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 시험정보
  • 학원강의
  • 온라인강의

    강의업로드

  • 교재안내
  • 합격현황
  • 학습게시판
  • 나의강의실
학습게시판

학습게시판

HOME>학습게시판>학습게시판

2017년 04월
[오늘의 출첵미션]

섬유포화점, FSP: Fiber Saturation Point

  • 섬유포화점은 벌채(벌목+벌근) 직후 목재를 건조하면 1차로 자유수(유리수)가 증발하고, 결합수(세포수)가 남고 이후 계속 건조하면 결합수가 최종적으로 증발하는데, 이 양자의 한계점이다.
  • 목재 내의 세포 내강과 같은 빈 공극에는 물(자유수)이 없고 세포벽은 수분(결합수)으로 포화되어 있는 상태에서의 목재 함수율이다.(by KS F 2003)
  • 일반적으로 함수율 30%를 기준으로 하며 목재는 섬유포화점을 경계로, 수축팽창 등의 재질변화가 현저히 달라지고, 강도·신축성 등도 달라진다.

오늘의 출첵멤버 : 14

더보기
  • 26등

    백종엽

    우리는 하나~
    04.10 23:57
  • 25등

    이남훈

    [마법5조] 이프로 전진 섬유포화점, FSP: Fiber Saturation Point 섬유포화점은 벌채(벌목+벌근) 직후 목재를 건조하면 1차로 자유수(유리수)가 증발하고, 결합수(세포수)가 남고 이후 계속 건조하면 결합수가 최종적으로 증발하는데, 이 양자의 한계점이다. 목재 내의 세포 내강과 같은 빈 공극에는 물(자유수)이 없고 세포벽은 수분(결합수)으로 포화되어 있는 상태에서의 목재 함수율이다.(by KS F 2003) 일반적으로 함수율 30%를 기준으로 하며 목재는 섬유포화점을 경계로, 수축팽창 등의 재질변화가 현저히 달라지고, 강도·신축성 등도 달라진다.
    04.10 23:57
  • 24등

    이종무

    [스파르타 3조]섬유포화점, FSP: Fiber Saturation Point 섬유포화점은 벌채(벌목+벌근) 직후 목재를 건조하면 1차로 자유수(유리수)가 증발하고, 결합수(세포수)가 남고 이후 계속 건조하면 결합수가 최종적으로 증발하는데, 이 양자의 한계점이다.목재 내의 세포 내강과 같은 빈 공극에는 물(자유수)이 없고 세포벽은 수분(결합수)으로 포화되어 있는 상태에서의 목재 함수율이다.(by KS F 2003)일반적으로 함수율 30%를 기준으로 하며 목재는 섬유포화점을 경계로, 수축팽창 등의 재질변화가 현저히 달라지고, 강도·신축성 등도 달라진다.
    04.10 23:20
  • 23등

    최유석

    [최강한토] FSP: Fiber Saturation Point 섬유포화점은 벌채(벌목+벌근) 직후 목재를 건조하면 1차로 자유수(유리수)가 증발하고, 결합수(세포수)가 남고 이후 계속 건조하면 결합수가 최종적으로 증발하는데, 이 양자의 한계점이다. 목재 내의 세포 내강과 같은 빈 공극에는 물(자유수)이 없고 세포벽은 수분(결합수)으로 포화되어 있는 상태에서의 목재 함수율이다.(by KS F 2003) 일반적으로 함수율 30%를 기준으로 하며 목재는 섬유포화점을 경계로, 수축팽창 등의 재질변화가 현저히 달라지고, 강도·신축성 등도 달라진다.
    04.10 21:12
  • 22등

    최정근

    [열공불패 10조] 섬유포화점, FSP:Fiber Saturation Point 섬유포화점은 벌채(벌목+벌근) 직후 목재를 건조하면 1차로 자유수(유리수)가 증발하고, 결합수(세포수)가 남고 이후 계속 건조하면 결합수가 최종적으로 증발하는데, 이 양자의 한계점이다. 목재 내의 세포 내강과 같은 빈 공극에는 물(자유수)이 없고 세포벽은 수분(결합수)으로 포화되어 있는 상태에서의 목재 함수율이다.(by KS F 2003) 일반적으로 함수율 30%를 기준으로 하며 목재는 섬유포화점을 경계로, 수축팽창 등의 재질변화가 현저히 달라지고, 강도, 신축성 등도 달라진다.
    04.10 15:51
  • 21등

