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 시험정보
  • 학원강의
  • 온라인강의

    강의업로드

  • 교재안내
  • 합격현황
  • 학습게시판
  • 나의강의실
학습게시판

학습게시판

HOME>학습게시판>학습게시판

2020년 09월
[오늘의 출첵미션]

오늘의 출첵멤버 : 38

더보기
  • 8등

    백선환

    1. 안정액 슬라임 처리>슬라임의 영향 : 지하벽체지지력 저하, 벽체침하 초래, 벽체하부 지수성저하로 인한 보일링 발생, 콘크리트 강도저하, 안정액의 물성저하..> 슬라임 1차처리 : 안정액 회수관을 통해 안정액을 플랜트로 회수하여 모래성분을 걸러내고 소정의 벤토나이트와 재혼합하여 자시투입 > 슬라임 2차처리 : 굴착공사후 부유토사분 침강완료시 실시 No.2 언더피닝구간의 벽면정리 시공오차를 고려하여 설계상 카운트월 외벽선 위치보다 50~100mm 정도 후퇴시켜 토공사를 진행한다. > 카운트월 : 슬러리월 하단부 토층굴착이 불가능하거나 경암인경우 Soldier Pile 설치 또는 록볼트, 와이어메쉬, 숏크리트를 이용한 언더피닝 시공으로 예정깊이까지 순차적으로 굴토하여 지하벽체를 구축하는 공법이다. No.3 슬러리월 조인트방수 : 콘크리트가 분할타설되고 연결철근도 없기 때문에 추후 균열에 의한 누수가 발생한다고 가정하여 최하층까지 지하수의 연속적인 유도를 위해 각층슬래브시공 전에 조인트 방수를 실시(슬러리월 조인트를 V자로 치핑한다음 폴리머 시멘트방수 2회실시, PVC파이프 설치 후 방수모르타르로 표면마감)
    09.22 16:13
  • 7등

    김호곤

    [안정액 슬라임 처리] 슬라임 영향 : 지하벽체 지지력 저하, 벽체침하 초래, 벽체 하부 지수성저하로 인한 보일링 발생, 콘크리트 강도저하, 안정액의 물성저하. 1. 슬라임 1차처리 : 안정액 회수관을 통해 안정액을 플랜트로 회수하여 모래성분을 걸러내고 소정의 벤토나이트와 재혼합하여 다시 투입 2. 2차처리 : 굴착공사 후 부유 토사분 침강완료시 실시 3. 언더피닝 구간의 벽면정리 시공오차를 고려하여 설계상 카운트월 외벽서 외벽선 위치보다 50~100mm정도 후퇴시켜 토공사를 진행한다. 4. 카운터월 : 하단부 토층 굴착이 불가능하거나 경암안 경우 soldier pile설치 또는 락볼트 와이어메쉬, 숏크리트를 이용한 언더피닝 시공으로 예정깊이 까지 순차적으로 굴토하여 지하 벽체를 구축하는 공법 5. 슬러리월 조인트 방수 : 콘크리트가 분할 타설되고 연결철근도 없기 때문에 추후 균열에 의한 누수가 발생한다고 가정하여 최하층까지 지하수의 연속적인 유도를 위해 각층 슬래브 시공전에 조인트 방수를 실시(슬러리월 조인트를 V자로 치핑한 다음 폴리머시멘트 방수 2회 실시, PVC파이프 설치 후 방수모르타르 표면 마감한다.)
    09.22 08:42
  • 6등

    윤현석

    안정액 슬라임 처리 슬라임 영향 : 지하벽체 지지력 저하 벽체침하 초래, 벽체하무 지수성저하로 인한 보일링 발생 콘크리트 강도저하 안정액의 물성저하 슬라임1차처리 : 안정액 회수관을 통해 안정액을 플랜트로 회수하여 모래성분을 걸러내고 소정의 벤토나이트와 재혼합하여 다시 투입 2차처리 : 굴착공사 후 보유 토사분 침강 완료 시 실시 2. 언더피닝구간의 벽면 정리 시공오차를 고려하여 서례상 카운트월 외벽서 외벽선 위치보다50~100mm 정도 후퇴시켜 토공사를 진행한다. 3. 카운트월 : 하단부 토층 굴착이 불가능하거나 경암인 경우 Solider Pile설치 또는 락볼트 와이어매쉬 숏크리트를 이용한 언더피닝 시공으로 예정깊이까지 순차적으로 굴토하여 지하 벽체를 구축하는 공법 4. 슬러리월 조인트 방수 : 콘크리트가 분할 타설되고 연결철근도 없기 때문에 추후 균열에 의한 누수가 발생한다고 가정하여 최하층까지 지하수의 연속적인 유고를 위해 각층 슬래브 시공전에 조인트방수를 실시(슬러리월 조인트를 V로 치핑한 다음 폴리머시멘트 방수 2회 실시, PVE파이프 설치 후 방수모르타르 표면 마감한다)
    09.21 14:49
  • 5등

