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솔아카데미 로고

  • 시험정보
  • 학원강의
  • 온라인강의

    강의업로드

  • 교재안내
  • 합격현황
  • 학습게시판
  • 나의강의실
학습게시판

학습게시판

HOME>학습게시판>학습게시판

2019년 06월
[오늘의 출첵미션]

풀림(Annealing)

  • 재료를 평형상태도에 나타난 그대로의 안정상태로 만들기 위한 처리방법이다. ‘어닐링’이라고도 하는데, 이전에는 ‘소둔’(燒鈍)이라고 하였다.
  • 상변화(相變化)가 온도의 오르내림에 따라 일어나는 재료에서는 충분한 시간에 걸쳐서 천천히 냉각시킴으로서 상태도에 나타난 것만큼의 변화를 전부 완료시켜서 안정된 평형상태로 한다. 고온상태에서 천천히 식혀서 확산에 의해 각 온도에서 평형상태를 그 때마다 잡으면서 냉각될 수 있는 시간을 준다. 이 밖에 가공 주조 ·조사(照射) 등에 의해 변형이 생기거나 격자결함(格子缺陷)이 생겨서 굳은 결정고체에서는 그 속에서 주체가 되는 성분의 원자가 충분히 확산해서 움직일 수 있는 온도, 즉 재결정(再結晶)온도 이상으로 적당한 시간 가열해서 목적을 달성한다.
  • 풀림하여 얻을 수 있는 상태는 그 재료에 있어서 가장 부드러운 상태일 때가 많으므로, 풀림이라는 말에는 가장 연한 상태를 얻는 열처리 조작이라는 느낌이 내포되어 있다. 이 때문에 석출경화형(析出硬化型) 합금인 베릴륨 구리에서는 완전히 고용(固溶)되는 온도까지 가열해서 급랭하여, 과포화고용체(過飽和固溶體)를 얻으면, 그 합금에서의 가장 연한 상태가 되기 때문에, 이 조작을 용체화(溶體化) 담금질, 또는 용체화 풀림(solution annealing)이라고도 한다.

 불림(Normalizing)

강을 단련한 후, 오스테나이트의 단상(單相)이 되는 온도범위에서 가열하여 대기 속에 방치하여 자연냉각(自然冷却) 한다.

이것의 목적은

① 주조 또는 과열 조직을 미세화하고,

② 냉간가공·단조 등에 의한 내부응력을 제거하며,

③ 결정조직, 기계적·물리적 성질 등을 표준화시키는 데 있다.

오늘의 출첵멤버 : 8

더보기
  • 35등

    김대식

    풀림(Annealing) 재료를 평형상태도에 나타난 <그대로의 안정상태로 만들기> 위한 처리방법이다. ‘어닐링’이라고도 하는데, 이전에는 ‘소둔’(燒鈍)이라고 하였다. 상변화(相變化)가 온도의 오르내림에 따라 일어나는 재료에서는 <충분한 시간에 걸쳐서 천천히 냉각시킴으로서 상태도에 나타난 것만큼의 변화를 전부 완료시켜서 안정된 평형상태>로 한다. 고온상태에서 천천히 식혀서 확산에 의해 각 온도에서 평형상태를 그 때마다 잡으면서 냉각될 수 있는 시간을 준다. 이 밖에 가공 주조 ·조사(照射) 등에 의해 변형이 생기거나 격자결함(格子缺陷)이 생겨서 굳은 결정고체에서는 그 속에서 주체가 되는 성분의 원자가 충분히 확산해서 움직일 수 있는 온도, 즉 재결정(再結晶)온도 이상으로 적당한 시간 가열해서 목적을 달성한다. 풀림하여 얻을 수 있는 상태는 그 재료에 있어서 가장 부드러운 상태일 때가 많으므로, 풀림이라는 말에는 가장 연한 상태를 얻는 열처리 조작이라는 느낌이 내포되어 있다. 이 때문에 석출경화형(析出硬化型) 합금인 <베릴륨 구리>에서는 완전히 고용(固溶)되는 온도까지 가열해서 급랭하여, 과포화고용체(過飽和固溶體)를 얻으면, 그 합금에서의 가장 연한 상태가 되기 때문에, 이 조작을 용체화(溶體化) 담금질, 또는 용체화 풀림(solution annealing)이라고도 한다. 불림(Normalizing) 강을 단련한 후, 오스테나이트의 단상(單相)이 되는 온도범위에서 가열하여 대기 속에 방치하여 자연냉각(自然冷却) 한다. 이것의 목적은 (① 주조 또는 과열 조직을 미세화하고, ② 냉간가공·단조 등에 의한 내부응력을 제거하며, ③ 결정조직, 기계적·물리적 성질 등을 표준화)시키는 데 있다.
    09.25 07:10
  • 34등

    김대식

    풀림(Annealing) 재료를 평형상태도에 나타난 <그대로의 안정상태로 만들기> 위한 처리방법이다. ‘어닐링’이라고도 하는데, 이전에는 ‘소둔’(燒鈍)이라고 하였다. 상변화(相變化)가 온도의 오르내림에 따라 일어나는 재료에서는 <충분한 시간에 걸쳐서 천천히 냉각시킴으로서 상태도에 나타난 것만큼의 변화를 전부 완료시켜서 안정된 평형상태>로 한다. 고온상태에서 천천히 식혀서 확산에 의해 각 온도에서 평형상태를 그 때마다 잡으면서 냉각될 수 있는 시간을 준다. 이 밖에 가공 주조 ·조사(照射) 등에 의해 변형이 생기거나 격자결함(格子缺陷)이 생겨서 굳은 결정고체에서는 그 속에서 주체가 되는 성분의 원자가 충분히 확산해서 움직일 수 있는 온도, 즉 재결정(再結晶)온도 이상으로 적당한 시간 가열해서 목적을 달성한다. 풀림하여 얻을 수 있는 상태는 그 재료에 있어서 가장 부드러운 상태일 때가 많으므로, 풀림이라는 말에는 가장 연한 상태를 얻는 열처리 조작이라는 느낌이 내포되어 있다. 이 때문에 석출경화형(析出硬化型) 합금인 <베릴륨 구리>에서는 완전히 고용(固溶)되는 온도까지 가열해서 급랭하여, 과포화고용체(過飽和固溶體)를 얻으면, 그 합금에서의 가장 연한 상태가 되기 때문에, 이 조작을 용체화(溶體化) 담금질, 또는 용체화 풀림(solution annealing)이라고도 한다. 불림(Normalizing) 강을 단련한 후, 오스테나이트의 단상(單相)이 되는 온도범위에서 가열하여 대기 속에 방치하여 자연냉각(自然冷却) 한다. 이것의 목적은 (① 주조 또는 과열 조직을 미세화하고, ② 냉간가공·단조 등에 의한 내부응력을 제거하며, ③ 결정조직, 기계적·물리적 성질 등을 표준화)시키는 데 있다.
    09.02 07:05
  • 33등

    김대식

    풀림(Annealing) 재료를 평형상태도에 나타난 <그대로의 안정상태로 만들기> 위한 처리방법이다. ‘어닐링’이라고도 하는데, 이전에는 ‘소둔’(燒鈍)이라고 하였다. 상변화(相變化)가 온도의 오르내림에 따라 일어나는 재료에서는 <충분한 시간에 걸쳐서 천천히 냉각시킴으로서 상태도에 나타난 것만큼의 변화를 전부 완료시켜서 안정된 평형상태>로 한다. 고온상태에서 천천히 식혀서 확산에 의해 각 온도에서 평형상태를 그 때마다 잡으면서 냉각될 수 있는 시간을 준다. 이 밖에 가공 주조 ·조사(照射) 등에 의해 변형이 생기거나 격자결함(格子缺陷)이 생겨서 굳은 결정고체에서는 그 속에서 주체가 되는 성분의 원자가 충분히 확산해서 움직일 수 있는 온도, 즉 재결정(再結晶)온도 이상으로 적당한 시간 가열해서 목적을 달성한다. 풀림하여 얻을 수 있는 상태는 그 재료에 있어서 가장 부드러운 상태일 때가 많으므로, 풀림이라는 말에는 가장 연한 상태를 얻는 열처리 조작이라는 느낌이 내포되어 있다. 이 때문에 석출경화형(析出硬化型) 합금인 <베릴륨 구리>에서는 완전히 고용(固溶)되는 온도까지 가열해서 급랭하여, 과포화고용체(過飽和固溶體)를 얻으면, 그 합금에서의 가장 연한 상태가 되기 때문에, 이 조작을 용체화(溶體化) 담금질, 또는 용체화 풀림(solution annealing)이라고도 한다. 불림(Normalizing) 강을 단련한 후, 오스테나이트의 단상(單相)이 되는 온도범위에서 가열하여 대기 속에 방치하여 자연냉각(自然冷却) 한다. 이것의 목적은 (① 주조 또는 과열 조직을 미세화하고, ② 냉간가공·단조 등에 의한 내부응력을 제거하며, ③ 결정조직, 기계적·물리적 성질 등을 표준화)시키는 데 있다.
    08.26 07:30
  • 32등

