항은 새로 추가할 수 있도록 괄호 넣기 또는 선다형으로 구성된 시방서이다. 이러한 가이드 시방서로는 미국의 경우, 미국건축사협회(American Institute of Architects, AIA)의 건설과학연구소(Construction Science Research Foundation, CSRF)의 MASTERSPEC 2, SPECTEXT 등이 있다.
    12.22 00:04
  • 16등

    심재관

    국내 시방서 운영체계 표준시방서 시설물의 안전 및 공사시행의 적정성과 품질확보 등을 위하여 시설별로 정한 표준적인 시공기준으로서 발주청 또는 설계 등 용역업자가 공사시방서를 작성하는 경우에 활용하기 위한 시공기준을 말한다.(건설기술관리법 시행규칙 제14조의 2 제1항) 전문시방서 시설물별 표준시방서를 기본으로 모든 공종을 대상으로 하여 특정한 공사의 시공 또는 공사시방서의 작성에 활용하기 위한 종합적인 시공기준을 말한다.(건설기술관리법 시행규칙 제14조의 2 제2항) 공사시방서 공사별로 건설공사 수행을 위한 기준으로서 계약문서의 일부가 되며, 설계도면에 표시하기 곤란하거나 불편한 내용과 당해 공사의 수행을 위한 재료, 공법, 품질시험 및 검사 등 품질관리, 안전관리계획 등에 관한 사항을 기술하고, 당해 공사의 특수성, 지역여건, 공사방법 등을 고려하여 공사별, 공종별로 정하여 시행하는 시공기준을 말한다.(건설기술관리법 시행규칙 제14조의 2 제3항 제4호에 근거함) 내용상의 분류 일반시방서(General specification) 입찰 요구조건과 계약조건으로 구분되어 비기술적인 일반 사항을 규정하는 시방서이다. 기술시방서(Technical specification) 설계도면으로 표시할 수 없는 공사 전반에 걸친 기술적인 사항을 규정하는 시방서로서, 각 공종별로 재료의 성능, 성격 및 시험 등 재료에 관한 사항과 시공방법, 시공상태 및 허용오차 등 시공에 관한 사항, 해당 공종과 관련되는 다른 공종과의 관계 및 공사전반에 관한 주의사항 등이 수록된다. 사용목적상의 분류 표준시방서(Standard specification) 편의상 별도의 공사시방서를 작성하지 않고 모든 공사에서 공통적으로 적용이 되는 사항을 규정한 시방서로서 일종의 가이드 시방서이다. 특히 국내의 경우 정부공사 등에 적용되는 각종 표준시방서가 이에 해당된다. 특기시방서 (Particular specification) 공사의 특징에 따라서 표준시방서의 적용범위, 표준시방서에 없는 사항과 표준시방서에서 특기 시방으로 정하도록 되어 있는 사항 등을 규정한 시방서로서 국내에서는 공사시방서의 일부로 포함된다. 공사시방서 (Project specification) 해당공사의 설계도서 작성시 작성되어 해당공사 수행시 시공기준이 되는 것으로서 계약이 체결된 후에는 계약시방서가 된다. 이러한 공사시방서는 가이드 시방서를 이용하면 보다 확실하고 용이하게 작성할 수 있다. 가이드 시방서(Guide specification) 공사시방서 작성시에 지침이 되는 예시시방서로서 공사에 해당되지 않는 사항은 삭제하고 필요한 사항은 새로 추가할 수 있도록 괄호 넣기 또는 선다형으로 구성된 시방서이다. 이러한 가이드 시방서로는 미국의 경우, 미국건축사협회(American Institute of Architects, AIA)의 건설과학연구소(Construction Science Research Foundation, CSRF)의 MASTERSPEC 2, SPECTEXT 등이 있다. 오늘의 출첵멤버 : 14명
    12.22 00:02
  • 15등

    윤정석

    [스파르타3조] 국내 시방서 운영체계 표준시방서 시설물의 안전 및 공사시행의 적정성과 품질확보 등을 위하여 시설별로 정한 표준적인 시공기준으로서 발주청 또는 설계 등 용역업자가 공사시방서를 작성하는 경우에 활용하기 위한 시공기준을 말한다.(건설기술관리법 시행규칙 제14조의 2 제1항) 전문시방서 시설물별 표준시방서를 기본으로 모든 공종을 대상으로 하여 특정한 공사의 시공 또는 공사시방서의 작성에 활용하기 위한 종합적인 시공기준을 말한다.(건설기술관리법 시행규칙 제14조의 2 제2항) 공사시방서 공사별로 건설공사 수행을 위한 기준으로서 계약문서의 일부가 되며, 설계도면에 표시하기 곤란하거나 불편한 내용과 당해 공사의 수행을 위한 재료, 공법, 품질시험 및 검사 등 품질관리, 안전관리계획 등에 관한 사항을 기술하고, 당해 공사의 특수성, 지역여건, 공사방법 등을 고려하여 공사별, 공종별로 정하여 시행하는 시공기준을 말한다.(건설기술관리법 시행규칙 제14조의 2 제3항 제4호에 근거함) 내용상의 분류 일반시방서(General specification) 입찰 요구조건과 계약조건으로 구분되어 비기술적인 일반 사항을 규정하는 시방서이다. 기술시방서(Technical specification) 설계도면으로 표시할 수 없는 공사 전반에 걸친 기술적인 사항을 규정하는 시방서로서, 각 공종별로 재료의 성능, 성격 및 시험 등 재료에 관한 사항과 시공방법, 시공상태 및 허용오차 등 시공에 관한 사항, 해당 공종과 관련되는 다른 공종과의 관계 및 공사전반에 관한 주의사항 등이 수록된다. 사용목적상의 분류 표준시방서(Standard specification) 편의상 별도의 공사시방서를 작성하지 않고 모든 공사에서 공통적으로 적용이 되는 사항을 규정한 시방서로서 일종의 가이드 시방서이다. 특히 국내의 경우 정부공사 등에 적용되는 각종 표준시방서가 이에 해당된다. 특기시방서 (Particular specification) 공사의 특징에 따라서 표준시방서의 적용범위, 표준시방서에 없는 사항과 표준시방서에서 특기 시방으로 정하도록 되어 있는 사항 등을 규정한 시방서로서 국내에서는 공사시방서의 일부로 포함된다. 공사시방서 (Project specification) 해당공사의 설계도서 작성시 작성되어 해당공사 수행시 시공기준이 되는 것으로서 계약이 체결된 후에는 계약시방서가 된다. 이러한 공사시방서는 가이드 시방서를 이용하면 보다 확실하고 용이하게 작성할 수 있다. 가이드 시방서(Guide specification) 공사시방서 작성시에 지침이 되는 예시시방서로서 공사에 해당되지 않는 사항은 삭제하고 필요한 사항은 새로 추가할 수 있도록 괄호 넣기 또는 선다형으로 구성된 시방서이다. 이러한 가이드 시방서로는 미국의 경우, 미국건축사협회(American Institute of Architects, AIA)의 건설과학연구소(Construction Science Research Foundation, CSRF)의 MASTERSPEC 2, SPECTEXT 등이 있다
    12.22 00:02
  • 14등