    배정찬

    섬유포화점은 벌채(벌목+벌근) 직후 목재를 건조하면 1차로 자유수(유리수)가 증발하고, 결합수(세포수)가 남고 이후 계속 건조하면 겹하수가 최종적으로 증발하는데, 이 양자의 한계점이다. 목재 내의 세포 내강과 같은 빈 공극에는 물(자유수)이 없고 세포벽은 수분(결합수)으로 포화되어 있는 상태에서의 목재 함수율이다. 일반적으로 함수율 30% 기준으로 하며 목재는 섬유포화점을 경계로, 수축팽창 등의 재질변화가 현저히 달라지고, 강도.신축성 등도 달라진다.
    04.10 14:47
  • 20등

    이규능

    섬유포화점. FSP:fiber Saturation Point 섬유포화점은 벌채(벌목,벌근)직후 목재를 건조하면 1차로 자유수(유리수)가 증발하고, 결합수(세포수)가 남고 이후 계속 건조하면 결합수가 최종적으로 증발하는데, 이 양자의 한계점이다. 목재내의 세포 내강과 같은 빈 공극에는 물(자유수)이 없고 세포벽은 수분(결합수)으로 포화되있는 상태에서의 목재 함수율이다(KS F 2003) 일반적으로 함수율 30%를 기준으로 하여 목재는 섬유포화점을 경계로, 수축팽창 등의 재질변화가 현저히 달라지고, 강도,신축성등도 달라진다.
    04.10 12:58
  • 19등

    백승관

    [마법5조]섬유포화점 FSP: Fiber saturation Point 섬유포화점은 벌채 벌목+벌근 직후 목재를 건조하면 1차로 자유수 유리수가 증발하고, 결합수 세포수가 남고 이후 결합수 증발,양자의 한계점이다. 목재내의 세포 내강과 같은 빈 공극에는 자유수가 없고 세포벽은 결합수로 포화되어 있는 상태에서의 목재 함수율이다.by KS F 2003. 일반적으로 함수율 30%를 기준으로 하며 목재는 섬유포화점을 경계로,수축팽창 등의 재질변화가 현저히 달라지고 강도,신축성 등도 달라진다.
    04.10 12:16
  • 18등

    김나미

    섬유포화점 FSP fiber saturation point 자유수(유리수)증발+결합수(세포수)남음->결합수(세포수)증발 양자의 한계점 새포내강공극 자유수없음 세포벽은결합수로 포화상태 30% 재질강도신축성변화 KS F 2003
    04.10 11:58
  • 17등

    이정환

    섬유포화점, FSP:Fiber Saturation Point 섬유포화점은 벌채(벌목+벌근) 직후 목재를 건조하면 1차로 자유수(유리수)가 증발하고, 결합수(세포수)가 남고 이후 계속 건조하면 결합수가 최종적으로 증발하는데, 이 양자의 한계점이다. 목재 내의 세포 내강과 같은 빈 공극에는 물(자유수)이 없고 세포벽은 수분(결합수)으로 포화되어 있는 상태에서의 목재 함수율이다.(KS F 2003) 일반적으로 함수율 30%를 기준으로 하며 목재는 섬유포화점을 경계로 수축팽창 등의 재질변화가 현저히 달라지고 강도,신축성 등도 달라진다.
    04.10 11:49
  • 16등