    김대식

    풀림(Annealing) 재료를 평형상태도에 나타난 <그대로의 안정상태로 만들기> 위한 처리방법이다. ‘어닐링’이라고도 하는데, 이전에는 ‘소둔’(燒鈍)이라고 하였다. 상변화(相變化)가 온도의 오르내림에 따라 일어나는 재료에서는 <충분한 시간에 걸쳐서 천천히 냉각시킴으로서 상태도에 나타난 것만큼의 변화를 전부 완료시켜서 안정된 평형상태>로 한다. 고온상태에서 천천히 식혀서 확산에 의해 각 온도에서 평형상태를 그 때마다 잡으면서 냉각될 수 있는 시간을 준다. 이 밖에 가공 주조 ·조사(照射) 등에 의해 변형이 생기거나 격자결함(格子缺陷)이 생겨서 굳은 결정고체에서는 그 속에서 주체가 되는 성분의 원자가 충분히 확산해서 움직일 수 있는 온도, 즉 재결정(再結晶)온도 이상으로 적당한 시간 가열해서 목적을 달성한다. 풀림하여 얻을 수 있는 상태는 그 재료에 있어서 가장 부드러운 상태일 때가 많으므로, 풀림이라는 말에는 가장 연한 상태를 얻는 열처리 조작이라는 느낌이 내포되어 있다. 이 때문에 석출경화형(析出硬化型) 합금인 <베릴륨 구리>에서는 완전히 고용(固溶)되는 온도까지 가열해서 급랭하여, 과포화고용체(過飽和固溶體)를 얻으면, 그 합금에서의 가장 연한 상태가 되기 때문에, 이 조작을 용체화(溶體化) 담금질, 또는 용체화 풀림(solution annealing)이라고도 한다. 불림(Normalizing) 강을 단련한 후, 오스테나이트의 단상(單相)이 되는 온도범위에서 가열하여 대기 속에 방치하여 자연냉각(自然冷却) 한다. 이것의 목적은 (① 주조 또는 과열 조직을 미세화하고, ② 냉간가공·단조 등에 의한 내부응력을 제거하며, ③ 결정조직, 기계적·물리적 성질 등을 표준화)시키는 데 있다.
    08.25 04:39
  • 31등

    김대식

    풀림(Annealing) 재료를 평형상태도에 나타난 <그대로의 안정상태로 만들기> 위한 처리방법이다. ‘어닐링’이라고도 하는데, 이전에는 ‘소둔’(燒鈍)이라고 하였다. 상변화(相變化)가 온도의 오르내림에 따라 일어나는 재료에서는 <충분한 시간에 걸쳐서 천천히 냉각시킴으로서 상태도에 나타난 것만큼의 변화를 전부 완료시켜서 안정된 평형상태>로 한다. 고온상태에서 천천히 식혀서 확산에 의해 각 온도에서 평형상태를 그 때마다 잡으면서 냉각될 수 있는 시간을 준다. 이 밖에 가공 주조 ·조사(照射) 등에 의해 변형이 생기거나 격자결함(格子缺陷)이 생겨서 굳은 결정고체에서는 그 속에서 주체가 되는 성분의 원자가 충분히 확산해서 움직일 수 있는 온도, 즉 재결정(再結晶)온도 이상으로 적당한 시간 가열해서 목적을 달성한다. 풀림하여 얻을 수 있는 상태는 그 재료에 있어서 가장 부드러운 상태일 때가 많으므로, 풀림이라는 말에는 가장 연한 상태를 얻는 열처리 조작이라는 느낌이 내포되어 있다. 이 때문에 석출경화형(析出硬化型) 합금인 베릴륨 구리에서는 완전히 고용(固溶)되는 온도까지 가열해서 급랭하여, 과포화고용체(過飽和固溶體)를 얻으면, 그 합금에서의 가장 연한 상태가 되기 때문에, 이 조작을 용체화(溶體化) 담금질, 또는 용체화 풀림(solution annealing)이라고도 한다. 불림(Normalizing) 강을 단련한 후, 오스테나이트의 단상(單相)이 되는 온도범위에서 가열하여 대기 속에 방치하여 자연냉각(自然冷却) 한다. 이것의 목적은 (① 주조 또는 과열 조직을 미세화하고, ② 냉간가공·단조 등에 의한 내부응력을 제거하며, ③ 결정조직, 기계적·물리적 성질 등을 표준화)시키는 데 있다.
    08.25 00:27
  • 30등

    이광준

    풀림(Annealing) 재료를 평형상태도에 나타난 그대로의 안정상태로 만들기 위한 처리방법이다. '어닐링'이라고도 하는데 이전에는 '소둔'이라고 하였다. 상변화가 온도의 오르내림에 따라 일어나는 재료에서는 충분한 시간에 걸쳐서 천천히 냉각시킴으로서 상태도에 나타난 것만큼의 변화를 전부 완료시켜서 안정된 평형상태로 한다. 고온상태에서 천천히 식혀서 확산에 의해 각 온도에서 평형상태를 그 때마다 잡으면서 냉각될 수 있는 시간을 준다. 이밖에 가종 주조.조사 등에 의해 변형이 생기거나격자결함이 생겨서 굳은 결정고체에서는 그 속에서 주체가 되는 성분의원자가 충분히 확산애서 움직일 수 있는 온도, 즉 재결정 온도 이상으로 적당한 시간 가결해서 그 목적을 달성한다. 풀림하여 얻을 수 있는 상태는 그 재료에 있어서 가장 부드러운 상태일 때가 많으므로, 풀림이라는 말에는 가장 연한 상태를 얻는 열처리 조작이라는 느낌이 내포되어 있다. 이 때문에 석출경화형 합금인 베릴륨 구리에서는 완전히 고용되는 온도까지 가열해서 급랭하여, 과포화고용체를 얻으면, 그 합금에서 가장 연한 상태가 되기 때문에, 이조작을 용화체 담금질, 또는 용체화 풀림 이라고도 한다. 강을 단련한 후 오스테나이트의 단상이 되는 온도범위에서 가열하여 대기속에 방치하여 자연냉각한다. 이것이 목적은 1. 주조 또는 과열 조직을 미세화하고 2. 냉간가공.단조 등에 의한 내부응력을 제거하며, 3. 결정조직,기계적물리적 성질 등을 표준화시키는데 있다.
    06.28 00:00
  • 29등

    이정환

    풀림 재료를 평형상태도에 나타난 그대로의 안정상태로 만들기 위한 처리방법이다. 어니링 이라고도 하는데 이전에는 소둔이라고 하였다. 상변화가 온도의 오르내림에 따라 일어나는 재료에서는 충분한 시간에 걸쳐서 천천히 냉각시킴으로서 상태도에 나타난 것만큼의 변화를 전부 완료시켜서 안정된 평형상태로 한다. 고온 상태에서 천천히 식혀서 확산에 의해 각 온도에서 평형상태를 그 때마다 잡으면서 냉각될 수 있는 시간을 준다. 이 밖에 가공 주조, 조사 등에 의해 변형이 생기거나 격자결합이 생겨서 굳은 결정고체에서는 그 속에서 주체가 되는 성분의 원자가 충분히 확산해서 움직일 수 있는 온도, 즈 재결정 온도 이상으로 작당한 시간 가열해서 목적을 달성한다. 풀림하여 얻을 수 있는 상태는 그 재료에 있어서 가장 부드러운 상태일 때가 많으므로 풀림이라는 말에는 가장 연한 상태를 얻는 열처리 조작이라는 느낌이 내포되어 있다. 이 때문에 석출경화형 합금인 베릴륨 구리에서는 완전히 고용되는 온도까지 가열해서 급랭하여 과포화고용체를 얻으면 그 합금에서의 가장 연한 상태가 되기 때문에 이 조작을 용체화 담금질, 또는 용체화 풀림이라고도 한다. 불림 강을 단련한 루 오스테나이트의 단상이 되는 온도범위에서 가열하여 대기 속에 방치하여 자연냉각 한다. 이것의 목적은 1)주조 또는 과열 조직을 미세화하고 2)냉간 가공, 단조 등에 의한 내부응력을 제거하여 3)결정조직, 기계적 물리적 성질 등을 표준화시키는데 있다.
    06.27 14:38
  • 28등

