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rack Joint는 Unit Wall system에서 1개층 단위로 상부Unit을 하부Unit으로 쌓아 올린다는 의미로서, 연결되는 이 부위에서 Open Joint개념으로 수처리를 하며, 처짐 및 수축팽창의 변위를 고려한 예상치수를 확보하여 변위에 대응할 수 있는 기능을 한다. 온도변화 및 풍하중에 의한 Moment가 최소가 되는 절점부위에 Unit의 수평 연결부위를 설계해야 한다.
09.15 08:53
강남희
stack joint는 unit wall system에서 1개층 단위로 상부 unit을 하부 unit으로 쌓아 올린다는 의미로서, 연결되는 이 부위에서 open joint개념으로 수처리를 하며, 처짐 및 수축팽창의 변위를 고려한 예상치수를 확보하여 변위에 대응할 수 있는 기능을 한다. 온도변화 및 풍하중에 의한 moment가 최소가 되는 절점부위에 unit의 수평 연결부위를 설계해야 한다.
06.13 15:05
이정환
stack joint는 unit wall system에서 1개층 단위로 상부unit을 하부 unit으로 쌓아 올린다는 의미로서 연결되는 이 부위에서 open joint개냠으로 수처리를 하며 처짐 및 수축팽창의 변위를 고려한 예상치수를 확보하여 변위에 대응할 수 있는 기능을 한다.
온도변화 및 풍하중에 의한 모멘트가 최소가 되는 절점부위에 unit의 수평 연결부위를 설계해야 한다.
03.13 17:52
김경현
Stack Joint는 Unit Wall System에서 1개층 단위로 상부 Unit을 하부Unit으로 쌓아 올린다는 의미로서, 연결되는 이 부위에서 Open Joint개념으로 수처리를 하며, 처짐 및 수축팽창의 변위를 고려한 예상치수를 확보하여 변위에 대응할 수 있는 기능을 한다. 온도변화 및 풍하중에 의한 Moment가 최소가 되는 절점부위에 Unit의 수평 연결부위를 설계해야 한다.
03.10 22:01
표현수
Stack Joint는 Unit Wall System에서 1개층 단위로 상부 Unit을 하부 Unit으로 쌓아 올린다는 의미로서, 연결되는 이 부위에서 Open Joint 개념으로 수처리를 하며, 처짐 및 수축팽창의 변위를 고려한 예상치수를 확보하여 변위에 대응할 수 있는 기능을 한다. 온도변화 및 풍하중에 의한 Moment가 최소가 되느 절점부위에 Unit의 수평 연결부위를 설계해야 한다.
03.09 11:38
기보중
Stack Joint는 Unit Wall System에서 1개층의 단위로 상부 유닛을 하부유닛으로 쌓아 올린다는 의미로서 연결되는 이부위에서 오픈 조인트 개면으로 수처리하며, 처짐 및 수축팽창의 변위를 고려한 예상치수를 확보하여 변위에 대응할 수 있는 기능을 한다. 온도변화 및 풍하중에 의한 모멘트가 최소가 되는 절점부위에 unit의 수평 연결부위를 설계해야 한다.
03.06 13:54
김호곤
Stack Joint는 Unit Wall System에서 1개층 단위로 상부 Unit을 하부 Unit으로 쌓아 올린다는 의미로써, 연결되는 이 부위에서 Open Joint개념으로 수처리를 하며, 처짐 및 수축팽창의 변위를 고려한 예상치수를 확보하여 변이에 대응할 수 있는 기능을 한다.
온도변화 및 풍하중에 의한 Moment가 최소가 되는 절점부위에 Unit의 수평 연결부위를 설계해야 한다.
03.06 09:48
신대섭
stack joint는 unit wall system에서 1개층 단위로 상부 unit을 하부 unit으로 쌓아 올린다는 의미로서 연결되는 이 부위에서 open joint 개념으로 수처리를 하며, 처짐 및 수축팽창의 변위를 고려한 예상치수를 확보하여 변위에 대응할 수 있는 기능을 한다.