    황성일

    안정액 슬라임 처리 슬라임 영향 : 지하벽체 지지력 저하 벽체침하 초래 벽체하부 지수성저하로 인한 보일링 발생 콘크리트 강도저하 안정액의 물성저하 슬라임1차처리 : 안정액 회수관을 통해 안정액을 플랜트로 회수하여 모래성분을 걸러내고 소정의 벤토나이트와 재혼합하여 다시 투입.. 2차처리 : 굴착공사후 보유 토사분 침강 완료시 실시 2. 언더피닝 구간의 벽면정리 시공오차를 고려하여 설계상 카운트월 외벽서 외벽선 위치보다 50~100mm정도 후퇴시켜 토공사를 진행한다 3. 카운트윌 : 하단부 토층 굴착이 불가은하거나 경암인 경우 soldier plie설치 또는 락볼트 와이어메쉬 숏크리트를 이용한 언더피닝 시공으로 예정깊이 까지 순차적으로 굴토하여 지하 벽체를 구축하는 공법 3. 슬러리월 조인트 방수:콘크리트가 분할 타설되고 연결철근도 없기 때문에 추후 균열에 의한 누수가 발생한다고 가정하여 최하층까지 지하수의 연속적인 유고를 위해 각층 슬래브 시공전에 조인트방수를 실시(슬러리월조인트를 V자로 치핑한 다음 폴리머시멘트 방수2회실시PVC파이프 설치후 방수모르타르 표면 마감한다.
    09.21 11:59
  • 4등

    김철수

    안정액 슬라임 처리 > 슬라임의 영향 : 지하벽체 지지력 저하, 벽체 침하 초래. 벽체 하부 지수성 저하로 인한 보일링 발생, 콘크리트 강도 저하 ,안정액의 물성 저하 > 슬라임 1차 처리:안정액 회수관을 통해 안정액을 플랜트로 회수하여 모래성분을 걸러내고 소정의 벤토나이트와 재 혼합하여 다시 투입 > 슬라임 2차 처리 : 굴착공사 후 보유 토사분 침강 완료 시 실시 no.2 언더피닝구간의 벽면정리 시공오차를 고려하여 설계상 카운트월 외벽선 외벽선 위치보다 50~100mm 정도 후퇴시켜 토공사를 진행한다.> 카운트월: 슬러리 월 하단부 토층 굴착이 불가능하거나 경암인 경우 Soldier Pile 설치 또는 록볼트, 와이어 메쉬, 숏크리트를 이용한 언더피닝 시공으로 예정깊이까지 순차적으로 굴토하여 지하 벽첼를 구축하는 공법. no3. 슬러리월 조인트 방수 :콘크리트가 분할타설되고 연결철근도 없기 때문에 추후 균열에 의한 누수가 발생한다고 가정하여 최하층까지 지하수의 연속적인 유도를 위해 각층 슬래브 시공 전에 조인트 방수를 실시(슬러리월 조인트를 v자로 치핑한 다음 폴리머시멘트 방수 2회 실시 ,PVC 파이프 설치 후 방수 모르타르로 표면 마감0
    09.21 11:03
  • 3등