    이재경

    [열공불패10조]섬유포화점, FSP: Fiber Saturation Point 섬유포화점은 벌채(벌목+벌근) 직후 목재를 건조하면 1차로 자유수(유리수)가 증발하고, 결합수(세포수)가 남고 이후 계속 건조하면 결합수가 최종적으로 증발하는데, 이 양자의 한계점이다. 목재 내의 세포 내강과 같은 빈 공극에는 물(자우수)이 없고 세포벽은 수분(결합수)으로 포화되어 있는 상태에서의 목재 함수율이다.(by KS F2003) 일반적으로 함수율 30%를 기준으로 하며 목재는 섬유포화점을 경계로, 수축팽창 등의 재질변화가 현저히 달라지고, 강도.신축성 등도 달라진다.
    04.10 11:32
  • 15등

    방승호

    섬유포화점은 벌채(벌목+벌근) 직후 목재를 건조하면 1차로 자유수가 증발되고, 결합수가 남아 이후 계속 건조하면 결합수가 최종적으로 증발하는데, 이 양자의 한계점이다. 목재 내의 세포 내강과 같은 빈 공극에는 물이 없고 세포벽은 수분으로 포화되어 있는 상태에서의 목재 함수율이다. 일반적으로 함수율 30%를 기준으로 하며 목재는 섬유포화점을 경계로, 수축팽창 등의 재질변화가 현저히 달라지고, 강도. 신축성 등도 달라진다.
    04.10 11:21
  • 14등

    김재호

    섬유포화점, FSP: Fiber Saturation Point 섬유포화점은 벌채(벌목+벌근) 직후 목재를 건조하면 1차로 자유수(유리수)가 증발하고, 결합수(세포수)가 남고 이후 계속 건조하면 결합수가 최종적으로 증발하는데, 이양자의 한계점이다. 목재 내의 세포 내강과 같은 빈 공극에는 물(자유수)이 없고 세포벽은 수분(결합수)으로 포화되어 있는 상태에서의 목재 함수율이다.(by KS F 2003) 일반적으로 함수율 30%를 기준으로 하며 목재는 섬유포화점을 경계로, 수축팽창 등의 재질변화가 현저히 달라지고, 강도.신축성 등도 달라진다.
    04.10 09:59
  • 13등

    박상진

    섬유포화점, FSP: Fiber Saturation Point 섬유포화점은 벌채(벌목+벌근) 직후 목재를 건조하면 1차로 자유수(유리수)가 증발하고, 결합수(세포수)가 남고 이후 계속 건조하면 결합수가 최종적으로 증발하는데, 이 양자의 한계점이다. 목재 내의 세포 내강과 같은 빈 공극에는 물(자유수)이 없고 세포벽은 수분(결합수)으로 포화되어 있는 상태에서의 목재 함수율이다.(by KS F 2003) 일반적으로 함수율 30%를 기준으로 하며 목재는 섬유포화점을 경계로, 수축팽창 등의 재질변화가 현저히 달라지고, 강도·신축성 등도 달라진다.
    04.10 09:59
  • 12등

    박하규

    섬유포화점, FSP: Fiber Saturation Point 섬유포화점은 벌채(벌목+벌근) 직후 목재를 건조하면 1차로 자유수(유리수)가 증발하고, 결합수(세포수)가 남고 이후 계속 건조하면 결합수가 최종적으로 증발하는데, 이양자의 한계점이다. 목재 내의 세포 내강과 같은 빈 공극에는 물(자유수)이 없고 세포벽은 수분(결합수)으로 포화되어 있는 상태에서의 목재 함수율이다.(by KS F 2003) 일반적으로 함수율 30%를 기준으로 하며 목재는 섬유포화점을 경계로, 수축팽창 등의 재질변화가 현저히 달라지고, 강도.신축성 등도 달라진다.
    04.10 09:49
  • 11등

    민구

    [스파르타 3조]패스포스 섬유포화점, FSP:Fiber Saturation Point 섬유포화점은 벌채(벌목+벌근) 직후 목재를 건조하면 1차로 자유수(유리수)가 증발하고, 결합수(세포수)가 남고 이후 계속 건조하면 결합수가 최종적으로 증발하는데, 이 양자의 한계점이다. 목재 내의 세포 내강과 같은 빈 공극에는 물(자유수)이 없고 세포벽은 수분(결합수)으로 포화되어 있는 상태에서의 목재 함수율이다.(by KS F 2003) 일반적으로 함수율 30%를 기주으로 하면 목재는 섬유포화점을 경계로, 수축팽창 등의 재질변화가 현저히 달라지고, 강도.신축성 등도 달라진다.
    04.10 09:30
  • 10등