온도변화 및 풍하중에 의한 moment가 최소가 되는 절점부위에 unit의 수평 연결부위를 설계해야 한다.
03.06 09:14
김용훈
Stack Joint는 Unit Wall System에서 1개층 단위로 상부Unit을 하부Unit으로 쌓아 올린다는 의미로서, 연결되는 이 부위에서 Open Joint개념으로 수처리를 하며, 처짐 및 수축팽창의 변위를 고려한 예상치수를 확보하여 변위에 대응할 수 있는 기능을 한다
온도변화 및 풍하중에 의한 Moment가 최소가 되는 절점부위에 Unit의 수평 연결부위를 설계해야 한다.
03.05 21:52
김상호
Stack Joint는 Unit Wall System에서 1개층 단위로 상부Unit을 하부Unit으로 쌓아 올린다는 의미로서, 연결되는 이 부위에서 Open Joint개념으로 수처리를 하며, 처짐 및 수축팽창의 변위를 고려한 예상치수를 확보하여 변위에 대응할 수 있는 기능을 한다
온도변화 및 풍하중에 의한 Moment가 최소가 되는 절점부위에 Unit의 수평 연결부위를 설계해야 한다.
03.05 20:47
김의현
<열공불패 10조> 1)Stack joint는 Unit wall system에서 1개층 단위로 상부 unit을 하부 unit으로 쌓아 올린다는 의미로서, 연결되는 이 부위에서 open joint개념으로 수(水)처리를 하며, 처짐 및 수축팽창의 변위를 고려한 예상치수를 확보하여 변위에 대응할 수 있는 기능을 한다. 2) 온도변화 및 풍하중에 의한 moment가 최소가 되는 절정 분위에 unit의 수평 연결부위를 설계한다.
03.05 19:54
배영재
Stack Joint는 Unit wall system에서 1개층 단위로 상부Unit을 하부Unit으로 쌓아 올린다는 의미로서, 연결되는 이 부위에서 Open Joint개념으로 수처리를 하며, 처짐 및 수축팽창의 변위를 고려한 예상치수를 확보하여 변위에 대응할 수 있는 기능을 한다. 온도변화 및 풍하중에 의한 Moment가 최소가 되는 절점부위에[ Unit의 수평 연결부위를 설계해야 한다.
03.05 18:49
김갑식
Stack Joint는 Unit Wall System에서 1개층 단위로 상부Unit을 하부Unit으로 쌍아 올린다는 의미로서, 연결되는 이 부위에서 Open Joint 개념으로 수처리를 하며, 처짐 및 수축팽창의 변위를 고려한 예상치수를 확보하여 변위에 대응할 수 있는 기능을 한다.
온도변화 및 풍하중에 의한 Moment가 최소가 되는 절점부위에 Unit의 수평 연결부위를 설계해야 한다.
03.05 18:23
박정일
[Ace6조] Stack Joint는 Unit Wall System에서 1개층 단위로 상부Unit을 하부Unit으로 쌓아 올린다는 의미로서, 연결되는 이 부위에서 Open Joint개념으로 수처리를 하며, 처짐 및 수축팽창의 변위를 고려한 예상치수를 확보하여 변위에 대응할 수 있는 기능을 한다
온도변화 및 풍하중에 의한 Moment가 최소가 되는 절점부위에 Unit의 수평 연결부위를 설계해야 한다.
03.05 17:01
강 대 현
Stack Joint는 Unit Wall System에서 1개층 단위로 상부Unit을 하부Unit으로 쌓아 올린다는 의미로서,연결되는 이 부위에서 Open Joint개념으로 수처리를 하며,처짐 및 수축팽창의 변위를 고려한 예상수치를 확보하여 변위에 대응할 수 있는 기능을 한다. 온도변화 및 풍하중에 의한 Moment가 최소가 되는 절점부위에 Unit의 수평 연결부위를 설계해야 한다.
