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 시험정보
  • 학원강의
  • 온라인강의

    강의업로드

  • 교재안내
  • 합격현황
  • 학습게시판
  • 나의강의실
학습게시판

학습게시판

HOME>학습게시판>학습게시판

2019년 08월
[오늘의 출첵미션]
  • 열교는 벽, 바닥 slab, 지붕 등의 구조체에 단열재 시공이 연속되지 못하고 끊기는 열적취약부위가 있는 경우 실내의 열기가 직접 구조체를 통해 따뜻한 실내에서 차가운 실외로 이동하는 현상이다.
  • 냉교는 벽, 바닥 slab, 지붕 등의 구조체에 단열재 시공이 연속되지 못하고 끊기는 열적취약부위가 있는 경우 실외의 냉기가 직접 구조체를 통해 차가운 실외에서 따뜻한 실내로 이동하는 현상이다.
  • 열교현상은 보통 어떤곳에서는 냉교현상이라고 표현도 하지만 건축물리에서는 열손실을 감안한 단열을 주로 생각하기에 열교현상이라 표현하는 것이 옳다.
  • 열교(냉교)는 벽, 바닥 slab, 지붕 등의 구조체에 단열재 시공이 연속되지 못하고 끊기는 열적취약부위가 있는 경우 실내(신외)의 열기(냉기)가 직접 구조체를 통해 따뜻한 실내(차가운 실외)에서 차가운 실외(따뜻한 실내)로 이동하는 현상이다.

오늘의 출첵멤버 : 33

더보기
  • 15등

    김호곤

    열교는 벽, 바닥slab, 지붕 등의 구조체에 단열재 시공이 연속되지 못하고 끊기는 열적취약 부위가 있는 경우 실내의 열기가 직접 구조체를 통해 따뜻한 실내에서 차가운 실외로 이동하는 현상이다. 냉교는 벽, 바닥Slab, 지붕 등의 구조체에 단열재 시공이 연속되지 못하고 끊기는 열적취약 부위가 있는 경우 실외의 냉기가 직접 구조체를 통해 차가운 실외에서 따뜻한 실내로 이동하는 현상이다. 열교현상은 보통 어떤 곳에서는 냉교현상이라고 표현도 하지만 건축물리 에서는 열손실을 감안한 단열을 주로 생각하기에 열교현상이라 표현하는 것이 옳다. 열교(냉교)는 벽, 바닥slab, 지붕 등의 구조체에 단열재 시공이 연속되지 못하고 끊기는 (열적취약부위)가 있는 경우(실내(실외)의 열기(냉기)가 열취약 구조체를 통해) (직접 따듯한 실내(차가운 실외)에서 차가운 실외(따뜻한 실내)로 이동하는 현상이다.
    12.23 08:23
  • 14등

    김대식

    열교는 벽, 바닥 slab, 지붕 등의 구조체에 단열재 시공이 연속되지 못하고 끊기는 열적취약부위가 있는 경우 실내의 열기가 직접 구조체를 통해 따뜻한 실내에서 차가운 실외로 이동하는 현상이다. 냉교는 벽, 바닥 slab, 지붕 등의 구조체에 단열재 시공이 연속되지 못하고 끊기는 열적취약부위가 있는 경우 실외의 냉기가 직접 구조체를 통해 차가운 실외에서 따뜻한 실내로 이동하는 현상이다. 열교현상은 보통 어떤곳에서는 냉교현상이라고 표현도 하지만 건축물리에서는 열손실을 감안한 단열을 주로 생각하기에 열교현상이라 표현하는 것이 옳다. 열교(냉교)는 벽, 바닥 slab, 지붕 등의 구조체에 단열재 시공이 연속되지 못하고 끊기는 <열적취약부위>가 있는 경우 <실내(실외)의 열기(냉기)가 열 취약 구조체를 통해> (직접 따뜻한 실내(차가운 실외)에서 차가운 실외(따뜻한 실내)로 이동)하는 현상이다. 열 이동
    09.10 06:59
  • 13등