    박홍래

    풀림:재료를 평행상태에 나타난 그대로의 안정상태를 만들기 위한 처리방법이다.'어닐링'이라고도 하는데,이전에는'소둔'이라고 하였다.상변화가 온도의 오르내림에 따라 일어나는 재료에서는 충분한 시간에 걸쳐서 천천히 냉가시킴으로써 상태도레 나타난서만큼의 변활를 전부 완료시켜서 안정된 평행상태로 한다.고온상태에서 천천히 식혀서 확산에 의해 가 온도에서 평행상태를 그 때마다 잡으면서 냉각될 수 있는 시간을 준다.이 밖에 가공 주소.조사등에 의해 변형이 생기거나 격자결함이 생겨서 굳은 결정고체에서는 그 속에서 주체가 되는 성분의 원자가 충분히 확산해서 움직일 수 있는 온도,즉 재결정온도 이상으로 적당한 시간 가열해서 목적을 달성한다.풀림하여 얻을 수 있는 상태는 그 재료에 있어서 가장 부드로운 상태일 때가 많으므로, 풀림이라는 말에는 가장 연한 상태를 얻는 열처리 조작이라는 느낌이 내포되어 있다.이 때문에 석출경화형 함금인 베럴륨 구리에서 완전히 고용되는 온도까지 가열해서 급랭하여,과포화고용체를 얻으면, 그함금에서의 가장 연한 상태가 되기 때문에,이 조작을 용체화 담금질,또는 용체화 풀림이라고 한다.불림:강을 단련한 후,오스테나이트의 단상이 되는 온도범위에서 가열하여 대기 속에 방치하여 자연냉각한다.이것의 목적은 1)주조 또는 과열 조직을 미세화하고2)낭각가공.단조 등에 의한 내부응력을 제거하며,3)결정조직,기계적.물리적 성질 등을 표준화시키는 데 있다.
    06.26 13:39
  • 27등

    유원동

    풀림(Annealing) 재료를 평형상태도에 나타난 그대로의 안정상태로 만들기위한 처리방법, 어날링이라고도 하며 이전에는 소둔이라 함, 상변화가 온도의 오르내림에 따라 일어나는 재료에서는 충분한 시간에 걸쳐 천천히 냉각시킴으로 상태도에 나타난 것만큼의 변화를 전부 완료시켜 안정된 평형상태로 한다. 고온상테에서 천천히 식혀 확산에 의해 각 온도에서 평형상태를 그때마다 잡으며 냉각될수 있는 시간을 줌. 이밖에 가공주조 조사 등에 의해 변형이 생기거나 격자결함이 생겨 굳은 결정고체에 그속에서 주체가 되는 성분의 원자가 충분히 확산하여 움직일 수 있는 온도, 즉 재결정온도 이상으로 적당한 시간 가열해서 목적을 달성 풀림하여 얻을수 있는 상태는 그 재료에 있어 가장 부드러운 상태일때가 많아, 풀림이라는 말에 가장 연한 상태를 얻는 열처리 조작 느낌내포, 석출경화형 합금인 배릴륨 구리에서 완전히 고용되는 온도까지 가열해ㅐ서 급랭하여 과포화고용체를 얻으면 그 합금에서의 가장 연한상태가 되어 이 조작을 용체화 담금질, 용체화 풀림이라함 불림(nomalizing) 강을 단련우 오스테나이트의 단상이 되는 온도범위에 가열하여 대기속에 방치하여 자연냉각. 목적은 1. 주조 또는 과열조직 미세화 2. 냉간가공 단조등에 의한 내부응력제거 3. 결정조직, 기계/물리적 성질 등 표준화
    06.26 12:21
  • 26등

    김현수

    [올패스9조]풀림(Annealing)이란, 재료를 평형상태도에 나타난 그대로의 안정상태로 만들기 위한 처리방법이다.'어널링'이라고도 하는데, 이전에는 '소둔'이라고 하였다.상변화가 온도의 오르내림에 따라 일어나는 재료에서는 충분한 시간에 걸쳐서 천천히 냉각시킴으로서 상태도에 나타난 것만큼의 변화를 전부 완료시켜서 안정된 평형상태로 한다. 고온상태에서 천천히 식혀서 확산에 의해 각 온도에서 평형상태를 그때마다 잡으면서 냉각될수있는 시간을 준다.이 밖에 가공주조.조사등에 의해 변형이 생기거나 격자결함이 생겨서 굳은 결정고체에서는 그 속에서주체가 되는 성분의 원자가 충분히 확산해서 움직일 수있는 온도, 즉 재결정 온도 이상으로 적당한 시간 가열해서 목적을 달성한다. 풀림하여 얻을수 있는상태는 그 재료에 있어서 가장부드러운 상태일때가 많으므로, 풀림이라는 말에는 가장 연한 상태를 얻는 열처리 조작이라는 느낌이 내포되어있다.이 때문에 석출경화형 합금인 베릴륨 구리에서는 완전히 고용되는 온도까지 가열해서 급랭하여, 과포화고용체를 얻으면, 그 합금에서의 가장 연한 상태가 되기 때문에, 이 조작을 용체화 담금질, 또는 용체화 풀림이라고도 한다. 불림강을 단련한 후, 오스테나이트의 단상이 되는 온도범위에서 가열하여 대기 속에 방치하여 자연냉각한다. 이것의 목적은 1.주조 또는 과열 조직을 미세화하고, 2.냉간가공·단조 등에 의한 내부응력을 제거하며, 3.결정조직, 기계적·물리적 성질 등을 표준화시키는 데 있다.
    06.25 21:33
  • 25등

    김성민

    풀림(Annealing) 재료를 평형상태도에 나타난 그대로의 안정상태로 만들기 위한 처리방법이다. '어널링'이라고도 하는데, 이전에는 '소둔'이라고 하였다. 상변화가 온도의 오르내림에 따라 일어나는 재료에서는 충분한 시간에 걸쳐서 천천히 냉각시킴으로서 상태도에 나타난 것만큼의 냉각될수 있는 시간을 준다. 이 밖에 가공 주조,조사등에 의해 변형이 생기거나 격자결함이 생겨서 굳은 결정고체에서는 그 속에서 주체가 되는 성분의 원자가 충분히 확산해서 움직일 수 있는 온도, 즉 재결정 온도 이상으로 적당한 시간 가열해서 목적을 달성한다. 풀림하여 얻을 수 있는 상태는 그 재료에 있어서 가장 부드러운 상태일 때가 많으므로, 풀림이라는 말에는 가장 연한 상태를 얻는 열처리 조작이라는 느낌이 내포되어 있다. 이 때문에 석출경화형 합금인 베릴륨 구리에서는 완전히 고용되는 온도까지 가열해서 급랭하여, 과포화고용체를 얻으면, 그 합금에서의 가장 연한 상태가 되기 때문에, 이 조작을 용체화 담금질, 또는 용체화 풀림 이라고도 한다. 불림(Normalizing) 강을 단련한 후, 오스테나이트의 단상이 되는 온도범위에서 가열하여 대기 속에 방치하여 자연냉각한다. 이것의 목적은 1.주조 또는 과열 조직을 미세화하고, 2.냉간가공,단조 등에 의한 내부응력을 제거하며, 3.결정조직, 기계적,물리적 성질 등을 표주한시키는데 있다.
    06.25 21:30
  • 24등

    안기철

    풀림(Annealing) 재료를 평형상태도에 나타난 그대로의 안정상태로 만들기 위한 처리방법이다. '어널링'이라고도 하는데, 이전에는 '소둔'이라고 하였다. 상변화가 온도의 오르내림에 따라 일어나는 재료에서는 충분한 시간에 걸쳐서 천천히 냉각시킴으로서 상태도에 나타난 것만큼의 냉각될수 있는 시간을 준다. 이 밖에 가공 주조,조사등에 의해 변형이 생기거나 격자결함이 생겨서 굳은 결정고체에서는 그 속에서 주체가 되는 성분의 원자가 충분히 확산해서 움직일 수 있는 온도, 즉 재결정 온도 이상으로 적당한 시간 가열해서 목적을 달성한다. 풀림하여 얻을 수 있는 상태는 그 재료에 있어서 가장 부드러운 상태일 때가 많으므로, 풀림이라는 말에는 가장 연한 상태를 얻는 열처리 조작이라는 느낌이 내포되어 있다. 이 때문에 석출경화형 합금인 베릴륨 구리에서는 완전히 고용되는 온도까지 가열해서 급랭하여, 과포화고용체를 얻으면, 그 합금에서의 가장 연한 상태가 되기 때문에, 이 조작을 용체화 담금질, 또는 용체화 풀림 이라고도 한다. 불림(Normalizing) 강을 단련한 후, 오스테나이트의 단상이 되는 온도범위에서 가열하여 대기 속에 방치하여 자연냉각한다. 이것의 목적은 1.주조 또는 과열 조직을 미세화하고, 2.냉간가공,단조 등에 의한 내부응력을 제거하며, 3.결정조직, 기계적,물리적 성질 등을 표주한시키는데 있다.
    06.25 20:10
  • 23등