03.05 15:49
백종엽
우리는 하나
03.05 15:48
이혜원
Stack Joint는 Unit Wall System에서 1개층 단위로 상부 Unit을 하부 Unit으로 쌓아 올린다는 의미로서, 연결되는 이 부위에서 Open Joint개념으로 수처리를 하여, 처임 및 수축팽창의 변위를 고려한 예상치수를 확보하여 변위에 대응할 수 있는 기능을 한다. 온도변화 및 풍하중에 의한 Momnet가 최소가 되는 절점부위에 Unit의 수평 연결부위를 설계해야 한다.
03.05 15:21
강재모
Stack Joint는 Unit Wall System에서 1개층 단위로 상부 Unit을 하부Unit으로 쌓아 올린다는 의미로서, 연결되는 이 부위에서 Open Joint개념으로 수처리를 하며, 처짐 및 수축팽창의 변위를 고려한 예상치수를 확보하여 변위에 대응할 수 있는 기능을 한다. 온도변화 및 풍하중에 의한 모멘트가 최소가 되는 절점부위에 Unit의 수평 연결부위를 설계해야 한다.
03.05 14:29
기호정
Stack Joint는 Unit Sysyem에서 1개층 단위로 상부Unit을 하부Unit으로 쌓아 올린다는 의미로서, 연결되는 이 부위에서 Open Joint개념으로 수처리를 하며, 처짐 및 수축팽창의 변위를 고려한 예상치수를 확보하여 변위에 대응할 수 있는 기능을 한다.
온다변화 및 풍하중에 의한 Moment가 최소가 되는 절점부위에 Unit의 수평 연결부위를 설계해야 한다.
03.05 13:19
정근택
Stack Joint는 Unit Wall System에서 1개층 단위로 상부Unit을 하부Unit으로 쌓아 올린다는 의미로서, 연결되는 이 부위에서 Open Joint개념으로 수처리를 하며, 처짐 및 수축팽창의 변위를 고려한 예상치수를 확보하여 변위에 대응할 수 있는 기능을 한다
온도변화 및 풍하중에 의한 Moment가 최소가 되는 절점부위에 Unit의 수평 연결부위를 설계해야 한다
03.05 12:46
이민호
Stack Joint는 Unit Wall System에서 1개층 단위로 상부 Unit을 하부 Unit으로 쌓아 올린다는 의미로서, 연결되는 이 부위에서 Open Joint 개념으로 수처리를 하며, 처짐 및 수축팽창의 변위를 고려한 예상치수를 확보하여 변위에 대응할 수 있는 기능을 한다.
온도변화 및 풍하중의 의한 모멘트가 최소가 되는 절점부위에 Unit의 수평 연결부위를 설계해야한다.
03.05 11:22
양광실
stack joint는 unit wall system에서 1개층 단위로 상부 unint을 쌓아 올린다는 의미로서, 연결되는 이 부위에서 open joint 개념으로 수처리를 하며, 처짐 및 수축팽창의 변위를 고려한 예상치수를 확보하여 변위에 대응할 수 있는 기능을 한다. 온도변화 및 풍하중에 의한 moment가 최소가 되는 절점부위에 unit의 수평 연결부위를 설계해야 한다.
03.05 11:20
이재경
Stack joint는 Unit wall system에서 1개층 단위로 상부Unit을 하부Unit으로 쌓아 올린다는 의미로서, 연결되는 부위에서 Open joint개녕으로 수처리를 하며 처짐 및 수축팽창의 변위를 고여한 예상수치를 확보하여 변위에 대응할 수 있는 기능을 한다
온도변화 및 풍하중에 의한 Moment가 최소가 되는 절점부위에 Unit의 수평 연결부위를 설계해야 한다
03.05 10:53
박창영
Stack joint는 Unit wall system에서 1개층 단위로 상부unit을 하부unit으로 쌓아 올린다는 의미로서, 연결되는 이부위에서 오픈 조인트개념으로 수처리를 하며, 처짐 및 수축팽창의 변위를 고려한 예상치수를 확보하여 변위에 대응할 수 있는 기능을 한다.
온도변화 및 풍하중에 의한 모멘트가 최소가 되는 절점부위에 유닛의 수평 연결부위를 설계해야 한다.