    최현아

    국내 시방서 운영체계 표준시방서 시설물의 안전 및 공사시행의 적정성과 품질확보 등을 위하여 시설별로 정한 표준적인 시공기준으로서 발주청 또는 설계 등 용역업자가 공사시방서를 작성하는 경우에 활용하기 위한 시공기준을 말한다.(건설기술관리법 시행규칙 제14조의 2 제1항) 전문시방서 시설물별 표준시방서를 기본으로 모든 공종을 대상으로 하여 특정한 공사의 시공 또는 공사시방서의 작성에 활용하기 위한 종합적인 시공기준을 말한다.(건설기술관리법 시행규칙 제14조의 2 제2항) 공사시방서 공사별로 건설공사 수행을 위한 기준으로서 계약문서의 일부가 되며, 설계도면에 표시하기 곤란하거나 불편한 내용과 당해 공사의 수행을 위한 재료, 공법, 품질시험 및 검사 등 품질관리, 안전관리계획 등에 관한 사항을 기술하고, 당해 공사의 특수성, 지역여건, 공사방법 등을 고려하여 공사별, 공종별로 정하여 시행하는 시공기준을 말한다.(건설기술관리법 시행규칙 제14조의 2 제3항 제4호에 근거함) 내용상의 분류 일반시방서(General specification) 입찰 요구조건과 계약조건으로 구분되어 비기술적인 일반 사항을 규정하는 시방서이다. 기술시방서(Technical specification) 설계도면으로 표시할 수 없는 공사 전반에 걸친 기술적인 사항을 규정하는 시방서로서, 각 공종별로 재료의 성능, 성격 및 시험 등 재료에 관한 사항과 시공방법, 시공상태 및 허용오차 등 시공에 관한 사항, 해당 공종과 관련되는 다른 공종과의 관계 및 공사전반에 관한 주의사항 등이 수록된다. 사용목적상의 분류 표준시방서(Standard specification) 편의상 별도의 공사시방서를 작성하지 않고 모든 공사에서 공통적으로 적용이 되는 사항을 규정한 시방서로서 일종의 가이드 시방서이다. 특히 국내의 경우 정부공사 등에 적용되는 각종 표준시방서가 이에 해당된다. 특기시방서 (Particular specification) 공사의 특징에 따라서 표준시방서의 적용범위, 표준시방서에 없는 사항과 표준시방서에서 특기 시방으로 정하도록 되어 있는 사항 등을 규정한 시방서로서 국내에서는 공사시방서의 일부로 포함된다. 공사시방서 (Project specification) 해당공사의 설계도서 작성시 작성되어 해당공사 수행시 시공기준이 되는 것으로서 계약이 체결된 후에는 계약시방서가 된다. 이러한 공사시방서는 가이드 시방서를 이용하면 보다 확실하고 용이하게 작성할 수 있다. 가이드 시방서(Guide specification) 공사시방서 작성시에 지침이 되는 예시시방서로서 공사에 해당되지 않는 사항은 삭제하고 필요한 사항은 새로 추가할 수 있도록 괄호 넣기 또는 선다형으로 구성된 시방서이다. 이러한 가이드 시방서로는 미국의 경우, 미국건축사협회(American Institute of Architects, AIA)의 건설과학연구소(Construction Science Research Foundation, CSRF)의 MASTERSPEC 2, SPECTEXT 등이 있다.
    12.22 00:01
  • 13등

    노경환

    [InPass 온라인A조] 국내 시방서 운영체계 표준시방서 시설물의 안전 및 공사시행의 적정성과 품질확보 등을 위하여 시설별로 정한 표준적인 시공기준으로서 발주청 또는 설계 등 용역업자가 공사시방서를 작성하는 경우에 활용하기 위한 시공기준을 말한다.(건설기술관리법 시행규칙 제14조의 2 제1항) 전문시방서 시설물별 표준시방서를 기본으로 모든 공종을 대상으로 하여 특정한 공사의 시공 또는 공사시방서의 작성에 활용하기 위한 종합적인 시공기준을 말한다.(건설기술관리법 시행규칙 제14조의 2 제2항) 공사시방서 공사별로 건설공사 수행을 위한 기준으로서 계약문서의 일부가 되며, 설계도면에 표시하기 곤란하거나 불편한 내용과 당해 공사의 수행을 위한 재료, 공법, 품질시험 및 검사 등 품질관리, 안전관리계획 등에 관한 사항을 기술하고, 당해 공사의 특수성, 지역여건, 공사방법 등을 고려하여 공사별, 공종별로 정하여 시행하는 시공기준을 말한다.(건설기술관리법 시행규칙 제14조의 2 제3항 제4호에 근거함) 내용상의 분류 일반시방서(General specification) 입찰 요구조건과 계약조건으로 구분되어 비기술적인 일반 사항을 규정하는 시방서이다. 기술시방서(Technical specification) 설계도면으로 표시할 수 없는 공사 전반에 걸친 기술적인 사항을 규정하는 시방서로서, 각 공종별로 재료의 성능, 성격 및 시험 등 재료에 관한 사항과 시공방법, 시공상태 및 허용오차 등 시공에 관한 사항, 해당 공종과 관련되는 다른 공종과의 관계 및 공사전반에 관한 주의사항 등이 수록된다. 사용목적상의 분류 표준시방서(Standard specification) 편의상 별도의 공사시방서를 작성하지 않고 모든 공사에서 공통적으로 적용이 되는 사항을 규정한 시방서로서 일종의 가이드 시방서이다. 특히 국내의 경우 정부공사 등에 적용되는 각종 표준시방서가 이에 해당된다. 특기시방서 (Particular specification) 공사의 특징에 따라서 표준시방서의 적용범위, 표준시방서에 없는 사항과 표준시방서에서 특기 시방으로 정하도록 되어 있는 사항 등을 규정한 시방서로서 국내에서는 공사시방서의 일부로 포함된다. 공사시방서 (Project specification) 해당공사의 설계도서 작성시 작성되어 해당공사 수행시 시공기준이 되는 것으로서 계약이 체결된 후에는 계약시방서가 된다. 이러한 공사시방서는 가이드 시방서를 이용하면 보다 확실하고 용이하게 작성할 수 있다. 가이드 시방서(Guide specification) 공사시방서 작성시에 지침이 되는 예시시방서로서 공사에 해당되지 않는 사항은 삭제하고 필요한 사항은 새로 추가할 수 있도록 괄호 넣기 또는 선다형으로 구성된 시방서이다. 이러한 가이드 시방서로는 미국의 경우, 미국건축사협회(American Institute of Architects, AIA)의 건설과학연구소(Construction Science Research Foundation, CSRF)의 MASTERSPEC 2, SPECTEXT 등이 있다.
    12.22 00:01
  • 12등