    이수식

    [열공불패10조] 섬유포화점튼 벌채 직후 목재를 건조하면 1차로 자유수(유리수)가 증발하고, 결합수(세포수)가 남고 이후 계속 건조하면 결합수가 최종적으로 증발하는데, 이 양자의 한계점이다. 목재 내의 세포 내강과 같은 빈 공극에는 물(자유수)이 없고, 세포벽은 수분(결합수)으로 포화되어 있는 상태에서의 목재 함수율이다(by KS F 2003) 일반적으로 함수율 30%를 기준으로 하며 목재는 섬유포화점을 경계로, 수축팽창 등의 재질변화가 현저히 달라지고, 강도.신축성 등도 달라진다.
    04.10 09:20
  • 9등

    정호영

    [신화창조 2조 - 난합격] 섬유포화점, FSP: Fiber Saturation Point ① 섬유포화점은 벌채(벌목+벌근) 직후 목재를 건조하면 1차로 자유수(유리수)가 증발하고, 결합수(세포수)가 남고 이후 계속 건조하면 결합수가 최종적으로 증발하는데, 이 양자의 한계점이다. ② 목재 내의 세포 내강과 같은 빈 공극에는 물(자유수)이 없고 세포벽은 수분(결합수)으로 포화되어 있는 상태에서의 목재 함수율이다.(by KS F 2003) ③ 일반적으로 함수율 30%를 기준으로 하며 목재는 섬유포화점을 경계로, 수축·팽창 등의 재질변화가 현저히 달라지고, 강도·신축성 등도 달라진다.
    04.10 08:53
  • 8등

    이기수

    선봉1조. FSP(섬유포화점) 벌채(벌목+벌근) 직후 목재를 건조하면 1차로 자유수(유리수)가 증발하고 결합수(세포수)가 남고 이후 계속 건조하면 결합수가 최종적으로 증발하는데, 이 양자의 한계점이다. 목재 내의 세포 내강과 같은 빈 공극에는 물이 없고 세포벽은 수분(결합수)으로 포화되어 있는 상태에서의 목재 함수율이다. 일반적으로 함수율 30%를 기준으로 하며 목재는 섬유포화점을 경계로 수축 팽창 등의 재질 변화가 현저히 달라지고 강도.신축성 등도 달라진다.
    04.10 08:47
  • 7등

    장입평

    [마법5조 Bigboss]섬유포화점, FSP: Fiber Saturation Point 섬유포화점은 벌채(벌목+벌근) 직후 목재를 건조하면 1차로 자유수(유리수)가 증발하고, 결합수(세포수)가 남고 이후 계속 건조하면 결합수가 최종적으로 증발하는데, 이 양자의 한계점이다. 목재 내의 세포 내강과 같은 빈 공극에는 물(자유수)이 없고 세포벽은 수분(결합수)으로 포화되어 있는 상태에서의 목재 함수율이다.(KS F 2003) 일반적으로 함수율 30%를 기준으로 하며 목재는 섬유포화점을 경계로, 수축팽창 등의 재질변화가 현저히 달라지고, 강도.신축성 등도 달라진다.
    04.10 08:33
  • 6등

    하종화

    [마법5조] WinThanQ 섬유포화점, FSP: Fiber Saturation Point 섬유포화점은 별채(벌목+벌근) 직후 목재를 건조하면 1차로 자유수(유리수)가 증발하고, 결합수(세포수)가 남고 이후 계속 건조하면 결합수가 최종적으로 증발하는데, 이 양자의 한계점이다. 목재 내의 세포 내강과 같은 빈 공극에는 물(자유수)이 없고 세포벽은 수분(결합수)으로 포화되어 있는 상태에서의 목재 함수율이다.(by KS F 2003) 일반적으로 함수율 30%를 기준으로 하며 목재는 섬유포화점을 경계로, 수축팽창 등의 재질변화가 현저히 달라지고, 강도 및 신축성 등도 달라진다.
    04.10 07:49
  • 5등