    이호진

    열교는 벽, 바닥 slab, 지붕 등의 구조체에서 단열재 시공이 연속되지 못하고 끊기는 열적취약부위가 있는 경우 실내의 열기가 직접 구조체를 통해 따뜻한 실내에서 차가운 실외로 이동하는 현상이다. 냉교는 벽,바닥 slab, 지붕 등의 구조체에 단열재 시공이 연속되지 못하고 끊기는 열적 취약부위가 있는 경우 실외의 냉기가 직접 구조체를 통해 차가운 실외에서 따뜻한 실내로 이동하는 현상이다. 열교현상은 보통 어떤곳에서 냉교현장이라고 표현도 하지만 건축물에서는 열손실을 감안한 단열을 주로 생각하기에 열교현상이라 표현하는 것이 옳다. 열교(냉교)는 벽, 바닥 slab, 지붕 둥의 구조체에 단열재 시공이 연속되지 못하고 끊기는 열적취약부위가 있는 경우 실내(실외)의 열기(냉기)가 직접 구조체를 통해 따뜻한 실내(차가운 실외)에서 차가운 실외(따뜻한 실내)로 이동하는 현상이다.
    09.04 16:35
  • 12등

    배영재

    열교는 벽,바닥 slab, 지분등의 구조체에 단열재 시공이 연속되지 못하고 끊기는 열적취약부위가 있는경우 실내의 열기가 직접 구조체를 통해 따뜻한 실내에서 차가운 실외로 이동하는 현상이다. 냉교는 벽,바닥 slab,지붕등의 구조체에 단열재 시공이 연속되지 못하고 끊기는 열적취약부위가 있는 경우 실외의 냉기가 직접 구조체를 통해 차가운 실외에서 따뜻한 실내로 이동하는 현상이다. 열교현상은 보통 어떤곳에서는 냉교현상이라고 표현도 하지만 건축물리에서는 열손실을 감안한 단열을 주로 생각하기에 열교현상이라 표현하는 것이 옳다. 열교(냉교)는 벽 ,바닥 slab, 지붕등의 구조체에 단열재 시공이 연속되지 못하고 끊기는 열적취약부위가 있는경우 실내(실외)의 열기(냉기)가 직접 구조체를 통해 따뜻한 실내(차가운 실외)에서 차가운 실외(따뜻한 실내)로 이동하는 현상이다.
    08.17 08:37
  • 11등

    김대식

    열교는 벽, 바닥 slab, 지붕 등의 구조체에 단열재 시공이 연속되지 못하고 끊기는 열적취약부위가 있는 경우 실내의 열기가 직접 구조체를 통해 따뜻한 실내에서 차가운 실외로 이동하는 현상이다. 냉교는 벽, 바닥 slab, 지붕 등의 구조체에 단열재 시공이 연속되지 못하고 끊기는 열적취약부위가 있는 경우 실외의 냉기가 직접 구조체를 통해 차가운 실외에서 따뜻한 실내로 이동하는 현상이다. 열교현상은 보통 어떤곳에서는 냉교현상이라고 표현도 하지만 건축물리에서는 열손실을 감안한 단열을 주로 생각하기에 열교현상이라 표현하는 것이 옳다. 열교(냉교)는 벽, 바닥 slab, 지붕 등의 구조체에 단열재 시공이 연속되지 못하고 끊기는 <열적취약부위>가 있는 경우 <실내(실외)의 열기(냉기)가 열 취약 구조체를 통해> (직접 따뜻한 실내(차가운 실외)에서 차가운 실외(따뜻한 실내)로 이동)하는 현상이다. 열 이동
    08.17 07:13
  • 10등