    윤혜연

    [InPass온라인A]국내 시방서 운영체계 표준시방서 시설물의 안전 및 공사시행의 적정성과 품질확보 등을 위하여 시설별로 정한 표준적인 시공기준으로서 발주청 또는 설계 등 용역업자가 공사시방서를 작성하는 경우에 활용하기 위한 시공기준을 말한다.(건설기술관리법 시행규칙 제14조의 2 제1항) 전문시방서 시설물별 표준시방서를 기본으로 모든 공종을 대상으로 하여 특정한 공사의 시공 또는 공사시방서의 작성에 활용하기 위한 종합적인 시공기준을 말한다.(건설기술관리법 시행규칙 제14조의 2 제2항) 공사시방서 공사별로 건설공사 수행을 위한 기준으로서 계약문서의 일부가 되며, 설계도면에 표시하기 곤란하거나 불편한 내용과 당해 공사의 수행을 위한 재료, 공법, 품질시험 및 검사 등 품질관리, 안전관리계획 등에 관한 사항을 기술하고, 당해 공사의 특수성, 지역여건, 공사방법 등을 고려하여 공사별, 공종별로 정하여 시행하는 시공기준을 말한다.(건설기술관리법 시행규칙 제14조의 2 제3항 제4호에 근거함) 내용상의 분류 일반시방서(General specification) 입찰 요구조건과 계약조건으로 구분되어 비기술적인 일반 사항을 규정하는 시방서이다. 기술시방서(Technical specification) 설계도면으로 표시할 수 없는 공사 전반에 걸친 기술적인 사항을 규정하는 시방서로서, 각 공종별로 재료의 성능, 성격 및 시험 등 재료에 관한 사항과 시공방법, 시공상태 및 허용오차 등 시공에 관한 사항, 해당 공종과 관련되는 다른 공종과의 관계 및 공사전반에 관한 주의사항 등이 수록된다. 사용목적상의 분류 표준시방서(Standard specification) 편의상 별도의 공사시방서를 작성하지 않고 모든 공사에서 공통적으로 적용이 되는 사항을 규정한 시방서로서 일종의 가이드 시방서이다. 특히 국내의 경우 정부공사 등에 적용되는 각종 표준시방서가 이에 해당된다. 특기시방서 (Particular specification) 공사의 특징에 따라서 표준시방서의 적용범위, 표준시방서에 없는 사항과 표준시방서에서 특기 시방으로 정하도록 되어 있는 사항 등을 규정한 시방서로서 국내에서는 공사시방서의 일부로 포함된다. 공사시방서 (Project specification) 해당공사의 설계도서 작성시 작성되어 해당공사 수행시 시공기준이 되는 것으로서 계약이 체결된 후에는 계약시방서가 된다. 이러한 공사시방서는 가이드 시방서를 이용하면 보다 확실하고 용이하게 작성할 수 있다. 가이드 시방서(Guide specification) 공사시방서 작성시에 지침이 되는 예시시방서로서 공사에 해당되지 않는 사항은 삭제하고 필요한 사항은 새로 추가할 수 있도록 괄호 넣기 또는 선다형으로 구성된 시방서이다. 이러한 가이드 시방서로는 미국의 경우, 미국건축사협회(American Institute of Architects, AIA)의 건설과학연구소(Construction Science Research Foundation, CSRF)의 MASTERSPEC 2, SPECTEXT 등이 있다.
    12.22 00:00
  • 11등

    곽성화

    [할수있다]국내 시방서 운영체계표준시방서 시설물의 안전 및 공사시행의 적정성과 품질확보 등을 위하여 시설별로 정한 표준적인 시공기준으로서 발주청 또는 설계 등 용역업자가 공사시방서를 작성하는 경우에 활용하기 위한 시공기준을 말한다.(건설기술관리법 시행규칙 제14조의 2 제1항) 전문시방서 시설물별 표준시방서를 기본으로 모든 공종을 대상으로 하여 특정한 공사의 시공 또는 공사시방서의 작성에 활용하기 위한 종합적인 시공기준을 말한다.(건설기술관리법 시행규칙 제14조의 2 제2항) 공사시방서 공사별로 건설공사 수행을 위한 기준으로서 계약문서의 일부가 되며, 설계도면에 표시하기 곤란하거나 불편한 내용과 당해 공사의 수행을 위한 재료, 공법, 품질시험 및 검사 등 품질관리, 안전관리계획 등에 관한 사항을 기술하고, 당해 공사의 특수성, 지역여건, 공사방법 등을 고려하여 공사별, 공종별로 정하여 시행하는 시공기준을 말한다.(건설기술관리법 시행규칙 제14조의 2 제3항 제4호에 근거함) 내용상의 분류일반시방서(General specification) 입찰 요구조건과 계약조건으로 구분되어 비기술적인 일반 사항을 규정하는 시방서이다. 기술시방서(Technical specification) 설계도면으로 표시할 수 없는 공사 전반에 걸친 기술적인 사항을 규정하는 시방서로서, 각 공종별로 재료의 성능, 성격 및 시험 등 재료에 관한 사항과 시공방법, 시공상태 및 허용오차 등 시공에 관한 사항, 해당 공종과 관련되는 다른 공종과의 관계 및 공사전반에 관한 주의사항 등이 수록된다. 사용목적상의 분류표준시방서(Standard specification)편의상 별도의 공사시방서를 작성하지 않고 모든 공사에서 공통적으로 적용이 되는 사항을 규정한 시방서로서 일종의 가이드 시방서이다.특히 국내의 경우 정부공사 등에 적용되는 각종 표준시방서가 이에 해당된다.특기시방서 (Particular specification) 공사의 특징에 따라서 표준시방서의 적용범위, 표준시방서에 없는 사항과 표준시방서에서 특기 시방으로 정하도록 되어 있는 사항 등을 규정한 시방서로서 국내에서는 공사시방서의 일부로 포함된다. 공사시방서 (Project specification) 해당공사의 설계도서 작성시 작성되어 해당공사 수행시 시공기준이 되는 것으로서 계약이 체결된 후에는 계약시방서가 된다. 이러한 공사시방서는 가이드 시방서를 이용하면 보다 확실하고 용이하게 작성할 수 있다. 가이드 시방서(Guide specification) 공사시방서 작성시에 지침이 되는 예시시방서로서 공사에 해당되지 않는 사항은 삭제하고 필요한 사항은 새로 추가할 수 있도록 괄호 넣기 또는 선다형으로 구성된 시방서이다. 이러한 가이드 시방서로는 미국의 경우, 미국건축사협회(American Institute of Architects, AIA)의 건설과학연구소(Construction Science Research Foundation, CSRF)의 MASTERSPEC 2, SPECTEXT 등이 있다.
    12.22 00:00
  • 10등