    이삭

    안정액 슬라임 처리 > 슬라임의 영향: 지하벽체 지지력 저하, 벽체 침하 초래. 벽체 하부 지수성 저하로 인한 보일링 발생, 콘크리트 강도 저하, 안정액의 물성 저하 > 슬라임 1차 처리: 안정액 회수관을 통해 안정액을 플랜트로 회수하여 모래성분을 걸러내고 소정의 벤토나이트와 재 혼합하여 다시 투입 > 슬라임 2차 처리 : 굴착공사 후 보유 토사분 침강 완료 시 실시 no.2 언더피닝구간의 벽면정리 시공오차를 고려하여 설계상 카운트월 외벽선 위치보다 50~100mm 정도 후퇴시켜 토공사를 진행한다. > 카운트월: 슬러리월 하단부 토층 굴착이 불가능하거나 경암인 경우 Soldier Pile 설치 또는 록볼트, 와이어메쉬, 숏크리트를 이용한 언더피닝 시공으로 예정깊이까지 순차적으로 굴토하여 지하벽체를 구축하는 공법. no.3 슬러리월 조인트 방수: 콘크리트가 분할타설되고 연결철근도 없기 때문에 추후 균열에 의한 누수가 발생한다고 가정하여 최하층까지 지하수의 연속적인 유도를 위해 각층 슬래브 시공 전에 조인트 방수를 실시(슬러리월 조인트를 V자로 치핑한 다음 폴리머시멘트방수 2회 실시, PVC파이프 설치 후 방수모르타르로 표면 마감)
    09.20 23:58
  • 2등

    노충환

    복습} 안정액 슬라임 처리 > 슬라임의 영향: 지하벽체 지지력 저하, 벽체 침하 초래. 벽체 바부 지수성 저하로 인한 보일리 발생, 콘크리트 강도 저하. 안정액의 물성 저하 > 슬라임 1차 처리: 안정액 회수관을 통해 안정액을 플랜트로 회수하여 모래성분을 걸러내고 소정의 벤토나이트와 재 혼합하여 다시 투입 > 슬라임 2차 처리: 굴착공사 후 부유 토사분 침강 완료시 실시 nd.2 언더피닝 구간의 벽면정리 시공오차를 고려하여 설계상 카운트월 외벽선 위치보다 50 ~ 100mm 후퇴시켜 토공사를 진행한다. > 카운트월: 슬러리월 하단부 토층 굴착이 불가는하거나 경암인 경우 soldier pile 설치 또는 록볼트, 와이어메쉬 . 쇼크리트를 이용한 언더피일 시공으로 예정깊이 까지 순차적으로 굴토하여 지하벽체를 구축하는 공법이다. no.3 슬러리월 죠인트 방수: 콘크리트가 분할 타설되고 연결철근도 없기 때문에 추후 균열레 의한 누수가 발생한다고 가정하여 최하층까지 지하수의 연속적인 유도를 위해 각층 슬래브 시공전에 조인트 방수를 실시 ( 슬러리월 조인트를 v자로 치핑한 다음 폴리머시멘트 2회 실시, PVC파이프 설치 후 방수 모르타르로 표면 마감 )
    09.20 08:03
  • 1등

    김대식

    <감사합니다> 안정액 슬라임 처리 > 슬라임의 영향: 지하벽체 지지력 저하, 벽체 침하 초래, 벽체 하부 지수성 저하로 인한 보일링 발생, 콘크리트강도 저하, 안정액의 물성 저하...> 슬라임1차 처리: 안정액 회수관을 통해 안정액을 플랜트로 회수하여 모래성분을 걸러내고 소정의 벤토나이트와 재혼합하여 다시 투입 > 슬라임 2차 처리: 출착공사 후 부유토사분 침강완료시 실시 no.2 언더피닝구간의 벽면정리 시공오차를 고려하여 설계상 카운트월 외벽선 위치보다 50~100mm정도 후퇴시켜 토공사를 진행한다. > 카운트월: 슬러리월 하단부 토층굴착이 불가능하거나 경암인 경우 Soldier Pile 설치 또는 록볼트, 와이어메쉬, 숏크리트를 이용한 언더피닝 시공으로 예정깊이까지 순차적으로 굴토하여 지하벽체를 구축하는 공법이다. no.3 슬러리월 조인트 방수: 콘크리트가 분할타설되고 연결철근도 없기 때문에 추후 균열에 의한 누수가 발생한다고 가정하여 최하층까지 지하수의 연속적인 유도를 위해 각층 슬래브 시공 전에 조인트 방수를 실시(슬러리월 조인트를 V자로 치핑한 다음 폴리머시멘트방수 2회 실시, PVC파이프 설치후 방수모르타르로 표면마감)
    09.20 00:19
  •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