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 시험정보
  • 학원강의
  • 온라인강의

    강의업로드

  • 교재안내
  • 합격현황
  • 학습게시판
  • 나의강의실
학습게시판

학습게시판

HOME>학습게시판>학습게시판

2017년 08월
[오늘의 출첵미션]
  • 층간 변위는 특정한 층에서 바로 아래 층에 대한 상대적인 수평 변위로 정의된다.
    • 전체적인 층간 변위는 특정한 위치에서 기초에 대한 상대적인 변위이다. 인접한 건물이나 동일 건물에서 인접한 부분은 같은 진동모드를 가지지 않을 수 있으므로 서로 충돌할 가능성이 높다.
    • 따라서 지반 운동에 대해서 인접한 건물들이 독립적으로 반응할 수 있도록 건물 분리 혹은 조인트가 적용되어야 한다.
    • Side sway는 풍력, 지진력 등의 횡력에 대해 본 구조체의 서로 인접하는 상하 2층간의 상대변위이다.
    • 상대변위는 어떤 하나의 부재를 기준으로 측정한 다른 부재의 변위이다.
    • curtain wall은 골조에 하중을 전달하는 system으로 골조가 버틸 수 있는 층간변위 이내, 골조의 내진설계의 층간변위 만큼 발생시켜 줘야 한다.

오늘의 출첵멤버 : 27

더보기
  • 6등

    백승관

    [마법5조]층간 변위는 특정한 층에서 바로 아래 층에 대한 상대적인 수평 변위로 정의된다. 전체적인 층간 변위는 특정한 위치에서 기초에 대한 상대적인 변위이다. 인접한 건물이나 동일 건물에서 인접한 부분은 같은 진동모드를 가지지 않을 수 있으므로 서로 충돌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지반 운동에 대해서 인접한 건물들이 독립적으로 반응할 수 있도록 건물 분리 혹은 조인트가 적용되어야 한다. Side sway는 풍력, 지진력 등의 횡력에 대해 본 구조체의 서로 인접하는 상하 2층간의 상대변위이다. 상대변위는 어떤 하나의 부재를 기준으로 측정한 다른 부재의 변위이다. curtain wall은 골조에 하중을 전달하는 system으로 골조가 버틸 수 있는 층간변위 이내, 골조의 내진설계의 층간변위 만큼 발생시켜 줘야 한다.
    08.04 23:59
  • 5등

    백종엽

    우리는 하나
    08.04 12:15
  • 4등

    이정환

    층간변위는 특정한 층에서 바로 아래층에 대한 상대적인 수평변위로 정의된다. 전체적인 층간변위는 특정한 위치에서 기초에 대한 상대적인 변위이다. 인접한 건물이나 동일 건물에서 인접한 부분은 같은 진동모드를 가지지 않을 수 있으므로 서로 충돌항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지반 운동에 대해서 인접한 건물들이 독립적으로 반응할 수 있도록 건물 분리 혹은 조인트가 적용되어야 한다. side sway는 풍력,지진력 등의 횡력에 대해 본 구조체의 서로 인접하는 상하 2층간의 상대변위이다. 상대변위는 어떤 하나의 부재를 기준으로 측정한 다른 부재의 변위이다. 커튼월은 골조에 하중을 전달하는 시스템으로 골조가 버틸수 있는 층간변위 이냐, 골조의 내진설계의 층간변위 만큼 발생시켜줘야 한다.
    08.04 10:51
  • 3등

    이종무

    [스파르타 3조]초심불망. 층간 변위는 특정한 층에서 바로 아래 층에 대한 상대적인 수평 변위로 정의된다.전체적인 층간 변위는 특정한 위치에서 기초에 대한 상대적인 변위이다. 인접한 건물이나 동일 건물에서 인접한 부분은 같은 진동모드를 가지지 않을 수 있으므로 서로 충돌할 가능성이 높다.따라서 지반 운동에 대해서 인접한 건물들이 독립적으로 반응할 수 있도록 건물 분리 혹은 조인트가 적용되어야 한다.Side sway는 풍력, 지진력 등의 횡력에 대해 본 구조체의 서로 인접하는 상하 2층간의 상대변위이다.상대변위는 어떤 하나의 부재를 기준으로 측정한 다른 부재의 변위이다.curtain wall은 골조에 하중을 전달하는 system으로 골조가 버틸 수 있는 층간변위 이내, 골조의 내진설계의 층간변위 만큼 발생시켜 줘야 한다.
    08.04 08:54
  • 2등

    천영범

    마법5조.층간병위는 특정한 층에서 바로 아래층에 대한 상대적인 수평변위로 정의된다.전체적인 층간변위는 특정한 위체에서 기초에 대한 상대적인 변위이다.인접한 건물이나 동일건물에서 인접한부분은 같은 진동모드를 자지지 않을 수 있으므로 서로 충돌할 가능성이 높다.따라서 지반 운동에 대해서 인접한 건물들이 독립적으로 반을할 수 있도록 건물 분리 혹은 조인트가 적용되어야 한다. side sway는 풍력,지진력 등의 횡력에 대해 본 구조체의 서로 인접하는 상하 2층간의 상대변위이다.상대변위는 어떤 하나의 부재를 기준으로 측정한 다른 부재의 변위이다.curtain wall은 골조에 하중을 전달하는 system으로 골조가 버틸 수 있는 층간변위 이내,골조의 내진설계의 층간변위 만큼 발생시켜 줘야한다.
    08.04 08:44
  • 1등

    박승만

    [113회 합격] 층간변위는 특정한 층에서 바로 아래층에 대한 상대적인 수평변위로 정의된다. 전체적인 층간변위는 특정한 위치에서 기초에 대한 상대적인 변위이다. 인접한 건물이나 동일 건물에서 인접한 부분은 같은 진동모드를 가지지 않을 수 있으므로 서로 충돌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지반 운동에 대해서 인접한 건물들이 독립적으로 반응할 수 있도록 건물 분리 혹은 조인트가 적용되어야 한다. 층간변위는 풍력, 지진력 등의 횡력에 대해 본 구조체의 서로 인접하는 상하 2층간의 상대변위이다. 상대변위는 어떤 하나의 부재를 기준으로 측정한 다른 부재의 변위이다. 커튼월은 골조에 하중을 전달하는 시스템으로 골조가 버틸 수 있는 층간변위 이내, 골조의 내진설계의 층간변위 만큼 발생시켜 줘야 한다.
    08.04 07:49
  •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