    채수영

    [InPass온라인A]국내 시방서 운영체계 표준시방서 시설물의 안전 및 공사시행의 적정성과 품질확보 등을 위하여 시설별로 정한 표준적인 시공기준으로서 발주청 또는 설계 등 용역업자가 공사시방서를 작성하는 경우에 활용하기 위한 시공기준을 말한다.(건설기술관리법 시행규칙 제14조의 2 제1항) 전문시방서 시설물별 표준시방서를 기본으로 모든 공종을 대상으로 하여 특정한 공사의 시공 또는 공사시방서의 작성에 활용하기 위한 종합적인 시공기준을 말한다.(건설기술관리법 시행규칙 제14조의 2 제2항) 공사시방서 공사별로 건설공사 수행을 위한 기준으로서 계약문서의 일부가 되며, 설계도면에 표시하기 곤란하거나 불편한 내용과 당해 공사의 수행을 위한 재료, 공법, 품질시험 및 검사 등 품질관리, 안전관리계획 등에 관한 사항을 기술하고, 당해 공사의 특수성, 지역여건, 공사방법 등을 고려하여 공사별, 공종별로 정하여 시행하는 시공기준을 말한다.(건설기술관리법 시행규칙 제14조의 2 제3항 제4호에 근거함) 내용상의 분류 일반시방서(General specification) 입찰 요구조건과 계약조건으로 구분되어 비기술적인 일반 사항을 규정하는 시방서이다. 기술시방서(Technical specification) 설계도면으로 표시할 수 없는 공사 전반에 걸친 기술적인 사항을 규정하는 시방서로서, 각 공종별로 재료의 성능, 성격 및 시험 등 재료에 관한 사항과 시공방법, 시공상태 및 허용오차 등 시공에 관한 사항, 해당 공종과 관련되는 다른 공종과의 관계 및 공사전반에 관한 주의사항 등이 수록된다. 사용목적상의 분류 표준시방서(Standard specification) 편의상 별도의 공사시방서를 작성하지 않고 모든 공사에서 공통적으로 적용이 되는 사항을 규정한 시방서로서 일종의 가이드 시방서이다. 특히 국내의 경우 정부공사 등에 적용되는 각종 표준시방서가 이에 해당된다. 특기시방서 (Particular specification) 공사의 특징에 따라서 표준시방서의 적용범위, 표준시방서에 없는 사항과 표준시방서에서 특기 시방으로 정하도록 되어 있는 사항 등을 규정한 시방서로서 국내에서는 공사시방서의 일부로 포함된다. 공사시방서 (Project specification) 해당공사의 설계도서 작성시 작성되어 해당공사 수행시 시공기준이 되는 것으로서 계약이 체결된 후에는 계약시방서가 된다. 이러한 공사시방서는 가이드 시방서를 이용하면 보다 확실하고 용이하게 작성할 수 있다. 가이드 시방서(Guide specification) 공사시방서 작성시에 지침이 되는 예시시방서로서 공사에 해당되지 않는 사항은 삭제하고 필요한 사항은 새로 추가할 수 있도록 괄호 넣기 또는 선다형으로 구성된 시방서이다. 이러한 가이드 시방서로는 미국의 경우, 미국건축사협회(American Institute of Architects, AIA)의 건설과학연구소(Construction Science Research Foundation, CSRF)의 MASTERSPEC 2, SPECTEXT 등이 있다.
    12.22 00:00
  • 9등

    심준식

    국내 시방서 운영체계 표준시방서 시설물의 안전 및 공사시행의 적정성과 품질확보 등을 위하여 시설별로 정한 표준적인 시공기준으로서 발주청 또는 설계 등 용역업자가 공사시방서를 작성하는 경우에 활용하기 위한 시공기준을 말한다.(건설기술관리법 시행규칙 제14조의 2 제1항) 전문시방서 시설물별 표준시방서를 기본으로 모든 공종을 대상으로 하여 특정한 공사의 시공 또는 공사시방서의 작성에 활용하기 위한 종합적인 시공기준을 말한다.(건설기술관리법 시행규칙 제14조의 2 제2항) 공사시방서 공사별로 건설공사 수행을 위한 기준으로서 계약문서의 일부가 되며, 설계도면에 표시하기 곤란하거나 불편한 내용과 당해 공사의 수행을 위한 재료, 공법, 품질시험 및 검사 등 품질관리, 안전관리계획 등에 관한 사항을 기술하고, 당해 공사의 특수성, 지역여건, 공사방법 등을 고려하여 공사별, 공종별로 정하여 시행하는 시공기준을 말한다.(건설기술관리법 시행규칙 제14조의 2 제3항 제4호에 근거함) 내용상의 분류 일반시방서(General specification) 입찰 요구조건과 계약조건으로 구분되어 비기술적인 일반 사항을 규정하는 시방서이다. 기술시방서(Technical specification) 설계도면으로 표시할 수 없는 공사 전반에 걸친 기술적인 사항을 규정하는 시방서로서, 각 공종별로 재료의 성능, 성격 및 시험 등 재료에 관한 사항과 시공방법, 시공상태 및 허용오차 등 시공에 관한 사항, 해당 공종과 관련되는 다른 공종과의 관계 및 공사전반에 관한 주의사항 등이 수록된다. 사용목적상의 분류 표준시방서(Standard specification) 편의상 별도의 공사시방서를 작성하지 않고 모든 공사에서 공통적으로 적용이 되는 사항을 규정한 시방서로서 일종의 가이드 시방서이다. 특히 국내의 경우 정부공사 등에 적용되는 각종 표준시방서가 이에 해당된다. 특기시방서 (Particular specification) 공사의 특징에 따라서 표준시방서의 적용범위, 표준시방서에 없는 사항과 표준시방서에서 특기 시방으로 정하도록 되어 있는 사항 등을 규정한 시방서로서 국내에서는 공사시방서의 일부로 포함된다. 공사시방서 (Project specification) 해당공사의 설계도서 작성시 작성되어 해당공사 수행시 시공기준이 되는 것으로서 계약이 체결된 후에는 계약시방서가 된다. 이러한 공사시방서는 가이드 시방서를 이용하면 보다 확실하고 용이하게 작성할 수 있다. 가이드 시방서(Guide specification) 공사시방서 작성시에 지침이 되는 예시시방서로서 공사에 해당되지 않는 사항은 삭제하고 필요한 사항은 새로 추가할 수 있도록 괄호 넣기 또는 선다형으로 구성된 시방서이다. 이러한 가이드 시방서로는 미국의 경우, 미국건축사협회(American Institute of Architects, AIA)의 건설과학연구소(Construction Science Research Foundation, CSRF)의 MASTERSPEC 2, SPECTEXT 등이 있다.
    12.22 00:00
  • 8등