    김대식

    열교는 벽, 바닥 slab, 지붕 등의 구조체에 단열재 시공이 연속되지 못하고 끊기는 열적취약부위가 있는 경우 실내의 열기가 직접 구조체를 통해 따뜻한 실내에서 차가운 실외로 이동하는 현상이다. 냉교는 벽, 바닥 slab, 지붕 등의 구조체에 단열재 시공이 연속되지 못하고 끊기는 열적취약부위가 있는 경우 실외의 냉기가 직접 구조체를 통해 차가운 실외에서 따뜻한 실내로 이동하는 현상이다. 열교현상은 보통 어떤곳에서는 냉교현상이라고 표현도 하지만 건축물리에서는 열손실을 감안한 단열을 주로 생각하기에 열교현상이라 표현하는 것이 옳다. 열교(냉교)는 벽, 바닥 slab, 지붕 등의 구조체에 단열재 시공이 연속되지 못하고 끊기는 <열적취약부위>가 있는 경우 <실내(실외)의 열기(냉기)가 열 취약 구조체를 통해> (직접 따뜻한 실내(차가운 실외)에서 차가운 실외(따뜻한 실내)로 이동)하는 현상이다.
    08.16 17:18
  • 9등

    강 대 현

    열교는 벽, 바닥 slab, 지붕 등의 구조체에 단열재 시공이 연속되지 못하고 끊기는 열적취약부가 있는 경우 실내의 열기가 직접 구조체를 통해 따뜻한 실내에서 차가운 실외로 이동하는 현상이다. 냉교는 벽, 바닥 slab, 지붕 등의 구조체에 단열재 시공이 연속되지 못하고 끊기는 열적취약부가 있는 경우 실외의 냉기가 직접 구조체를 통해 차가운 실외에서 따뜻한 실내로 이동하는 현상이다. 열교현상은 보통 어떤곳에서 냉교현상이라고 표현도 하지만 건축물리에서는 열손실을 감안한 단열을 주로 생각하기에 열교현상이라 표현하는 것이 옳다. 열교(냉교)는 벽, 바닥slab, 지붕 등의 구조체에 단열재 시공이 연속되지 못하고 끊기는 열적취약부위가 있는 경우 실내(실외)의 열기(냉기)가 직접 구조체를 통해 따뜻한 실내(차가운 실외)에서 차가운 실외(따뜻한 실내)로 이동하는 현상이다.
    08.13 13:03
  • 8등

    유원동

    열교는 벽,바닥슬래브, 지붕등의 구조체에 단열재 시공이 연속되지 못하고 끊기는 열적취약부위가 있는 경우 실내의 열기가 직접 구조체를 통해 따뜻한 실내에서 차가운 실외로 이동하는 현상, 냉교는 벽,바닥슬래브, 지붕 등의 구조체에 단열재 시공이 연속되지 못하고 끊기는 열적취약부위가 있는 경우 실외의 냉기가 직접 구조체를 통해 차가운 실외에서 따뜻한 실내로 이동하는 현상. 열교현상은 보통 어떤곳에서는 냉교현상이라고 표현도 하지만 건출물리에서는 열손실을 감안한 단열을 주로 생각하기에 열교현상이라 표현하는 것이 옳다. 열교(냉교)는 벽,바닥슬래브,지붕 등의 구조체에 단열재 시공이 연속되지 못하고 끊기는 열적취약부위가 있는 경우 실내(실외)의 열기(냉기)가 직접 구조체를 통해 따뜻한 실내(차가운 실외)에서 차가운 실외(따뜻한 실내)도 이동하는 현상이다.
    08.12 13:00
  • 7등