    이동우

    풀림(Annealing) 재료를 평형상태도에 나타난 그대로의 안정상태로 만들기 위한 처리방법이다. '어널링'이라고도 하는데, 이전에는 '소둔'이라고 하였다. 상변화가 온도의 오르내림에 따라 일어나는 재료에서는 충분한 시간에 걸쳐서 천천히 냉각시킴으로서 상태도에 나타난 것만큼의 변화를 전부 완료시켜서 안전된 평형상태로 한다. 고온상태에서 천천히 식혀서 확산에 의해 각 온도에서 평형상태를 그때마다 잡으면서 냉각될 수 있는 시간을 준다. 이 밖에 가공 주조, 조사 등에 의해 변형이 생기거나 격자결함이 생겨서 굳은 결정고체에서는 그 속에서 주체가 되는 성분의 원자가 충분히 확산해서 움직일수 있는 온도, 즉 재결정 온도 이상으로 적당한 시간 가열해서 목적을 달성한다. 풀림하여 얻을 수 있는 상태는 그 재료에 있어서 가장 부드러운 상태일 때가 많으므로, 풀림이라는 말에는 가장 연한 상태를 얻는 열처리 조작이라는 느낌이내포되어 있다. 이 때문에 석출경화형 합금인 베릴륨 구리에서는 완전히 고용되는 온도까지 가열해서 급랭하여, 과포화고용체를 얻으며, 그 합금에서의 가장연한 상태가 되기 때문에 이 조작을 용체화 담금질, 또는 용체화 풀림 이라고도 한다. 불림(Normalizing) 강을 단련한 후, 오스테나이트의 단상이 되는 온도 범위에서 가열하여 대기 속에 방치하여 자연냉각 한다. 이것의 목적은 ① 주조 또는 과열 조직을 미세화하고, ② 냉간단조 등에 으한 내부 응력을 제거하며, ③ 결졍조직, 기계적, 물리적 성질 등을 표준화시키는 데 있다.
    06.25 17:40
  • 22등

    강 대 현

    풀림(Annealing):재료를 평형상태도에 나타난 그대로의 안전상태로 만들기 위한 처리방법이다. '어닐링'이라고도 하는데, 이전에는 '소둔'이라고 하였다. 상변화가 온도의 오르내림에 따라 일어나는 재료에서는 충분한 시간에 걸쳐서 천천히 냉각시킴으로서 상태도에 나타난 것만큼의 변화를 전부 완료시켜서 안정된 평형상태로 한다. 고온상태에서 천천히 식혀서 확산에 의해 각 온도에서 평형상태를 그 때마다 잡으면서 냉각될 수 있는 시간을 준다. 이 밖에 가공 주조.조사 등에 의해 변형이 생기거나 격자결함이 생겨서 굳은 결정고체에서는 그 속에서 주체가 되는 성분의 원자가 충분히 확산해서 움직일 수 있는 온도, 즉 재결정 온도 이상으로 적당한 시간 가열해서 목적을 달성한다.풀림하여 얻을 수 있는 상태는 그 재료에 있어서 가장 부드러운 상태일 때가 많으므로,풀림이라는 말에는 가장 연한 상태를 얻는 열처리 조작이라는 느낌이 내포되어 있다. 이 때문에 석출경화형 합금인 베릴륨 구리에서는 완전히 고용되는 온도까지 가열해서 급랭하여,과포화고용체를 얻으면, 그 합금에서의 가장 연한 상태가 되기 때문에,이 조작을 용체화 담금질,또는 용체화 풀림(solution annealing)이라고도 한다. 불림(Normalizing): 강을 단련한 후,오스테나이트의 단상이 되는 온도범위에서 가열하여 대기 속에 방치하여 자연냉각한다. 이것의 목적은 1)주조 또는 과열 조직을 미세화하고 2)냉간가공.단조 등에 의한 내부응력을 제거하며 3)결정조직, 기계적.물리적 성질 등을 표준화시키는 데 있다.
    06.25 16:53
  • 21등

    배영재

    풀림(Annealing) 재료를 평형상태도에 나타난 그대로의 안정상태로 만들기 위한 처리방법이다. '어닐링'이라고도 하는데, 이전에는 '소둔'이라고 하였다. 상변화가 온도의 오르내림에 따라 일어나는 재료에서는 충분한 시간에 걸쳐서 천천히 냉각시킴으로서 상태도에 나타난것만큼의 변화를 전부 완료시켜서 안정된 평형상태로 한다. 고온상태에서 천천히 식혀서 확산에 의해 각 온도에서 평형샅래를 그 때마다 잡으면서 냉각될 수 있는 시간을 준다. 이 밖에 가공 주조.조사등에 의해 변형이 생기거나 격자결함이 생겨서 굳은 결정고체에서는 그 속에서 주체가 되는 성분의 원자가 충분히 확산해서 움직일 수 있는 온도, 즉 재결정 온도이상으로 적당한 시간 가열해서 목적을 달성한다. 풀림하여 얻을 수 있는 상태는 그 재료에 있어서 가장 부드러운 상태일 때가 많으므로, 풀림이라는 말에는 가장 연한 상태를 얻는 열처리 조작이라는 느낌이 내포되어 있다. 이 때문에 석출경화형 합금인 베릴륨 구리에서는 완전히 고용되는 온도까지 가열해서 급랭하여, 과포화고용체를 얻으면, 그 합금에서의 가장 연한상태가 되기 때문에, 이 조작을 용체화 담금질, 또는 용체화 풀림이라고도 한다. 불림(Normalizing) : 강을 단련한 후, 오스테나이트의 단상이 되는 온도범위에서 가열하여 대기속에 방치하여 자연냉각 한다. 이것의 목적은 1.주조 또는 과열조직을 미세화하고, 2.냉간가공.단조등에 의한 내부응력을 제거하며, 3.결정조직, 기계적.물리적 성질등을 표준화시키는데 있다.
    06.25 13:11
  • 20등

    김부경

    [부산경남 스터디] 풀림(Annealing) 재료를 평형상태도에 나타난 그대로의 안정상태로 만들기 위한 처리방법이다. '어닐링'이라고도 하는데, 이전에는 '소둔'(燒鈍)이라고 하였다. 상변화(相變化)가 온도의 오르내림에 따라 일어나는 재료에서는 충분한 시간에 걸쳐서 천천히 냉각시킴으로서 상태도에 나타난 것만큼을 변화를 전부 완료시켜서 안정된 평형상태로 한다. 고온상태에서 천천히 식혀서 확산에 의해 각 온도에서 평형상태를 그 때마다 잡으면서 냉각될 수 있는 시간을 준다. 이 밖에 가공 주조.조사(照射)등에 의해 변형이 생기거나 격자결합(格子缺陥)이 생겨서 굳은 결정고체에서는 그 속에서 주체가 되는 성분의 원자가 충분히 확산해서 움직일 수 있는 온도, 즉 재결정(再結晶)온도 이상으로 적당한 시간 가열해서 목적을 달성한다. 풀림하여 얻을 수 있는 상태는 그 재료에 있어서 가장 부드러운 상태일 때가 많으므로, 풀림이라는 말에는 가장 연한 상태를 얻는 열처리 조작이라는 느낌이 내포되어 있다. 이 때문에 석출경화형(析出硬化型)합금인 베릴륨 구리에서는 완전히 고용(固溶)되는 온도까지 가열해서 급랭하여, 과포화고용체(過飽和固溶體)를 얻으면, 그 합금에서의 가장 연한 상태가 되기 때문에, 이 조작을 용체화(溶體化)담금질, 또는 용체화 풀림(solution annealing)이라고도 한다. 불림(Normalizing)강을 단련한 후, 오스테나이트의 단상(單相)이 되는 온도범위에서 가열하여 대기 속에 방치하여 자연냉각(自然冷却)한다. 이것의 목적은 ① 주조 또는 과열 조직을 미세화하고, ② 냉간가공.단조 등에 의한 내부응력을 제거하며, ③ 결정조직, 기계적.물리적 성질 등을 표준화 시키는 데 있다.
    06.25 13:04
  • 19등

    조은경

    풀림(Annealing) 재료를 평형상태도에 나타난 그대로의 안정상태로 만들기 위한 처리방법이다. ‘어닐링’이라고도 하는데, 이전에는 ‘소둔’(燒鈍)이라고 하였다.상변화(相變化)가 온도의 오르내림에 따라 일어나는 재료에서는 충분한 시간에 걸쳐서 천천히 냉각시킴으로서 상태도에 나타난 것만큼의 변화를 전부 완료시켜서 안정된 평형상태로 한다. 고온상태에서 천천히 식혀서 확산에 의해 각 온도에서 평형상태를 그 때마다 잡으면서 냉각될 수 있는 시간을 준다. 이 밖에 가공 주조 ·조사(照射) 등에 의해 변형이 생기거나 격자결함(格子缺陷)이 생겨서 굳은 결정고체에서는 그 속에서 주체가 되는 성분의 원자가 충분히 확산해서 움직일 수 있는 온도, 즉 재결정(再結晶)온도 이상으로 적당한 시간 가열해서 목적을 달성한다.풀림하여 얻을 수 있는 상태는 그 재료에 있어서 가장 부드러운 상태일 때가 많으므로, 풀림이라는 말에는 가장 연한 상태를 얻는 열처리 조작이라는 느낌이 내포되어 있다. 이 때문에 석출경화형(析出硬化型) 합금인 베릴륨 구리에서는 완전히 고용(固溶)되는 온도까지 가열해서 급랭하여, 과포화고용체(過飽和固溶體)를 얻으면, 그 합금에서의 가장 연한 상태가 되기 때문에, 이 조작을 용체화(溶體化) 담금질, 또는 용체화 풀림(solution annealing)이라고도 한다.  불림(Normalizing)   강을 단련한 후, 오스테나이트의 단상(單相)이 되는 온도범위에서 가열하여 대기 속에 방치하여 자연냉각(自然冷却) 한다.   이것의 목적은 ① 주조 또는 과열 조직을 미세화하고,   ② 냉간가공·단조 등에 의한 내부응력을 제거하며,   ③ 결정조직, 기계적·물리적 성질 등을 표준화시키는 데 있다.
    06.25 11:24
  • 18등