    황창연

    [최강8조 & InPass온라인A]국내 시방서 운영체계 표준시방서 시설물의 안전 및 공사시행의 적정성과 품질확보 등을 위하여 시설별로 정한 표준적인 시공기준으로서 발주청 또는 설계 등 용역업자가 공사시방서를 작성하는 경우에 활용하기 위한 시공기준을 말한다.(건설기술관리법 시행규칙 제14조의 2 제1항) 전문시방서 시설물별 표준시방서를 기본으로 모든 공종을 대상으로 하여 특정한 공사의 시공 또는 공사시방서의 작성에 활용하기 위한 종합적인 시공기준을 말한다.(건설기술관리법 시행규칙 제14조의 2 제2항) 공사시방서 공사별로 건설공사 수행을 위한 기준으로서 계약문서의 일부가 되며, 설계도면에 표시하기 곤란하거나 불편한 내용과 당해 공사의 수행을 위한 재료, 공법, 품질시험 및 검사 등 품질관리, 안전관리계획 등에 관한 사항을 기술하고, 당해 공사의 특수성, 지역여건, 공사방법 등을 고려하여 공사별, 공종별로 정하여 시행하는 시공기준을 말한다.(건설기술관리법 시행규칙 제14조의 2 제3항 제4호에 근거함) 내용상의 분류 일반시방서(General specification) 입찰 요구조건과 계약조건으로 구분되어 비기술적인 일반 사항을 규정하는 시방서이다. 기술시방서(Technical specification) 설계도면으로 표시할 수 없는 공사 전반에 걸친 기술적인 사항을 규정하는 시방서로서, 각 공종별로 재료의 성능, 성격 및 시험 등 재료에 관한 사항과 시공방법, 시공상태 및 허용오차 등 시공에 관한 사항, 해당 공종과 관련되는 다른 공종과의 관계 및 공사전반에 관한 주의사항 등이 수록된다. 사용목적상의 분류 표준시방서(Standard specification) 편의상 별도의 공사시방서를 작성하지 않고 모든 공사에서 공통적으로 적용이 되는 사항을 규정한 시방서로서 일종의 가이드 시방서이다. 특히 국내의 경우 정부공사 등에 적용되는 각종 표준시방서가 이에 해당된다. 특기시방서 (Particular specification) 공사의 특징에 따라서 표준시방서의 적용범위, 표준시방서에 없는 사항과 표준시방서에서 특기 시방으로 정하도록 되어 있는 사항 등을 규정한 시방서로서 국내에서는 공사시방서의 일부로 포함된다. 공사시방서 (Project specification) 해당공사의 설계도서 작성시 작성되어 해당공사 수행시 시공기준이 되는 것으로서 계약이 체결된 후에는 계약시방서가 된다. 이러한 공사시방서는 가이드 시방서를 이용하면 보다 확실하고 용이하게 작성할 수 있다. 가이드 시방서(Guide specification) 공사시방서 작성시에 지침이 되는 예시시방서로서 공사에 해당되지 않는 사항은 삭제하고 필요한 사항은 새로 추가할 수 있도록 괄호 넣기 또는 선다형으로 구성된 시방서이다. 이러한 가이드 시방서로는 미국의 경우, 미국건축사협회(American Institute of Architects, AIA)의 건설과학연구소(Construction Science Research Foundation, CSRF)의 MASTERSPEC 2, SPECTEXT 등이 있다.
    12.22 00:00
  • 7등

    김형남

    [InPass온라인A]국내 시방서 운영체계 표준시방서 시설물의 안전 및 공사시행의 적정성과 품질확보 등을 위하여 시설별로 정한 표준적인 시공기준으로서 발주청 또는 설계 등 용역업자가 공사시방서를 작성하는 경우에 활용하기 위한 시공기준을 말한다.(건설기술관리법 시행규칙 제14조의 2 제1항) 전문시방서 시설물별 표준시방서를 기본으로 모든 공종을 대상으로 하여 특정한 공사의 시공 또는 공사시방서의 작성에 활용하기 위한 종합적인 시공기준을 말한다.(건설기술관리법 시행규칙 제14조의 2 제2항) 공사시방서 공사별로 건설공사 수행을 위한 기준으로서 계약문서의 일부가 되며, 설계도면에 표시하기 곤란하거나 불편한 내용과 당해 공사의 수행을 위한 재료, 공법, 품질시험 및 검사 등 품질관리, 안전관리계획 등에 관한 사항을 기술하고, 당해 공사의 특수성, 지역여건, 공사방법 등을 고려하여 공사별, 공종별로 정하여 시행하는 시공기준을 말한다.(건설기술관리법 시행규칙 제14조의 2 제3항 제4호에 근거함) 내용상의 분류 일반시방서(General specification) 입찰 요구조건과 계약조건으로 구분되어 비기술적인 일반 사항을 규정하는 시방서이다. 기술시방서(Technical specification) 설계도면으로 표시할 수 없는 공사 전반에 걸친 기술적인 사항을 규정하는 시방서로서, 각 공종별로 재료의 성능, 성격 및 시험 등 재료에 관한 사항과 시공방법, 시공상태 및 허용오차 등 시공에 관한 사항, 해당 공종과 관련되는 다른 공종과의 관계 및 공사전반에 관한 주의사항 등이 수록된다. 사용목적상의 분류 표준시방서(Standard specification) 편의상 별도의 공사시방서를 작성하지 않고 모든 공사에서 공통적으로 적용이 되는 사항을 규정한 시방서로서 일종의 가이드 시방서이다. 특히 국내의 경우 정부공사 등에 적용되는 각종 표준시방서가 이에 해당된다. 특기시방서 (Particular specification) 공사의 특징에 따라서 표준시방서의 적용범위, 표준시방서에 없는 사항과 표준시방서에서 특기 시방으로 정하도록 되어 있는 사항 등을 규정한 시방서로서 국내에서는 공사시방서의 일부로 포함된다. 공사시방서 (Project specification) 해당공사의 설계도서 작성시 작성되어 해당공사 수행시 시공기준이 되는 것으로서 계약이 체결된 후에는 계약시방서가 된다. 이러한 공사시방서는 가이드 시방서를 이용하면 보다 확실하고 용이하게 작성할 수 있다. 가이드 시방서(Guide specification) 공사시방서 작성시에 지침이 되는 예시시방서로서 공사에 해당되지 않는 사항은 삭제하고 필요한 사항은 새로 추가할 수 있도록 괄호 넣기 또는 선다형으로 구성된 시방서이다. 이러한 가이드 시방서로는 미국의 경우, 미국건축사협회(American Institute of Architects, AIA)의 건설과학연구소(Construction Science Research Foundation, CSRF)의 MASTERSPEC 2, SPECTEXT 등이 있다.
    12.22 00:00
  • 6등