    이정환

    열교는 벽, 바닥슬래브, 지붕 등의 구조체에 단열재 시공이 연속되지 못하고 끊기는 열적취약부위가 있는 경우 실내의 열기가 직접 구조체를 통해 따뜻한 실내에서 차가운 실외로 이동하는 현상이다. 냉교는 벽, 바닥슬래브, 지붕 등의 구조체에 단열재 시공이 연속되지 못하고 끊기는 열적취약부위가 있는 경우 실외의 냉기가 직접 구조체를 통해 차가운 실외에서 따뜻한 실내로 이동하는 현상이다. 열교현상은 보통 어떤 곳에서는 냉교현상이라고 표현도 하지만 건축물리에서는 열손실을 감안한 단열을 주로 생각하기에 열교현상이라 표현하는 것이 옳다 열교(냉교)는 벽, 바닥슬래브, 지붕 등의 구조체에 단열재 시공이 연속되지 못하고 끊기는 열적취약부위가 있는 경우 실내(실외)의 열기(냉기)가 직접 구조체를 통해 따뜻한 실내(차가운 실외)에서 차가운 실외(따뜻한 실내)로 이동하는 현상이다.
    08.12 10:20
  • 6등

    김대식

    열교는 벽, 바닥 slab, 지붕 등의 구조체에 단열재 시공이 연속되지 못하고 끊기는 열적취약부위가 있는 경우 실내의 열기가 직접 구조체를 통해 따뜻한 실내에서 차가운 실외로 이동하는 현상이다. 냉교는 벽, 바닥 slab, 지붕 등의 구조체에 단열재 시공이 연속되지 못하고 끊기는 열적취약부위가 있는 경우 실외의 냉기가 직접 구조체를 통해 차가운 실외에서 따뜻한 실내로 이동하는 현상이다. 열교현상은 보통 어떤곳에서는 냉교현상이라고 표현도 하지만 건축물리에서는 열손실을 감안한 단열을 주로 생각하기에 열교현상이라 표현하는 것이 옳다. 열교(냉교)는 벽, 바닥 slab, 지붕 등의 구조체에 단열재 시공이 연속되지 못하고 끊기는 <열적취약부위>가 있는 경우 <실내(실외)의 열기(냉기)가 열 취약 구조체를 통해> (직접 따뜻한 실내(차가운 실외)에서 차가운 실외(따뜻한 실내)로 이동)하는 현상이다.
    08.12 07:27
  • 5등

    김대식

    열교는 벽, 바닥 slab, 지붕 등의 구조체에 단열재 시공이 연속되지 못하고 끊기는 열적취약부위가 있는 경우 실내의 열기가 직접 구조체를 통해 따뜻한 실내에서 차가운 실외로 이동하는 현상이다. 냉교는 벽, 바닥 slab, 지붕 등의 구조체에 단열재 시공이 연속되지 못하고 끊기는 열적취약부위가 있는 경우 실외의 냉기가 직접 구조체를 통해 차가운 실외에서 따뜻한 실내로 이동하는 현상이다. 열교현상은 보통 어떤곳에서는 냉교현상이라고 표현도 하지만 건축물리에서는 열손실을 감안한 단열을 주로 생각하기에 열교현상이라 표현하는 것이 옳다. 열교(냉교)는 벽, 바닥 slab, 지붕 등의 구조체에 단열재 시공이 연속되지 못하고 끊기는 <열적취약부위>가 있는 경우 <실내(실외)의 열기(냉기)가 직접 구조체를 통해 따뜻한 실내(차가운 실외)에서 차가운 실외(따뜻한 실내)로 이동>하는 현상이다.
    08.11 05:46
  • 4등

    박성배

    열교는 벽, 바닥 slab, 지붕 등의 구조체에 단열재 시공이 연속되지 못하고 끊기는 열적취약부위가 있는 경우 실내의 열기가 직접 구조체를 통해 따듯한 실내에서 차가운 실외로 이동하는 현상이다. 냉교는 벽, 바닥slab, 지붕 등의 구조체에 단열재 시공이 연속되지 못하고 끊기는 열적취약부위가 있을 경우 실외의 냉기가 직접 구조체를 통해 차가운 실외에서 따듯한 실내로 이동하는 현상이다. 열교현상은 보통 어떤곳에서는 냉교현상이라고 표현도 하지만 건출물리에서는 열손실을 감안한 단열을 주로 생각하기에 열교현상이라고 표현하는 것이 옳다. 열교(냉교)는 벽,바닥slab,지붕 등의 구조체에 단열재 시공이 연속되지 못하고 끊기는 열적취약부위가 있는 경우 실내(신외)의 열기(냉기)가 직접 구조체를 통해 따뜻한 실내(차가운 실외)에서 차가운 실외(따뜻한 실내)로 이동하는 현상이다.
    08.10 12:48
  • 3등