    박정일

    [불4조] 풀림(Annealing) 재료를 평형상태도에 나타난 그대로의 안정상태로 만들기 위한 처리방법이다. ‘어닐링’이라고도 하는데, 이전에는 ‘소둔’(燒鈍)이라고 하였다. 상변화(相變化)가 온도의 오르내림에 따라 일어나는 재료에서는 충분한 시간에 걸쳐 천천히 냉각시킴으로서 상태도에 나타난 것만큼의 변화를 전부 완료시켜서 안정된 평형상태로 한다. 고온상태에서 천천히 식혀서 확산에 의해 각 온도에서 평형상태를 그 때마다 잡으면서 냉각될 수 있는 시간을 준다. 이 밖에 가공 주조 ·조사(照射) 등에 의해 변형이 생기거나 격자결함(格子缺陷)이 생겨서 굳은 결정고체에서는 그 속에서 주체가 되는 성분의 원자가 충분히 확산해서 움직일 수 있는 온도, 즉 재결정(再結晶)온도 이상으로 적당한 시간 가열해서 목적을 달성한다. 풀림하여 얻을 수 있는 상태는 그 재료에 있어서 가장 부드러운 상태일 때가 많으므로, 풀림이라는 말에는 가장 연한 상태를 얻는 열처리 조작이라는 느낌이 내포되어 있다. 이 때문에 석출경화형(析出硬化型) 합금인 베릴륨 구리에서는 완전히 고용(固溶)되는 온도까지 가열해서 급랭하여, 과포화고용체(過飽和固溶體)를 얻으면, 그 합금에서의 가장 연한 상태가 되기 때문에, 이 조작을 용체화(溶體化) 담금질, 또는 용체화 풀림(solution annealing)이라고도 한다. 불림(Normalizing) 강을 단련한 후, 오스테나이트의 단상(單相)이 되는 온도범위에서 가열하여 대기 속에 방치하여 자연냉각(自然冷却) 한다. 불림의 목적은 ① 주조 또는 과열 조직을 미세화하고, ② 냉간가공·단조 등에 의한 내부응력을 제거하며, ③ 결정조직, 기계적·물리적 성질 등을 표준화시키는 데 있다.
    06.25 10:09
  • 17등

    김현승

    [솔리드8조]풀림 (Annealing)재료를 평형상태도에 나타난 그대로의 안정상태로 만들기 위한 처리방법이다. '어글링'이라고도 하는데, 이전에는 '소둔'(燒鈍)이라고 하였다. 상변화(相變化)가 온도의 오르내림에 따라 일어나는 재료에서는 충분한 시간에 걸쳐서 천천히 냉각시킴으로서 상태도에 나타난 것만큼의 변화를 전부 완료시켜서 안정된 평형상태로 한다. 고온상태에서 천천히 식혀서 확산에 의해 각 온도에서 평형상태를 그 때마다 잡으면서 냉각될 수 있는 시간을 준다. 이 밖에 가공 주조.조사(照射)등에 의해 변형이 생기거나 격자결함(格子缺陷)이 생겨서 굳은 결정고체에서는 그 속에서 주체가 되는 성분의 원자가 충분히 확산해서 움직일 수 있는 온도, 즉 재결정(再結晶)온도 이상으로 적당한 시간 가열해서 목적을 달성한다. 품림하여 얻을 수 있는 상태는 그 재료에 있어서 가장 부드러운 상태일 때가 많으므로,풀림이라는 말에는 가장 연한 상태를 얻는 열처리 조작이라는 느낌이 내표되어 있다. 이 때문에 석출경화형(析出硬化型)합금인 베릴륨 구리에서는 완전히 고용(固溶)작을 용체화(溶體化)담금질, 또는 용체화 풀림(solution annealing)이라고도 한다. 불림(Normalizing) 강을 단련한 후, 오스테나이트의 단상(單相)이 되는 온도범위에서 가열하여 대기 속에 방치하여 자연냉각(自然冷却) 한다. 이것의 목적은 ①주조 또는 과열 조직을 미세화하고, ②냉간가공.단조 등에 의한 내부응력을 제거하며, ③결정조직, 기계적.물리적 성질 등을 표준화시키는 데 있다.
    06.25 10:05
  • 16등

    박수용

    풀림(Annealing) 재료를 평형상태도에 나타난 ㄱ대로의 안정상태로 만들기 위한 처리방법이다. '어닐링'이라고도 하는데 이전에는 '소둔'이라고 하였다. 상변화가 온도의 오르내림에 따라 이렁나는 재료에서는 충분한 시간에 걸쳐서 천천히 냉각시킴으로서 상태도에 나타난 것만큼의 변화를 전부 완료시켜서 안정된 평형상태로 한다. 고온상태에서 천천히 식혀서 확산에 의해 각 온도에서 평형상태를 그 때마다 잡으면서 냉각될 수 있는 시간을 준다. 이 밖에 가공 주조,조사등에 의해 변형이 생기거나 격자결함이 생겨서 굳은 결정곷에서는 그 속에서 주체가 되는 성분의 원자가 충분히 확산해서 움직일 수 있는 온도, 즉 재결정온도 이상으로 적당한 시가 ㄴ가열해서 목적을 달성한다. 풀림하여 얻을 수 있는 상태는 그 재료에 있어서 가장 부드러운 상태일 때가 많으므로 풀림이라는 말에는 가장 연한 상태를 얻는 열처리 조작이라는 느낌이 내포되어 있다. 이 때무에 석출경화형 합금인 베릴륨 구리에서는 완전히 고용되는 온도까지 가열해서 급랭하여, 과포화고용체를 얻으면, 그 합금에서의 가장 연한 상태가 되기 때문에 이 조작을 용체화 담금질, 또는 용체화 풀림이라고도 한다. 불림(Normalizing) 강을 단련한 후, 오스테나이트의 단상이 되는 온도범위에서 가열하여 대기 속에 방치하여 자연냉각한다. 이것의 목적은 1. 주조 또는 과열 조직을 미세화하고, 2 냉간가공 단조 등에 의한 내부응력을 제거하며, 3 결정조직, 기계적.물리적 성질 등을 표준화시키는데 있다.
    06.25 09:19
  • 15등

    정호영

    난합격 출첵 풀림(Annealing) 재료를 평형상태도에 나타난 그대로의 안정상태로 만들기 위한 처리방법이다. ‘어닐링’이라고도 하는데, 이전에는 ‘소둔’(燒鈍)이라고 하였다. 상변화(相變化)가 온도의 오르내림에 따라 일어나는 재료에서는 충분한 시간에 걸쳐서 천천히 냉각시킴으로서 상태도에 나타난 것만큼의 변화를 전부 완료시켜서 안정된 평형상태로 한다. 고온상태에서 천천히 식혀서 확산에 의해 각 온도에서 평형상태를 그 때마다 잡으면서 냉각될 수 있는 시간을 준다. 이 밖에 가공 주조 ·조사(照射) 등에 의해 변형이 생기거나 격자결함(格子缺陷)이 생겨서 굳은 결정고체에서는 그 속에서 주체가 되는 성분의 원자가 충분히 확산해서 움직일 수 있는 온도, 즉 재결정(再結晶)온도 이상으로 적당한 시간 가열해서 목적을 달성한다. 풀림하여 얻을 수 있는 상태는 그 재료에 있어서 가장 부드러운 상태일 때가 많으므로, 풀림이라는 말에는 가장 연한 상태를 얻는 열처리 조작이라는 느낌이 내포되어 있다. 이 때문에 석출경화형(析出硬化型) 합금인 베릴륨 구리에서는 완전히 고용(固溶)되는 온도까지 가열해서 급랭하여, 과포화고용체(過飽和固溶體)를 얻으면, 그 합금에서의 가장 연한 상태가 되기 때문에, 이 조작을 용체화(溶體化) 담금질, 또는 용체화 풀림(solution annealing)이라고도 한다. 불림(Normalizing) 강을 단련한 후, 오스테나이트의 단상(單相)이 되는 온도범위에서 가열하여 대기 속에 방치하여 자연냉각(自然冷却) 한다. 이것의 목적은 ① 주조 또는 과열 조직을 미세화하고, ② 냉간가공·단조 등에 의한 내부응력을 제거하며, ③ 결정조직, 기계적·물리적 성질 등을 표준화시키는 데 있다.
    06.25 09:12
  • 14등