03.05 10:22
백종엽
우리는 하나
03.05 10:11
허찬
Stack Jlint는 Unit Wall System에서 1개층 단위로 상부 Unit을 하부 Unit으로 쌓아 올린다는 의미로서, 연결되는 이 부위에서 Open Joint 개념으로 수처리를 하며, 처짐 및 수축팽창의 변위를 고려한 예상치수를 확보하여 변위에 대응할 수 있는 기능을 한다. 온도변화 및 풍하중에 의한 Moment가 최소가 되는 절점부위에 Unit의 수평 연결부위를 설계해야 한다.
03.05 10:09
서현동
stack joint는 unit wall system에서 1개층 단위로 상부 unit를 하부 unit으로 쌓아 올린다는 의미로서 , 연결되는 이 부위에서 open joint개념으로 수처리를 하며, 처짐 및 수축팽창의 변위를 고려한 예상치수를 확보하여 변위에 대응할 수 있는 기능을 한다. 온도변화 및 풍하중에 의한 monent가 최소가 되는 절점부위에 unit의 수평 연결부위를 설계해야 한다.
03.05 10:09
이승환
Stack Joint는 Unit Wall System에서 1개층 단위로 상부Unit을 하부Unit으로 쌓아 올린다는 의미로서, 연결되는 이 부위에서 Open Joint개념으로 수처리를 하며, 처짐 및 수축팽창의 변위를 고려한 예상치수를 확보하여 변위에 대응할 수 있는 기능을 한다. 온도변화 및 풍하중에 의한 Moment가 최소가 되는 절점부위에 Unit의 수평 연결부위를 설계해야 한다.
03.05 09:51
김호곤
Stack Joint는 Unit Wall Suystem에서 1개층 단위로 상부Unit을 하부Unit으로 쌓아 올린다는 의미로서, 연결되는 이 부위에서 Open Joint개념으로 수처리를 하며, 처짐 및 수축팽창의 변위를 고려한 예상치수를 확보하여 변위에 대응할 수 있는 있는 기능을 한다.
온도변화 및 풍하중에 의한 Moment가 최소가 되는 절점부위에 Unit의 수평 연결부위을 설계해야 한다.
03.05 09:44
박수용
Stack Joint는 Unit Wall System에서 1개층 단위로 상부Unit을 하부Unit으로 쌓아 올린다는 의미로서, 연결되는 이 부위에서 Open Joint개념으로 수처리를 하며, 처짐 및 수축팽창의 변위를 고려한 예상치수를 확보하여 변위에 대응할 수 있는 기능을 한다
온도변화 및 풍하중에 의한 Moment가 최소가 되는 절점부위에 Unit의 수평 연결부위를 설계해야 한다.
03.05 09:03
장균봉
[Stack Joint]1. Stack joint는 Unit Wall System에서 1개층 단위로 상부Unit을 하부 Unit으로 쌓아 올린다는 의미로서, 연결되는 이 부위에서 Open Joint개념으로 수처리를 하며, 처짐 및 수축팽창의 변위를 고려한 예상치수를 확보하여 변위에 대응할 수 있는 기능을 한다.
2. 온도변화 및 풍하중에 의한 Moment가 최소가 되는 절점부위에 Unit의 수평 연결부위를 설계해야 한다.
03.05 09:02
박상진
Stack Joint는 Unit Wall System에서 1개층 단위로 상부Unit을 하부Unit으로 쌓아 올린다는 의미로서, 연결되는 이 부위에서 Open Joint개념으로 수처리를 하며, 처짐 및 수축팽창의 변위를 고려한 예상치수를 확보하여 변위에 대응할 수 있는 기능을 한다
온도변화 및 풍하중에 의한 Moment가 최소가 되는 절점부위에 Unit의 수평 연결부위를 설계해야 한다.