    이지호

    열교는 벽, 바닥 slab, 지붕 등의 구조체에 단열재 시공이 연속되지 못하고 끊기는 열적취약부위가 있는 경우 실내의 열기가 직접 구조체를 통해 따뜻한 실내에서 차가운 실외로 이동하는 현상이다. 냉교는 벽, 바닥 slab, 지붕 등의 구조체에 단열재 시공이 연속되지 못하고 끊기는 열적취약부위가 있는 경우 실외의 냉기가 직접 구조체를 통해 차가운 실외에서 따뜻한 실내로 이동하는 현상이다. 열교현상은 보통 어떤곳에서는 냉교현상이라고 표현도 하지만 건축물리에서는 열손실을 감안한 단열을 주로 생각하기에 열교현상이라 표현하는 것이 옳다. 열교(냉교)는 벽, 바닥 slab, 지붕 등의 구조체에 단열재 시공이 연속되지 못하고 끊기는 열적취약부위가 있는 경우 실내(신외)의 열기(냉기)가 직접 구조체를 통해 따뜻한 실내(차가운 실외)에서 차가운 실외(따뜻한 실내)로 이동하는 현상이다.
    08.10 10:01
  • 2등

    김재은

    열교는 벽, 바닥, slab, 지붕 등의 구조체에 단열재 시공이 연속되지 못학 끊기는 열적취약부위가 있는 경우 실내의 열기가 직접 구조체를 통해 따뜻한 실내에서 차가운 실외로 이동하는 현상이다. 냉교는 벽, 바닥 slab, 지붕 등의 구조체에 단열재 시공이 연속되지 못하고 끊기는 열적취약부위가 있는 경우 실외의 냉기가 직접 구조체를 통해 차가운 실외에서 따뜻한 실내로 이동하는 현상이다. 열교현상은 보통 어떤곳에서는 냉교현상이라고 표현도 하지만 건축물리에서는 열손실을 감안한 단열을 주로 생각하기에 열교현상이라 표현하는 것이 옳다. 열교(냉교)는 벽, 바닥 slab, 지붕 등의 구조체에 단열재 시공이 연속되지 못하고 끊기는 열적위약부위가 있는 경우 실내(실외)의 열기(냉기)가 직접 구조체를 통해 따뜻한 실내(차가운 실외)에서 차가운 실외(따뜻한 실내)로 이동하는 현상이다.
    08.10 09:11
  • 1등

    김대식

    열교는 벽, 바닥 slab, 지붕 등의 구조체에 단열재 시공이 연속되지 못하고 끊기는 열적취약부위가 있는 경우 실내의 열기가 직접 구조체를 통해 따뜻한 실내에서 차가운 실외로 이동하는 현상이다. 냉교는 벽, 바닥 slab, 지붕 등의 구조체에 단열재 시공이 연속되지 못하고 끊기는 열적취약부위가 있는 경우 실외의 냉기가 직접 구조체를 통해 차가운 실외에서 따뜻한 실내로 이동하는 현상이다. 열교현상은 보통 어떤곳에서는 냉교현상이라고 표현도 하지만 건축물리에서는 열손실을 감안한 단열을 주로 생각하기에 열교현상이라 표현하는 것이 옳다. 열교(냉교)는 벽, 바닥 slab, 지붕 등의 구조체에 단열재 시공이 연속되지 못하고 끊기는 열적취약부위가 있는 경우 실내(실외)의 열기(냉기)가 직접 구조체를 통해 따뜻한 실내(차가운 실외)에서 차가운 실외(따뜻한 실내)로 이동하는 현상이다.
    08.10 05:25
  •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