    이지선

    풀림(Annealing) 재료를 평형상태도에 나타난 그대로의 안정상태로 만들기 위한 처리방법이다. ‘어닐링’이라고도 하는데, 이전에는 ‘소둔’(燒鈍)이라고 하였다. 상변화(相變化)가 온도의 오르내림에 따라 일어나는 재료에서는 충분한 시간에 걸쳐서 천천히 냉각시킴으로서 상태도에 나타난 것만큼의 변화를 전부 완료시켜서 안정된 평형상태로 한다. 고온상태에서 천천히 식혀서 확산에 의해 각 온도에서 평형상태를 그 때마다 잡으면서 냉각될 수 있는 시간을 준다. 이 밖에 가공 주조 ·조사(照射) 등에 의해 변형이 생기거나 격자결함(格子缺陷)이 생겨서 굳은 결정고체에서는 그 속에서 주체가 되는 성분의 원자가 충분히 확산해서 움직일 수 있는 온도, 즉 재결정(再結晶)온도 이상으로 적당한 시간 가열해서 목적을 달성한다. 풀림하여 얻을 수 있는 상태는 그 재료에 있어서 가장 부드러운 상태일 때가 많으므로, 풀림이라는 말에는 가장 연한 상태를 얻는 열처리 조작이라는 느낌이 내포되어 있다. 이 때문에 석출경화형(析出硬化型) 합금인 베릴륨 구리에서는 완전히 고용(固溶)되는 온도까지 가열해서 급랭하여, 과포화고용체(過飽和固溶體)를 얻으면, 그 합금에서의 가장 연한 상태가 되기 때문에, 이 조작을 용체화(溶體化) 담금질, 또는 용체화 풀림(solution annealing)이라고도 한다. 불림(Normalizing) 강을 단련한 후, 오스테나이트의 단상(單相)이 되는 온도범위에서 가열하여 대기 속에 방치하여 자연냉각(自然冷却) 한다. 이것의 목적은 ① 주조 또는 과열 조직을 미세화하고, ② 냉간가공·단조 등에 의한 내부응력을 제거하며, ③ 결정조직, 기계적·물리적 성질 등을 표준화시키는 데 있다.
    06.25 09:06
  • 13등

    유재봉

    [솔리드8조] 1.풀림 재료를 평형상태도에 나타난 그대로의 안정상태로 만들기 위한 처리방법이다. '어닐링'이라고도 하는데, 이전에는 '소둔'이라고 하였다. 상변화가 온도의 오르내림에 따라 일어나는 재료에서는 충분한 시간에 걸쳐서 천천히 냉각시킴으로서 상태도에 나타난 건 만큼의 변화를 전부 완료시켜서 안정된 평형상태로 한다. 고온상태에서 천천히 식혀서 확산에 의해 각 온도에서 평형상태를 그때마다 잡으면서 냉각될 수 있는 시간을 준다. 이 밖에 가동 주조-조사 등에 의해 변형이 생기거나 격자결함이 생겨서 굳은 결정고체에서는 그 속에서 주체가 되는 성분의 원자가 충분히 확산해서 움직일 수 있는 온도, 즉 재결정 온도이상으로 적당한 시간 가열해서 목적을 달성한다. 품림하여 얻을 수 있는 상태는 그 재료에 있어서 가장 부드러운 상태일 때가 많으므로,풀림이라는 말에는 가장 연한 상태를 얻는 열처리 조작이라는 느낌이 내포되어 있다. 이 때문에 석출경화형 합금인 배릴륨 구리에서는 완전히 고용되는 온도까지 가열해서 급랭하여, 과포화고용체를 얻으면, 그 합금에서의 가장 연한 상태가 되기 때문에, 이 조작을 용체화 담금질, 또는 용체화 풀림이라고도 한다. 2.불림 강을 단련한 후, 오스테나이트의 단상이 되는 온도범위에서 가열하여 대기 속에 방치하여 자연냉각 한다. 이것의 목적은 (1)주조 또는 과열 조직을 미세화하고, (2)냉간가공,단조 등에 의한 내부응력을 제거하며, (3)결정조직,기계적,물리적 성질 등을 표준화시키는 데 있다.
    06.25 09:05
  • 12등

    양철권

    풀림 재료를 평형상태도에 나타난 그대로의 안정상태로 만들기 위한 처리방법이다. 어닐링이라고도 하는데 이전에는 소둔이라고 하였다. 상변화가 온도의 오르내림에 따라 일어나는 재료에서는 충분한 시간에 걸쳐서 천천히 냉각시킴으로서 상태도에 나타난 것만큼의 변화를 전부 완료시켜서 안정된 평형상태로 한다. 고온상태에서 천천히 식혀서 확산에 의해 각 온도에서 평형상태를 그 때마다 잡으면서 냉각될 수 있는 시간을 준다. 이 밖에 가공 주조.조사 등에 의해 변형이 생기거나 격자결함이 생겨서 굳은 결정고체에서는 그 속에서 주체가 되는 성분의 원자가 충분히 확산해서 움직일 수 있는 온도, 즉 재결정 온도 이상으로 적당한 시간 가열해서 목적을 달성한다. 풀림하여 얻을 수 있는 상태는 그 재료에 있어서 가장 부드러운 상태일 때가 많으므로 풀림이라는 말에는 가장 연한 상태를 얻는 열처리 조작 이라는 느낌이 내포되어 있다. 이 때문에 석출경화형 합금인 베릴륨 구리에서는 완전히 고용되는 온도까지 가열해서 급래하여 과포화고용체를 얻으면 그 합금에서의 가장 연한 상태가 되기 때문에 이 조작을 용체화 담금질, 또는 용체화 풀림이라고도 한다. 불림강을 단련한 후 오스테나이트의 단상이 되는 온도 범위에서 가열하여 대기 속에 방치하여 자연냉각 한다. 이것의 목적은 주조 또는 과열조직을 미세화하고 냉간가공 단조 등에 의한 내부응력을 제거하며 결정조직 기계저 물리적 성질 등을 표준화 시키는데 있다.
    06.25 08:43
  • 11등

    유승남

    [마법5조]풀림(Annealing)재료를 평형상태도에 나타난 그대로의 안정상태로 만드기 위한 처림 방법이다. '어닐링'이라고도 한는데, 이전에는 '소둔'이라도하였다. 상변화가 온도의 오르내림에 따라 일어나는 재료에서는 충분한 시간에 걸쳐서 천천히 냉각시킴으로서 상태도에 나타난 것만큼의 변화를 전부 완료 시켜서 안정된 평형상태로 한다. 고온상태에서 천천히 식혀서 확산에 의해 각 온도에서 평형사태를 그 때마다 잡으면서 냉각될수 있는 시간을 준다. 이 밖에 가공 주조.조사 등에 의해 변형이 생기거나 격자결함이 생겨서 궅은 결정고체에서는 그 속에서 주체가 되는 성분의 원자가 충분히 확산해서 움직일 수있는 온도, 즉 재결정 온도 이상으로 적당한 시간 가열해서 목적을 달성한다. 품림하여 얻을 수있는 상태는 그 재료에 있어서 가장 부드러운 상태일 때가 많으므로, 풀림이라는 말에는 가장 연한 상태를 얻는 열처리 조작이라는 느낌이 내포되어 있다. 이 때문에 석출경화형 합금인 베릴륨 구리에서는 완전히 고용되는 온도까지 가열해서 급랭하여, 과포화 고용체를 얻으면, 그 합금에서의 가장 연한 상태가 되기 때문에, 이조작을 용체화 담금질, 또는 용체화 풀림(Solution annealing)라고도한다. 불림(Normalizing)강을 단련한 후, 오스테나이트의 단상이 되는 온도범위에서 가열하여 대기 속에 방치하여 자연냉각한다. 이것이 목적인 1.주조 또는 과열 조직을 미세화하고, 2.냉가가공.단조 등에 의한 내부응력을 제거하며,3.결정조직,기계적.물리적 성질 등을 표준화시키는 데 있다.
    06.25 08:41
  • 10등

    김재은

    풀림(Annealing) 재료를 평형상태도에 나타난 ㄱ대로의 안정상태로 만들기 위한 처리방법이다. '어닐링'이라고도 하는데 이전에는 '소둔'이라고 하였다. 상변화가 온도의 오르내림에 따라 이렁나는 재료에서는 충분한 시간에 걸쳐서 천천히 냉각시킴으로서 상태도에 나타난 것만큼의 변화를 전부 완료시켜서 안정된 평형상태로 한다. 고온상태에서 천천히 식혀서 확산에 의해 각 온도에서 평형상태를 그 때마다 잡으면서 냉각될 수 있는 시간을 준다. 이 밖에 가공 주조,조사등에 의해 변형이 생기거나 격자결함이 생겨서 굳은 결정곷에서는 그 속에서 주체가 되는 성분의 원자가 충분히 확산해서 움직일 수 있는 온도, 즉 재결정온도 이상으로 적당한 시가 ㄴ가열해서 목적을 달성한다. 풀림하여 얻을 수 있는 상태는 그 재료에 있어서 가장 부드러운 상태일 때가 많으므로 풀림이라는 말에는 가장 연한 상태를 얻는 열처리 조작이라는 느낌이 내포되어 있다. 이 때무에 석출경화형 합금인 베릴륨 구리에서는 완전히 고용되는 온도까지 가열해서 급랭하여, 과포화고용체를 얻으면, 그 합금에서의 가장 연한 상태가 되기 때문에 이 조작을 용체화 담금질, 또는 용체화 풀림이라고도 한다. 불림(Normalizing) 강을 단련한 후, 오스테나이트의 단상이 되는 온도범위에서 가열하여 대기 속에 방치하여 자연냉각한다. 이것의 목적은 1. 주조 또는 과열 조직을 미세화하고, 2 냉간가공 단조 등에 의한 내부응력을 제거하며, 3 결정조직, 기계적.물리적 성질 등을 표준화시키는데 있다.
    06.25 08:21
  • 9등