03.05 08:25
방경주
StackJoint는 Unit Wall System에서 1개층 단위로 상부 Unit를 하부 Unit로 쌓아 올린다는 의미로서, 연결되는 이부위에서 Open Joint개념으로 수처리를 하며, 처침 및 수축팽창의 변위를 고려한 예상치수를 확보하여 변위에 대응할 수 있는 기능을 한다.
온도변화 및 풍하중에 의한 Moment가 최소가 되는 절점부위에 Unit의 수평 연결부위를 설계해야 한다.
03.05 08:16
한원준
<10조>열공불패
stack joint는 unit wall system에서 1개층 단위로 상부유닛을 하우유닛으로 쌓아 올린다는 의미로서, 연결되는 이 부위에서 open joint 개년으로 수처리를 하며, 처짐 및 수축팽창의 변위를 고려한 예상치수를 확보하여 변위에 대응할수 있는 기능을 한다.온도변화 및 풍하중에 의한 moment가 최소가 되는 절점부위에 유닛의 수평 연결부위를 설계해야 한다.
03.05 08:15
장성열
Stack Joint는 Unit Wall System에서 1개층 단위로 상부Unit을 하부Unit을 쌓아 올린다는 의미로서, 연결되는 이 부위에서 Open Joint 개념으로 수처리를 하며, 처짐 및 수축팽창의 변위를 고려한 예상치수를 확보하여 변위에 대응할 수 있는 기능을 한다. 온도변화 및 풍하중에 의한 Moment가 최소가 되는 절점부위에 Unit의 수평 연결 부위를 설계해야 한다.
03.05 08:07
김용현
Stack Joint는 Unit Wall System에서 1개층 단위로 상부Unit를 하부 Unit로 쌓아 올린다는 의미로서, 연결되는 이 부위에서 Open Joint개념으로 수처리를 하며, 처짐 및 수축팽창의 변위를 고려한 예상치수를 확보하여 변위에 대응할 수 있는 기능을 한다. 온도변화 및 풍하중에 의한 Moment가 최소가 되는 절점부위에 Unit의 수평 연결부위를 설계해야 한다.
03.05 08:05
이민재
Stack Joint는 Unit Wall System에서 1개층 단위로 상부 Unit을 하부 Unit으로 쌓아 올린다는 의미로서, 연결되는 이 부위에서 Open Joint 개념으로 수처리를 하여, 처짐 및 수축팽창의 변위를 고려한 예상치수를 확보하여 변위에 대응할 수 있는 기능을 한다. 온도변화 및 풍하중에 의한 Moment가 최소가 되는 절점부위에 Unit의 수평 연결부위를 설계해야 한다.
03.05 08:00
원청희
Stack joint는 unit wall system에서 1개층 단위로 상부 unit을 하부uint으로 쌓아 올린다는 의미로서 연결되는 이 부위에서 open joint개념으로 수처리를 하며, 처짐 및 수축팽창의 변위를 고려한 예상치수를 확보하여 변위에 대응할 수 있는 기능을 한다. 온도변화 및 풍하중에 의한 Moment가 최소가 되는 절점부위에 unit의 수평 연결부위를 설계해야 한다.
03.05 07:59
김남희
Stack Joint는 Unit Wall System에서 1개층 단위로 상부Unit을 하부Unit으로 쌓아 올린다는 의미로서, 연결되는 이 부위에서 Open Joint개념으로 수처리를 하며, 처짐 및 수축팽창의 변위를 고려한 예상치수를 확보하여 변위에 대응할 수 있는 기능을 한다.
온도변화 및 풍하중에 의한 Moment가 최소가 되는 절점부위에 Unit의 수평 연결부위를 설계해야 한다.
03.05 07:46
이지호
Stack Joint는 Unit Wall System에서 1개층 단위로 상부Unit을 하부Unit으로 쌓아 올린다는 의미로서, 연결되는 이 부위에서 Open Joint개념으로 수처리를 하며, 처짐 및 수축팽창의 변위를 고려한 예상치수를 확보하여 변위에 대응할 수 있는 기능을 한다
온도변화 및 풍하중에 의한 Moment가 최소가 되는 절점부위에 Unit의 수평 연결부위를 설계해야 한다.