    박성범

    마법5조 - 하이클리어 섬유포화점, FSP 섬유포화점은 벌채(벌목+벌근) 직후 목재를 건조하면 1차로 자유수가 증발하고, 결합수(세포수)가 남고 이후 계속 건조하면 결합수가 최종적으로 증발하는데, 이 양자의 한계점이다. 목재 내의 세포 내강과 같은 빈 공극에는 물(자유수)이 없고 세포벽은 수분(결합수)으로 포화되어 있는 상태에서의 목재 함수율이다. 일반적으로 함수율 30%를 기준으로 하며 목재는 섬유포화점을 경계로, 수축팽창 등의 재질변화가 현저히 달라지고, 강도/신축성 등도 달라진다
    04.10 06:33
  • 4등

    이종환

    [선봉1조] 섬유포화점, FSP: Fiber Saturation Point 섬유포화점은 벌채(벌목+벌근) 직후 목재를 건조하면 1차로 자유수(유리수)가 증발하고, 결합수(세포수)가 남고 이후 계속 건조하면 결합수가 최종적으로 증발하는데, 이 양자의 한계점이다. 목재 내의 세포 내강과 같은 빈 공극에는 물(자유수)이 없고 세포벽은 수분(결합수)으로 포화되어 있는 상태에서의 목재 함수율이다.(by KS F 2003) 일반적으로 함수율 30%를 기준으로 하며 목재는 섬유포화점을 경계로, 수축팽창 등의 재질변화가 현저히 달라지고, 강도·신축성 등도 달라진다.
    04.10 06:13
  • 3등

    김경필

    [스파르타 3조 껌딱지대마왕] 섬유포화점(FSD): 섬유포화점은 벌목,제근 직후 목재를 건조하면 1차로 자유수(유리수)가 증발하고, 결합수(세포수)가 남고 이후 계속 건조하면 결합수가 최종적으로 증발하는데, 이 양자의 한계점이다. 목재 내의 세포 내강과 같은 빈 공극에는 물이 없고 세포벽은 수분으로 포화되어 있는 상태에서의 목재 함수율이다(KS F 2003). 일반적으로 함수율 30%를 기준으로 하면 목재는 섬유포화점을 경계로, 수축팽창 등의 재질변화가 현저히 달라지고, 강도 신축성 등도 달라진다.
    04.10 00:17
  • 2등

    정지성

    [마법5조]지성_섬유포화점(FSP;Fiber Saturation Point)_섬유포화점은 벌채(벌목+벌근) 직후 목재를 건조하면 1차로 자유수(유리수)가 증발하고, 결합수(세포수)가 남고 이후 계속 건조하면 결합수가 최종적으로 증발하는데, 이 양자의 한계점이다. 목재 내위 세포 내강과 같은 빈 공극에는 물(자유수)이 없고 세포벽은 수분(결합수)으로 포화되어 있는 상태에서의 목재 함수율이다. (by KS F 2003) 일반적으로 함수율 30%를 기준으로 하며 목재는 섬유포화점을 경계로, 수축팽창 등의 재질변화가 현저히 달랒고, 강도.신축성 등도 달라진다.
    04.10 00:10
  • 1등

    한철희

    [마법5조]유진아빠 섬유포화점, FSP: Fiber Saturation Point 섬유포화점은 벌채(벌목+벌근) 직후 목재를 건조하면 1차로 자유수(유리수)가 증발하고, 결합수(세포수)가 남고 이후 계속 건조하면 결합수가 최종적으로 증발하는데, 이 양자의 한계점이다.목재 내의 세포 내강과 같은 빈 공극에는 물(자유수)이 없고 세포벽은 수분(결합수)으로 포화되어 있는 상태에서의 목재 함수율이다.(by KS F 2003)일반적으로 함수율 30%를 기준으로 하며 목재는 섬유포화점을 경계로, 수축팽창 등의 재질변화가 현저히 달라지고, 강도·신축성 등도 달라진다.
    04.10 00:02
  •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