    김영훈

    [InPass온라인A]국내 시방서 운영체계 표준시방서 시설물의 안전 및 공사시행의 적정성과 품질확보 등을 위하여 시설별로 정한 표준적인 시공기준으로서 발주청 또는 설계 등 용역업자가 공사시방서를 작성하는 경우에 활용하기 위한 시공기준을 말한다.(건설기술관리법 시행규칙 제14조의 2 제1항) 전문시방서 시설물별 표준시방서를 기본으로 모든 공종을 대상으로 하여 특정한 공사의 시공 또는 공사시방서의 작성에 활용하기 위한 종합적인 시공기준을 말한다.(건설기술관리법 시행규칙 제14조의 2 제2항) 공사시방서 공사별로 건설공사 수행을 위한 기준으로서 계약문서의 일부가 되며, 설계도면에 표시하기 곤란하거나 불편한 내용과 당해 공사의 수행을 위한 재료, 공법, 품질시험 및 검사 등 품질관리, 안전관리계획 등에 관한 사항을 기술하고, 당해 공사의 특수성, 지역여건, 공사방법 등을 고려하여 공사별, 공종별로 정하여 시행하는 시공기준을 말한다.(건설기술관리법 시행규칙 제14조의 2 제3항 제4호에 근거함) 내용상의 분류 일반시방서(General specification) 입찰 요구조건과 계약조건으로 구분되어 비기술적인 일반 사항을 규정하는 시방서이다. 기술시방서(Technical specification) 설계도면으로 표시할 수 없는 공사 전반에 걸친 기술적인 사항을 규정하는 시방서로서, 각 공종별로 재료의 성능, 성격 및 시험 등 재료에 관한 사항과 시공방법, 시공상태 및 허용오차 등 시공에 관한 사항, 해당 공종과 관련되는 다른 공종과의 관계 및 공사전반에 관한 주의사항 등이 수록된다. 사용목적상의 분류 표준시방서(Standard specification) 편의상 별도의 공사시방서를 작성하지 않고 모든 공사에서 공통적으로 적용이 되는 사항을 규정한 시방서로서 일종의 가이드 시방서이다. 특히 국내의 경우 정부공사 등에 적용되는 각종 표준시방서가 이에 해당된다. 특기시방서 (Particular specification) 공사의 특징에 따라서 표준시방서의 적용범위, 표준시방서에 없는 사항과 표준시방서에서 특기 시방으로 정하도록 되어 있는 사항 등을 규정한 시방서로서 국내에서는 공사시방서의 일부로 포함된다. 공사시방서 (Project specification) 해당공사의 설계도서 작성시 작성되어 해당공사 수행시 시공기준이 되는 것으로서 계약이 체결된 후에는 계약시방서가 된다. 이러한 공사시방서는 가이드 시방서를 이용하면 보다 확실하고 용이하게 작성할 수 있다. 가이드 시방서(Guide specification) 공사시방서 작성시에 지침이 되는 예시시방서로서 공사에 해당되지 않는 사항은 삭제하고 필요한 사항은 새로 추가할 수 있도록 괄호 넣기 또는 선다형으로 구성된 시방서이다. 이러한 가이드 시방서로는 미국의 경우, 미국건축사협회(American Institute of Architects, AIA)의 건설과학연구소(Construction Science Research Foundation, CSRF)의 MASTERSPEC 2, SPECTEXT 등이 있다.
    12.22 00:00
  • 5등

    송다연

    [InPass온라인A]국내 시방서 운영체계 표준시방서 시설물의 안전 및 공사시행의 적정성과 품질확보 등을 위하여 시설별로 정한 표준적인 시공기준으로서 발주청 또는 설계 등 용역업자가 공사시방서를 작성하는 경우에 활용하기 위한 시공기준을 말한다.(건설기술관리법 시행규칙 제14조의 2 제1항) 전문시방서 시설물별 표준시방서를 기본으로 모든 공종을 대상으로 하여 특정한 공사의 시공 또는 공사시방서의 작성에 활용하기 위한 종합적인 시공기준을 말한다.(건설기술관리법 시행규칙 제14조의 2 제2항) 공사시방서 공사별로 건설공사 수행을 위한 기준으로서 계약문서의 일부가 되며, 설계도면에 표시하기 곤란하거나 불편한 내용과 당해 공사의 수행을 위한 재료, 공법, 품질시험 및 검사 등 품질관리, 안전관리계획 등에 관한 사항을 기술하고, 당해 공사의 특수성, 지역여건, 공사방법 등을 고려하여 공사별, 공종별로 정하여 시행하는 시공기준을 말한다.(건설기술관리법 시행규칙 제14조의 2 제3항 제4호에 근거함) 내용상의 분류 일반시방서(General specification) 입찰 요구조건과 계약조건으로 구분되어 비기술적인 일반 사항을 규정하는 시방서이다. 기술시방서(Technical specification) 설계도면으로 표시할 수 없는 공사 전반에 걸친 기술적인 사항을 규정하는 시방서로서, 각 공종별로 재료의 성능, 성격 및 시험 등 재료에 관한 사항과 시공방법, 시공상태 및 허용오차 등 시공에 관한 사항, 해당 공종과 관련되는 다른 공종과의 관계 및 공사전반에 관한 주의사항 등이 수록된다. 사용목적상의 분류 표준시방서(Standard specification) 편의상 별도의 공사시방서를 작성하지 않고 모든 공사에서 공통적으로 적용이 되는 사항을 규정한 시방서로서 일종의 가이드 시방서이다. 특히 국내의 경우 정부공사 등에 적용되는 각종 표준시방서가 이에 해당된다. 특기시방서 (Particular specification) 공사의 특징에 따라서 표준시방서의 적용범위, 표준시방서에 없는 사항과 표준시방서에서 특기 시방으로 정하도록 되어 있는 사항 등을 규정한 시방서로서 국내에서는 공사시방서의 일부로 포함된다. 공사시방서 (Project specification) 해당공사의 설계도서 작성시 작성되어 해당공사 수행시 시공기준이 되는 것으로서 계약이 체결된 후에는 계약시방서가 된다. 이러한 공사시방서는 가이드 시방서를 이용하면 보다 확실하고 용이하게 작성할 수 있다. 가이드 시방서(Guide specification) 공사시방서 작성시에 지침이 되는 예시시방서로서 공사에 해당되지 않는 사항은 삭제하고 필요한 사항은 새로 추가할 수 있도록 괄호 넣기 또는 선다형으로 구성된 시방서이다. 이러한 가이드 시방서로는 미국의 경우, 미국건축사협회(American Institute of Architects, AIA)의 건설과학연구소(Construction Science Research Foundation, CSRF)의 MASTERSPEC 2, SPECTEXT 등이 있다.
    12.22 00:00
  • 4등