    박상진

    풀림(Annealing) 재료를 평형상태도에 나타난 그대로의 안정상태로 만들기 위한 처리방법이다. ‘어닐링’이라고도 하는데, 이전에는 ‘소둔’(燒鈍)이라고 하였다. 상변화(相變化)가 온도의 오르내림에 따라 일어나는 재료에서는 충분한 시간에 걸쳐서 천천히 냉각시킴으로서 상태도에 나타난 것만큼의 변화를 전부 완료시켜서 안정된 평형상태로 한다. 고온상태에서 천천히 식혀서 확산에 의해 각 온도에서 평형상태를 그 때마다 잡으면서 냉각될 수 있는 시간을 준다. 이 밖에 가공 주조 ·조사(照射) 등에 의해 변형이 생기거나 격자결함(格子缺陷)이 생겨서 굳은 결정고체에서는 그 속에서 주체가 되는 성분의 원자가 충분히 확산해서 움직일 수 있는 온도, 즉 재결정(再結晶)온도 이상으로 적당한 시간 가열해서 목적을 달성한다. 풀림하여 얻을 수 있는 상태는 그 재료에 있어서 가장 부드러운 상태일 때가 많으므로, 풀림이라는 말에는 가장 연한 상태를 얻는 열처리 조작이라는 느낌이 내포되어 있다. 이 때문에 석출경화형(析出硬化型) 합금인 베릴륨 구리에서는 완전히 고용(固溶)되는 온도까지 가열해서 급랭하여, 과포화고용체(過飽和固溶體)를 얻으면, 그 합금에서의 가장 연한 상태가 되기 때문에, 이 조작을 용체화(溶體化) 담금질, 또는 용체화 풀림(solution annealing)이라고도 한다. 불림(Normalizing) 강을 단련한 후, 오스테나이트의 단상(單相)이 되는 온도범위에서 가열하여 대기 속에 방치하여 자연냉각(自然冷却) 한다. 이것의 목적은 ① 주조 또는 과열 조직을 미세화하고, ② 냉간가공·단조 등에 의한 내부응력을 제거하며, ③ 결정조직, 기계적·물리적 성질 등을 표준화시키는 데 있다.
    06.25 07:40
  • 8등

    김태훈

    1.풀림(Annealing) 재료를 평형상태도에 나타난 그대로의 안정상태로 만들기 위한 처리방법이다. ‘어닐링’이라고도 하는데, 이전에는 ‘소둔’(燒鈍)이라고 하였다. 상변화(相變化)가 온도의 오르내림에 따라 일어나는 재료에서는 충분한 시간에 걸쳐서 천천히 냉각시킴으로서 상태도에 나타난 것만큼의 변화를 전부 완료시켜서 안정된 평형상태로 한다. 고온상태에서 천천히 식혀서 확산에 의해 각 온도에서 평형상태를 그 때마다 잡으면서 냉각될 수 있는 시간을 준다. 이 밖에 가공 주조 ·조사(照射) 등에 의해 변형이 생기거나 격자결함(格子缺陷)이 생겨서 굳은 결정고체에서는 그 속에서 주체가 되는 성분의 원자가 충분히 확산해서 움직일 수 있는 온도, 즉 재결정(再結晶)온도 이상으로 적당한 시간 가열해서 목적을 달성한다. 풀림하여 얻을 수 있는 상태는 그 재료에 있어서 가장 부드러운 상태일 때가 많으므로, 풀림이라는 말에는 가장 연한 상태를 얻는 열처리 조작이라는 느낌이 내포되어 있다. 이 때문에 석출경화형(析出硬化型) 합금인 베릴륨 구리에서는 완전히 고용(固溶)되는 온도까지 가열해서 급랭하여, 과포화고용체(過飽和固溶體)를 얻으면, 그 합금에서의 가장 연한 상태가 되기 때문에, 이 조작을 용체화(溶體化) 담금질, 또는 용체화 풀림(solution annealing)이라고도 한다. 2. 불림(Normalizing) 강을 단련한 후, 오스테나이트의 단상(單相)이 되는 온도범위에서 가열하여 대기 속에 방치하여 자연냉각(自然冷却) 한다. 이것의 목적은 ① 주조 또는 과열 조직을 미세화하고, ② 냉간가공·단조 등에 의한 내부응력을 제거하며, ③ 결정조직, 기계적·물리적 성질 등을 표준화시키는 데 있다
    06.25 07:26
  • 7등

    김봉섭

    1. 풀림(Annealing) 재료를 평형상태도에 나타난 그대로의 안정상태로 만들기 위한 처리방법이다. ‘어닐링’이라고도 하는데, 이전에는 ‘소둔’(燒鈍)이라고 하였다. 상변화(相變化)가 온도의 오르내림에 따라 일어나는 재료에서는 충분한 시간에 걸쳐서 천천히 냉각시킴으로서 상태도에 나타난 것만큼의 변화를 전부 완료시켜서 안정된 평형상태로 한다. 고온상태에서 천천히 식혀서 확산에 의해 각 온도에서 평형상태를 그 때마다 잡으면서 냉각될 수 있는 시간을 준다. 이 밖에 가공 주조 ·조사(照射) 등에 의해 변형이 생기거나 격자결함(格子缺陷)이 생겨서 굳은 결정고체에서는 그 속에서 주체가 되는 성분의 원자가 충분히 확산해서 움직일 수 있는 온도, 즉 재결정(再結晶)온도 이상으로 적당한 시간 가열해서 목적을 달성한다. 풀림하여 얻을 수 있는 상태는 그 재료에 있어서 가장 부드러운 상태일 때가 많으므로, 풀림이라는 말에는 가장 연한 상태를 얻는 열처리 조작이라는 느낌이 내포되어 있다. 이 때문에 석출경화형(析出硬化型) 합금인 베릴륨 구리에서는 완전히 고용(固溶)되는 온도까지 가열해서 급랭하여, 과포화고용체(過飽和固溶體)를 얻으면, 그 합금에서의 가장 연한 상태가 되기 때문에, 이 조작을 용체화(溶體化) 담금질, 또는 용체화 풀림(solution annealing)이라고도 한다. 2. 불림(Normalizing) 강을 단련한 후, 오스테나이트의 단상(單相)이 되는 온도범위에서 가열하여 대기 속에 방치하여 자연냉각(自然冷却) 한다. 이것의 목적은 ① 주조 또는 과열 조직을 미세화하고, ② 냉간가공·단조 등에 의한 내부응력을 제거하며, ③ 결정조직, 기계적·물리적 성질 등을 표준화시키는 데 있다.
    06.25 06:53
  • 6등

    김성권

    풀림(Annealing) 재료를 평형상태도에 나타난 그대로의 안정상태로 만들기 위한 처리방법이다. ‘어닐링’이라고도 하는데, 이전에는 ‘소둔’(燒鈍)이라고 하였다. 상변화(相變化)가 온도의 오르내림에 따라 일어나는 재료에서는 충분한 시간에 걸쳐서 천천히 냉각시킴으로서 상태도에 나타난 것만큼의 변화를 전부 완료시켜서 안정된 평형상태로 한다. 고온상태에서 천천히 식혀서 확산에 의해 각 온도에서 평형상태를 그 때마다 잡으면서 냉각될 수 있는 시간을 준다. 이 밖에 가공 주조 ·조사(照射) 등에 의해 변형이 생기거나 격자결함(格子缺陷)이 생겨서 굳은 결정고체에서는 그 속에서 주체가 되는 성분의 원자가 충분히 확산해서 움직일 수 있는 온도, 즉 재결정(再結晶)온도 이상으로 적당한 시간 가열해서 목적을 달성한다. 풀림하여 얻을 수 있는 상태는 그 재료에 있어서 가장 부드러운 상태일 때가 많으므로, 풀림이라는 말에는 가장 연한 상태를 얻는 열처리 조작이라는 느낌이 내포되어 있다. 이 때문에 석출경화형(析出硬化型) 합금인 베릴륨 구리에서는 완전히 고용(固溶)되는 온도까지 가열해서 급랭하여, 과포화고용체(過飽和固溶體)를 얻으면, 그 합금에서의 가장 연한 상태가 되기 때문에, 이 조작을 용체화(溶體化) 담금질, 또는 용체화 풀림(solution annealing)이라고도 한다. 불림(Normalizing) 강을 단련한 후, 오스테나이트의 단상(單相)이 되는 온도범위에서 가열하여 대기 속에 방치하여 자연냉각(自然冷却) 한다.  이것의 목적은 ① 주조 또는 과열 조직을 미세화하고, ② 냉간가공·단조 등에 의한 내부응력을 제거하며, ③ 결정조직, 기계적·물리적 성질 등을 표준화시키는 데 있다.
    06.25 06:16
  • 5등

    박태훈

    (불사조) 풀림(Annealing) 재료를 평형상태도에 나타난 그대로의 안정상태로 만들기 위한 처리방법이다. ‘어닐링’이라고도 하는데, 이전에는 ‘소둔’(燒鈍)이라고 하였다. 상변화(相變化)가 온도의 오르내림에 따라 일어나는 재료에서는 충분한 시간에 걸쳐서 천천히 냉각시킴으로서 상태도에 나타난 것만큼의 변화를 전부 완료시켜서 안정된 평형상태로 한다. 고온상태에서 천천히 식혀서 확산에 의해 각 온도에서 평형상태를 그 때마다 잡으면서 냉각될 수 있는 시간을 준다. 이 밖에 가공 주조 ·조사(照射) 등에 의해 변형이 생기거나 격자결함(格子缺陷)이 생겨서 굳은 결정고체에서는 그 속에서 주체가 되는 성분의 원자가 충분히 확산해서 움직일 수 있는 온도, 즉 재결정(再結晶)온도 이상으로 적당한 시간 가열해서 목적을 달성한다. 풀림하여 얻을 수 있는 상태는 그 재료에 있어서 가장 부드러운 상태일 때가 많으므로, 풀림이라는 말에는 가장 연한 상태를 얻는 열처리 조작이라는 느낌이 내포되어 있다. 이 때문에 석출경화형(析出硬化型) 합금인 베릴륨 구리에서는 완전히 고용(固溶)되는 온도까지 가열해서 급랭하여, 과포화고용체(過飽和固溶體)를 얻으면, 그 합금에서의 가장 연한 상태가 되기 때문에, 이 조작을 용체화(溶體化) 담금질, 또는 용체화 풀림(solution annealing)이라고도 한다. 불림(Normalizing) 강을 단련한 후, 오스테나이트의 단상(單相)이 되는 온도범위에서 가열하여 대기 속에 방치하여 자연냉각(自然冷却) 한다. 이것의 목적은 ① 주조 또는 과열 조직을 미세화하고, ② 냉간가공·단조 등에 의한 내부응력을 제거하며, ③ 결정조직, 기계적·물리적 성질 등을 표준화시키는 데 있다.
    06.25 01:24
  • 4등

    김남수

    [마법5조] 풀림(annealing) 재료를 평형상태도에 나타난 그대로의 안정상태로 만들기 위한 처리방법이다. ‘어닐링’이라고도 하는데, 이전에는 ‘소둔’이라고 하였다. 상변화가 온도의 오르내림에 따라 일어나는 재료에서는 충분한 시간에 걸쳐서 천천히 냉각시킴으로서 상태도에 나타난 것만큼의 변화를 전부 완료시켜서 안정된 평형상태로 한다. 고온상태에서 천천히 식혀서 확산에 의해 각 온도에서 평형상태를 그 때마다 잡으면서 냉각될 수 있는 시간을 준다. 이 밖에 가공 주조, 조사등에 의해 변형이 생기거나 격자결함이 생겨서 굳은 결정고체에서는 그 속에서 주체가 되는 성분의 원자가 충분히 확산해서 움직일 수 있는 온도, 즉 재결정온도 이상으로 적당한 시간 가열해서 목적을 달성한다. 풀림하여 얻을 수 있는 상태는 그 재료에 있어서 가장 부드러운 상태일 때가 많으므로, 풀림이라는 말에는 가장 연한 상태를 얻는 열처리 조작이라는 느낌이 내포되어 있다. 이 때문에 석출경화형 합금인 베릴륨 구리에서는 완전히 고용되는 온도까지 가열해서 급랭하여, 과포화고용체를 얻으면, 그 합금에서의 가장 연한 상태가 되기 때문에, 이 조작을 용체화 담금질, 또는 용체화 풀림이라고도 한다. 불림 강을 단련한 후, 오스테나이트의 단상이 되는 온도범위에서 가열하여 대기 속에 방치하여 자연냉각한다. 이것의 목적은 1.주조 또는 과열 조직을 미세화하고, 2.냉간가공, 단조 등에 의한 내부응력을 제거하며, 3.결정조직, 기계적 , 물리적 성질등을 표준화시키는데 있다.
    06.25 01:22
  • 3등

    백종엽

    우리는하나
    06.25 01:03
  • 2등

    김용우

    불사조)풀림(Annealing) 재료를 평형상태도에 나타난 그대로의 안정상태로 만들기 위한 처리방법이다. ‘어닐링’이라고도 하는데, 이전에는 ‘소둔’(燒鈍)이라고 하였다. 상변화(相變化)가 온도의 오르내림에 따라 일어나는 재료에서는 충분한 시간에 걸쳐서 천천히 냉각시킴으로서 상태도에 나타난 것만큼의 변화를 전부 완료시켜서 안정된 평형상태로 한다. 고온상태에서 천천히 식혀서 확산에 의해 각 온도에서 평형상태를 그 때마다 잡으면서 냉각될 수 있는 시간을 준다. 이 밖에 가공 주조 ·조사(照射) 등에 의해 변형이 생기거나 격자결함(格子缺陷)이 생겨서 굳은 결정고체에서는 그 속에서 주체가 되는 성분의 원자가 충분히 확산해서 움직일 수 있는 온도, 즉 재결정(再結晶)온도 이상으로 적당한 시간 가열해서 목적을 달성한다. 풀림하여 얻을 수 있는 상태는 그 재료에 있어서 가장 부드러운 상태일 때가 많으므로, 풀림이라는 말에는 가장 연한 상태를 얻는 열처리 조작이라는 느낌이 내포되어 있다. 이 때문에 석출경화형(析出硬化型) 합금인 베릴륨 구리에서는 완전히 고용(固溶)되는 온도까지 가열해서 급랭하여, 과포화고용체(過飽和固溶體)를 얻으면, 그 합금에서의 가장 연한 상태가 되기 때문에, 이 조작을 용체화(溶體化) 담금질, 또는 용체화 풀림(solution annealing)이라고도 한다. 불림(Normalizing) 강을 단련한 후, 오스테나이트의 단상(單相)이 되는 온도범위에서 가열하여 대기 속에 방치하여 자연냉각(自然冷却) 한다. 이것의 목적은 ① 주조 또는 과열 조직을 미세화하고, ② 냉간가공·단조 등에 의한 내부응력을 제거하며, ③ 결정조직, 기계적·물리적 성질 등을 표준화시키는 데 있다.
    06.25 00:45
  • 1등

    이승순

    마법5조.풀림(annealing)재료를 평형상태도에 나타난 그대로의 안정상태로 만들기 위한 처리방법이다. ‘어닐링’이라고도 하는데, 이전에는 ‘소둔’이라고 하였다. 상변화가 온도의 오르내림에 따라 일어나는 재료에서는 충분한 시간에 걸쳐서 천천히 냉각시킴으로서 상태도에 나타난 것만큼의 변화를 전부 완료시켜서 안정된 평형상태로 한다. 고온상태에서 천천히 식혀서 확산에 의해 각 온도에서 평형상태를 그 때마다 잡으면서 냉각될 수 있는 시간을 준다. 이 밖에 가공 주조 ·조사등에 의해 변형이 생기거나 격자결함이 생겨서 굳은 결정고체에서는 그 속에서 주체가 되는 성분의 원자가 충분히 확산해서 움직일 수 있는 온도, 즉 재결정온도 이상으로 적당한 시간 가열해서 목적을 달성한다. 풀림하여 얻을 수 있는 상태는 그 재료에 있어서 가장 부드러운 상태일 때가 많으므로, 풀림이라는 말에는 가장 연한 상태를 얻는 열처리 조작이라는 느낌이 내포되어 있다. 이 때문에 석출경화형합금인 베릴륨 구리에서는 완전히 고용되는 온도까지 가열해서 급랭하여, 과포화고용체를 얻으면, 그 합금에서의 가장 연한 상태가 되기 때문에, 이 조작을 용체화 담금질, 또는 용체화 풀림(solution annealing)이라고도 한다. 불림(Normalizing) 강을 단련한 후, 오스테나이트의 단상이 되는 온도범위에서 가열하여 대기 속에 방치하여 자연냉각 한다. 이것의 목적은 ① 주조 또는 과열 조직을 미세화하고, ② 냉간가공·단조 등에 의한 내부응력을 제거하며, ③ 결정조직, 기계적·물리적 성질 등을 표준화시키는 데 있다.
    06.25 00:04
  •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