    정지원

    국내 시방서 운영체계 표준시방서 시설물의 안전 및 공사시행의 적정성과 품질확보 등을 위하여 시설별로 정한 표준적인 시공기준으로서 발주청 또는 설계 등 용역업자가 공사시방서를 작성하는 경우에 활용하기 위한 시공기준을 말한다.(건설기술관리법 시행규칙 제14조의 2 제1항) 전문시방서 시설물별 표준시방서를 기본으로 모든 공종을 대상으로 하여 특정한 공사의 시공 또는 공사시방서의 작성에 활용하기 위한 종합적인 시공기준을 말한다.(건설기술관리법 시행규칙 제14조의 2 제2항) 공사시방서 공사별로 건설공사 수행을 위한 기준으로서 계약문서의 일부가 되며, 설계도면에 표시하기 곤란하거나 불편한 내용과 당해 공사의 수행을 위한 재료, 공법, 품질시험 및 검사 등 품질관리, 안전관리계획 등에 관한 사항을 기술하고, 당해 공사의 특수성, 지역여건, 공사방법 등을 고려하여 공사별, 공종별로 정하여 시행하는 시공기준을 말한다.(건설기술관리법 시행규칙 제14조의 2 제3항 제4호에 근거함) 내용상의 분류 일반시방서(General specification) 입찰 요구조건과 계약조건으로 구분되어 비기술적인 일반 사항을 규정하는 시방서이다. 기술시방서(Technical specification) 설계도면으로 표시할 수 없는 공사 전반에 걸친 기술적인 사항을 규정하는 시방서로서, 각 공종별로 재료의 성능, 성격 및 시험 등 재료에 관한 사항과 시공방법, 시공상태 및 허용오차 등 시공에 관한 사항, 해당 공종과 관련되는 다른 공종과의 관계 및 공사전반에 관한 주의사항 등이 수록된다. 사용목적상의 분류 표준시방서(Standard specification) 편의상 별도의 공사시방서를 작성하지 않고 모든 공사에서 공통적으로 적용이 되는 사항을 규정한 시방서로서 일종의 가이드 시방서이다. 특히 국내의 경우 정부공사 등에 적용되는 각종 표준시방서가 이에 해당된다. 특기시방서 (Particular specification) 공사의 특징에 따라서 표준시방서의 적용범위, 표준시방서에 없는 사항과 표준시방서에서 특기 시방으로 정하도록 되어 있는 사항 등을 규정한 시방서로서 국내에서는 공사시방서의 일부로 포함된다. 공사시방서 (Project specification) 해당공사의 설계도서 작성시 작성되어 해당공사 수행시 시공기준이 되는 것으로서 계약이 체결된 후에는 계약시방서가 된다. 이러한 공사시방서는 가이드 시방서를 이용하면 보다 확실하고 용이하게 작성할 수 있다. 가이드 시방서(Guide specification) 공사시방서 작성시에 지침이 되는 예시시방서로서 공사에 해당되지 않는 사항은 삭제하고 필요한 사항은 새로 추가할 수 있도록 괄호 넣기 또는 선다형으로 구성된 시방서이다. 이러한 가이드 시방서로는 미국의 경우, 미국건축사협회(American Institute of Architects, AIA)의 건설과학연구소(Construction Science Research Foundation, CSRF)의 MASTERSPEC 2, SPECTEXT 등이 있다.
    12.22 00:00
  • 3등

    박진수

    국내 시방서 운영체계 표준시방서 시설물의 안전 및 공사시행의 적정성과 품질확보 등을 위하여 시설별로 정한 표준적인 시공기준으로서 발주청 또는 설계 등 용역업자가 공사시방서를 작성하는 경우에 활용하기 위한 시공기준을 말한다.(건설기술관리법 시행규칙 제14조의 2 제1항) 전문시방서 시설물별 표준시방서를 기본으로 모든 공종을 대상으로 하여 특정한 공사의 시공 또는 공사시방서의 작성에 활용하기 위한 종합적인 시공기준을 말한다.(건설기술관리법 시행규칙 제14조의 2 제2항) 공사시방서 공사별로 건설공사 수행을 위한 기준으로서 계약문서의 일부가 되며, 설계도면에 표시하기 곤란하거나 불편한 내용과 당해 공사의 수행을 위한 재료, 공법, 품질시험 및 검사 등 품질관리, 안전관리계획 등에 관한 사항을 기술하고, 당해 공사의 특수성, 지역여건, 공사방법 등을 고려하여 공사별, 공종별로 정하여 시행하는 시공기준을 말한다.(건설기술관리법 시행규칙 제14조의 2 제3항 제4호에 근거함) 내용상의 분류 일반시방서(General specification) 입찰 요구조건과 계약조건으로 구분되어 비기술적인 일반 사항을 규정하는 시방서이다. 기술시방서(Technical specification) 설계도면으로 표시할 수 없는 공사 전반에 걸친 기술적인 사항을 규정하는 시방서로서, 각 공종별로 재료의 성능, 성격 및 시험 등 재료에 관한 사항과 시공방법, 시공상태 및 허용오차 등 시공에 관한 사항, 해당 공종과 관련되는 다른 공종과의 관계 및 공사전반에 관한 주의사항 등이 수록된다. 사용목적상의 분류 표준시방서(Standard specification) 편의상 별도의 공사시방서를 작성하지 않고 모든 공사에서 공통적으로 적용이 되는 사항을 규정한 시방서로서 일종의 가이드 시방서이다. 특히 국내의 경우 정부공사 등에 적용되는 각종 표준시방서가 이에 해당된다. 특기시방서 (Particular specification) 공사의 특징에 따라서 표준시방서의 적용범위, 표준시방서에 없는 사항과 표준시방서에서 특기 시방으로 정하도록 되어 있는 사항 등을 규정한 시방서로서 국내에서는 공사시방서의 일부로 포함된다. 공사시방서 (Project specification) 해당공사의 설계도서 작성시 작성되어 해당공사 수행시 시공기준이 되는 것으로서 계약이 체결된 후에는 계약시방서가 된다. 이러한 공사시방서는 가이드 시방서를 이용하면 보다 확실하고 용이하게 작성할 수 있다. 가이드 시방서(Guide specification) 공사시방서 작성시에 지침이 되는 예시시방서로서 공사에 해당되지 않는 사항은 삭제하고 필요한 사항은 새로 추가할 수 있도록 괄호 넣기 또는 선다형으로 구성된 시방서이다. 이러한 가이드 시방서로는 미국의 경우, 미국건축사협회(American Institute of Architects, AIA)의 건설과학연구소(Construction Science Research Foundation, CSRF)의 MASTERSPEC 2, SPECTEXT 등이 있다.
    12.22 00:00
  • 2등

    박성훈

    [InPass온라인A] 국내 시방서 운영체계 표준시방서 시설물의 안전 및 공사시행의 적정성과 품질확보 등을 위하여 시설별로 정한 표준적인 시공기준으로서 발주청 또는 설계 등 용역업자가 공사시방서를 작성하는 경우에 활용하기 위한 시공기준을 말한다.(건설기술관리법 시행규칙 제14조의 2 제1항) 전문시방서 시설물별 표준시방서를 기본으로 모든 공종을 대상으로 하여 특정한 공사의 시공 또는 공사시방서의 작성에 활용하기 위한 종합적인 시공기준을 말한다.(건설기술관리법 시행규칙 제14조의 2 제2항) 공사시방서 공사별로 건설공사 수행을 위한 기준으로서 계약문서의 일부가 되며, 설계도면에 표시하기 곤란하거나 불편한 내용과 당해 공사의 수행을 위한 재료, 공법, 품질시험 및 검사 등 품질관리, 안전관리계획 등에 관한 사항을 기술하고, 당해 공사의 특수성, 지역여건, 공사방법 등을 고려하여 공사별, 공종별로 정하여 시행하는 시공기준을 말한다.(건설기술관리법 시행규칙 제14조의 2 제3항 제4호에 근거함) 내용상의 분류 일반시방서(General specification) 입찰 요구조건과 계약조건으로 구분되어 비기술적인 일반 사항을 규정하는 시방서이다. 기술시방서(Technical specification) 설계도면으로 표시할 수 없는 공사 전반에 걸친 기술적인 사항을 규정하는 시방서로서, 각 공종별로 재료의 성능, 성격 및 시험 등 재료에 관한 사항과 시공방법, 시공상태 및 허용오차 등 시공에 관한 사항, 해당 공종과 관련되는 다른 공종과의 관계 및 공사전반에 관한 주의사항 등이 수록된다. 사용목적상의 분류 표준시방서(Standard specification) 편의상 별도의 공사시방서를 작성하지 않고 모든 공사에서 공통적으로 적용이 되는 사항을 규정한 시방서로서 일종의 가이드 시방서이다. 특히 국내의 경우 정부공사 등에 적용되는 각종 표준시방서가 이에 해당된다. 특기시방서 (Particular specification) 공사의 특징에 따라서 표준시방서의 적용범위, 표준시방서에 없는 사항과 표준시방서에서 특기 시방으로 정하도록 되어 있는 사항 등을 규정한 시방서로서 국내에서는 공사시방서의 일부로 포함된다. 공사시방서 (Project specification) 해당공사의 설계도서 작성시 작성되어 해당공사 수행시 시공기준이 되는 것으로서 계약이 체결된 후에는 계약시방서가 된다. 이러한 공사시방서는 가이드 시방서를 이용하면 보다 확실하고 용이하게 작성할 수 있다. 가이드 시방서(Guide specification) 공사시방서 작성시에 지침이 되는 예시시방서로서 공사에 해당되지 않는 사항은 삭제하고 필요한 사항은 새로 추가할 수 있도록 괄호 넣기 또는 선다형으로 구성된 시방서이다. 이러한 가이드 시방서로는 미국의 경우, 미국건축사협회(American Institute of Architects, AIA)의 건설과학연구소(Construction Science Research Foundation, CSRF)의 MASTERSPEC 2, SPECTEXT 등이 있다.
    12.22 00:00
  • 1등

    장미덕

    <<열공불패10조>> 국내 시방서 운영체계 표준시방서 시설물의 안전 및 공사시행의 적정성과 품질확보 등을 위하여 시설별로 정한 표준적인 시공기준으로서 발주청 또는 설계 등 용역업자가 공사시방서를 작성하는 경우에 활용하기 위한 시공기준을 말한다.(건설기술관리법 시행규칙 제14조의 2 제1항) 전문시방서 시설물별 표준시방서를 기본으로 모든 공종을 대상으로 하여 특정한 공사의 시공 또는 공사시방서의 작성에 활용하기 위한 종합적인 시공기준을 말한다.(건설기술관리법 시행규칙 제14조의 2 제2항) 공사시방서 공사별로 건설공사 수행을 위한 기준으로서 계약문서의 일부가 되며, 설계도면에 표시하기 곤란하거나 불편한 내용과 당해 공사의 수행을 위한 재료, 공법, 품질시험 및 검사 등 품질관리, 안전관리계획 등에 관한 사항을 기술하고, 당해 공사의 특수성, 지역여건, 공사방법 등을 고려하여 공사별, 공종별로 정하여 시행하는 시공기준을 말한다.(건설기술관리법 시행규칙 제14조의 2 제3항 제4호에 근거함) 내용상의 분류 일반시방서(General specification) 입찰 요구조건과 계약조건으로 구분되어 비기술적인 일반 사항을 규정하는 시방서이다. 기술시방서(Technical specification) 설계도면으로 표시할 수 없는 공사 전반에 걸친 기술적인 사항을 규정하는 시방서로서, 각 공종별로 재료의 성능, 성격 및 시험 등 재료에 관한 사항과 시공방법, 시공상태 및 허용오차 등 시공에 관한 사항, 해당 공종과 관련되는 다른 공종과의 관계 및 공사전반에 관한 주의사항 등이 수록된다. 사용목적상의 분류 표준시방서(Standard specification) 편의상 별도의 공사시방서를 작성하지 않고 모든 공사에서 공통적으로 적용이 되는 사항을 규정한 시방서로서 일종의 가이드 시방서이다. 특히 국내의 경우 정부공사 등에 적용되는 각종 표준시방서가 이에 해당된다. 특기시방서 (Particular specification) 공사의 특징에 따라서 표준시방서의 적용범위, 표준시방서에 없는 사항과 표준시방서에서 특기 시방으로 정하도록 되어 있는 사항 등을 규정한 시방서로서 국내에서는 공사시방서의 일부로 포함된다. 공사시방서 (Project specification) 해당공사의 설계도서 작성시 작성되어 해당공사 수행시 시공기준이 되는 것으로서 계약이 체결된 후에는 계약시방서가 된다. 이러한 공사시방서는 가이드 시방서를 이용하면 보다 확실하고 용이하게 작성할 수 있다. 가이드 시방서(Guide specification) 공사시방서 작성시에 지침이 되는 예시시방서로서 공사에 해당되지 않는 사항은 삭제하고 필요한 사항은 새로 추가할 수 있도록 괄호 넣기 또는 선다형으로 구성된 시방서이다. 이러한 가이드 시방서로는 미국의 경우, 미국건축사협회(American Institute of Architects, AIA)의 건설과학연구소(Construction Science Research Foundation, CSRF)의 MASTERSPEC 2, SPECTEXT 등이 있다.
    12.22 00:00
  •  
  • 1
  • 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